$\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심층수에 의한 해역 비옥화 효과에 관한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Ocean Fertilization by Deep Sea Water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15 no.3, 2012년, pp.198 - 207  

시오카리 메구미 (일본 해상기술안전연구소) ,  다베타 시게루 (일본 동경대학교 신영역창성과학연구과) ,  가토 타카요시 (일본 동경대학교 공학계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식물플랑크톤 뿐 아니라 동물플랑크톤을 포함하는 생태계 모델을 이용하여 해양 심층수의 해역 비옥화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모델은 2종의 식물플랑크톤, 3종의 동물플랑크톤, 질산염, 암모늄염, 규산염, 입자성 유기질소, 용존 유기질소, 입자성 규소 총 11개 요소로 구성된 NEMURO에 기초하고 있다. NEMURO의 11개 요소 외에도 두 종의 식물플랑크톤내 질소 셀 쿼터와 대형 식물플랑크톤내 규산염 셀 쿼터를 추가하였다. 해역 비옥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이즈 오시마 섬에서 실험을 실시하였지만, 본 실험에서 심층수의 유무에 의한 명확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 실험 결과의 원인들을 모델 시뮬레이션에 의해 조사하였으며, 그 원인의 하나는 실험에 사용된 표층수의 높은 영양염 농도이다. 다른 원인은 무기질소 섭취율이 $NH_4$에 대한 $NO_3$의 비율에 관련되어 있으므로 무기질소의 총 농도의 증가가 광합성 속도를 반드시 증진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모델로 실험 결과들을 재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이 모델을 이용하여 해양 심층수에 의한 해역 비옥화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해양 심층수의 공급 간격이 너무 짧거나 해양 심층수의 양이 너무 많을 때 해역 비옥화 효과는 나타나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해양 심층수의 첨가가 너무 비번하거나 너무 많이 첨가하면 플랑크톤 농도의 희석이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 증진 효과를 초과해 버린 것으로 추측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ocean fertilization by deep sea water, using an ecosystem model which contains not only phytoplankton but also zooplankton. The model is based on NEMURO which consists of eleven compartments - two species of phytoplankton, three species of zooplankt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ocean fertilization by both experiment and simulations, using an ecosystem model which contains zooplankt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technique for the effects of ocean fertiliza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Japan Oceanographic Data Center (JODC), 2010, http://www.jodc.go.jp/index_j.html. 

  2. Jorgensen, L.A., Nielsen, S.N., Jorgensen, S.E., 2000, "ECOTOX," Elsevier Science. 

  3. Kishi, M.J., Kashiwai, M., Ware, D.M., Megrey, B.A., Eslinger, D.L., Werner, F.E., Noguchi-Aita, M., Azumaya, T., Fujii, M., Hashimoto, S., Huang, D., Iizumi, H., Ishida, Y., Kang, S., Kantakov, G.A., Kim, H., Komatsu, K., Navrotsky, V.V., Smith, S.L., Tadokoro, K., Tsuda, A., Yamamura, O., Yamanaka, Y., Yokouchi, K., Yoshie, N., Zhang, J., Zuenko, Y.I., Zvalinsky, V.I., 2007, "NEMURO-a lower trophic level model for the North Pacific marine ecosystem, " Ecological Modelling, Vol 202, 12-25. 

  4. Mizumukai, K., Sato, T., Tabeta, S. and Kitazawa, D., 2008, "Numerical studies on ecological effects of artificial mixing of surface and bottom water in density stratification in semi-enclosed bay and open sea," Ecological Modelling, Vol 214, 251-270. 

  5. Nakata, K., 1993, "Ecosystem model -formulization and estimation of unknown parameters-," Journal of Adv. Mar. Tech. Conf, Vol 8, 99-138. (In Japanese) 

  6. Ouchi, K. and Ohmura H., 2004, "Design Concept and Experiment of Ocean Nutrient Enhancer "TAKUMI"," Proceedings of OCEANS2004 Kobe, 322-32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