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구지역 수영장 이용자의 피부와 눈 관련증상 경험률
Self-reported Skin and Eye Symptoms among Swimming Pool Users in Daegu, Kore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8 no.4, 2012년, pp.340 - 350  

류승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박소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박재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신덕용 (영남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전만중 (영남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사공준 (영남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kin and eye symptoms according to swimming pool user characteristics and chlorine concentration at indoor swimming pools in the Daegu region. Methods: A total of 296 swimming pool users were enrolled from the eight swimming pools randomly chosen 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대구지역 수영장의 염소농도와 수영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특성에 따른 수영장 이용자의 피부와 눈의 증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이 연구는 대구지역 수영장의 염소농도와 수영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특성에 따른 수영장 이용자의 피부와 눈의 증상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수영장 물의 소독 방법은? 한편 우리나라 수영장 물의 소독은 주로 염소 소독법과 오존 소독법을 병행하며, 이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염소 소독법이다. 염소 소독은 경제성과 살균력의 측면에서 우수하여 널리 쓰이고 있는 소독방법이지만3) 소독과정에서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s, THMs), 할로아세트산, 할로케톤, 할로아세트니트릴 등의 소독부산물이 발생할 수도 있다.
수영에 참여하는 인원수가 증가하게 된 이유는? 5%로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2) 이 중 수영은 실내에서 어느 계절에나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획득을 통해 더욱 주목을 받게 되면서 참여하는 인원수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2001년 기준 대구의 15세 이상 인구 62.
염소 소독법의 부작용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한편 우리나라 수영장 물의 소독은 주로 염소 소독법과 오존 소독법을 병행하며, 이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염소 소독법이다. 염소 소독은 경제성과 살균력의 측면에서 우수하여 널리 쓰이고 있는 소독방법이지만3) 소독과정에서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s, THMs), 할로아세트산, 할로케톤, 할로아세트니트릴 등의 소독부산물이 발생할 수도 있다.4) 소독부산물 중에서 THMs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이 중에서도 클로로포름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발암성이 의심되는 물질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 JG, Na SJ. Estimation of the number of population taking part in sport events according to areas.Korean Alliance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Dance. 2001; 40(4): 371-383. 

  2.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urvey on participation in exercise and sport, 2010. Korea; 2011. p.1-385. 

  3. Lee J, Ha KT, Joh KD. The characteristics of THMs production by different disinfection methods in swimming pools water. J Environ Health Sci. 2006; 32(2): 171-178. 

  4. Fantuzzi G, Righi E, Predieri G, Ceppelli G, Gobba F, Aggazzotti G. Occupational exposure to trihalomethanes in indoor swimming pools. Sci Environ. 2001; 264(3): 257-265. 

  5. Weaver WA, Li J, Wen Y, Johnston J, Blatchley MR, Blatchley ER 3rd. Volatile disinfection byproduct analysis from chlorinated indoor swimming pools. Water Res. 2009; 43(13): 3308-3318. 

  6. Lee SC, Guo H, Lam SM, Lau SL. Multipathway risk assessment on disinfection by-products of drinking water in Hong Kong. Environ Res. 2004; 94(1): 47-56. 

  7. Wang W, Ye B, Yang L, Li Y, Wang Y. Risk assessment on disinfection by-products of drinking water of different water sources and disinfection processes. Environ Int. 2007; 33(2): 219-225. 

  8. Panyakapo M, Soontornchai S, Paopuree P. Cancer risk assessment from exposure to trihalomethanes in tap water and swimming pool water. J Environ Sci. 2008; 20(3): 372-378. 

  9. Chowdhury S, Champagne P. Risk from exposure to trihalomethanes during shower: probabilistic assessment and control. Sci Total Environ. 2009; 407(5): 1570-1578. 

  10. Ladou J, Current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th ed. New York, McGraw-Hill Companies; 2007. p.281-292. 

  11. Jung JY, Shim KJ, Lee KY, Park JS, Jung HK. Assessment of indoor chlorine exposure. Workrelated health hazard assessment report; 2001. 

  12. Lazarov A, Nevo K, Pardo A, Froom P. Selfreported skin disease in hydrotherapists working in swimming pools. Contact Dermatitis. 2005; 53(6): 327-331. 

  13. Takigawa T, Usami M, Yamasaki Y, Wang B, Sakano N, Horike T, et al. Reduction of indoor formaldehyde concentrations and subjective symptoms in a gross anatomy laboratory. Bull Environ Contam Toxicol. 2005; 74(6): 1027-1033. 

  14. Western Pacific Regional Office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2000. 

  15. Lazarov A, Navo K, Pardo A, Froom P. Cumulative incidence of self reported skin disease in hydrotherapists working in swimming pools. Contact Dermatitis. 2004; 50(3): 167. 

  16. Pardo A, Nevo K, Vigiser D, Lazarov A. The effect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wimming pool water and its close environment on the development of contact dermatitis in hydrotherapists. Am J Ind Med. 2007; 50(2): 122-126. 

  17. Ishioka M, Kato N, Kobayashi A, Dogru M, Tsubota K. Deleterious effects of swimming pool chlorine on the corneal epithelium. Cornea. 2008; 27(1): 40-43. 

  1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spiratory and ocular symptoms among employees of a hotel indoor waterpark resort---Ohio, 2007. MMWR Morb Mortal Wkly Rep. 2009; 58(4); 81-85. 

  19. Chiswell B, Wildsoet CF. On the possible sources of ocular irritation in chlorinated swimming pools. Clin Exp Optom. 1986; 69(5): 178-182. 

  20. Font-Ribera L, Kogevinas M, Zock JP, Nieuwenhuijsen MJ, Heederik D, Villanueva CM. Swimming pool attendance and risk of asthma and allergic symptoms in children. Eur Respir J. 2009; 34(6); 1304-1310. 

  21. Linneberg A, Nielsen NH, Menne T, Madsen F, Jorgensen T. Smoking might be a risk factor for contact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2003; 111(5): 980-984. 

  22. Momas I, Brette F, Spinasse A, Squinazi F, Dab W, Festy B. Health effects of attending a public swimming pool: follow up of a cohort of pupils in Pari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1993; 47(6): 464- 468. 

  23. Rycroft RJ, Penny PT. Dermatoses associated with brominated swimming pools. Br Med J. 1983; 287(6390): 462. 

  24. Kelsall HL, Sim MR. Skin irritation in users of brominated pools. Int J Environ Health Res. 2001; 11(1): 29-40. 

  25. Loughney E, Harrison J. Irritant contact dermatitis due to l-bromo-3-chloro-5,5-dimethylhydantoin in a hydrotherapy pool. Risk assessments: the need for continuous evidence-based assessments. Occup Med. 1998; 48(7): 461-46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