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to develop public uniforms design, by understanding international universality and advanced design sense,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uniforms design at home and abroad. The theoretical study reviewed the character and area of public 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to develop public uniforms design, by understanding international universality and advanced design sense,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uniforms design at home and abroad. The theoretical study reviewed the character and area of public design, and the concepts and requirements of public uniforms. The empirical study analyzed public uniform design at home and abroad, focusing on typical public uniforms, such as police, fire fighter, and street clean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olice uniform has a standardized and formal suit style, which consists of a single-breasted dk-PB jacket with a notched collar and pants. It uses PB as the main color, to show their authority and role reliability. Epaulet or badge, which represents belonging and difference in rank, are attached to express the identity of an organization. Second, the fire fighter uniform consists of a hip length coat with a stand collar effective for heat shielding, and straight pants with flap pockets, in which it is easy to put things. Its main color is dkg-PB, to mitigate visual fatigue and enhance comfort, and an accent color scheme is used, to effectively raise visual attention and safety. Finally, the street cleaner uniform has a casual style, which consists of a jumper with a shirt collar and pants for high activity. v-YR and R with high chroma is mainly used, for increased attention during day and night work, to stress saf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to develop public uniforms design, by understanding international universality and advanced design sense,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uniforms design at home and abroad. The theoretical study reviewed the character and area of public design, and the concepts and requirements of public uniforms. The empirical study analyzed public uniform design at home and abroad, focusing on typical public uniforms, such as police, fire fighter, and street clean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olice uniform has a standardized and formal suit style, which consists of a single-breasted dk-PB jacket with a notched collar and pants. It uses PB as the main color, to show their authority and role reliability. Epaulet or badge, which represents belonging and difference in rank, are attached to express the identity of an organization. Second, the fire fighter uniform consists of a hip length coat with a stand collar effective for heat shielding, and straight pants with flap pockets, in which it is easy to put things. Its main color is dkg-PB, to mitigate visual fatigue and enhance comfort, and an accent color scheme is used, to effectively raise visual attention and safety. Finally, the street cleaner uniform has a casual style, which consists of a jumper with a shirt collar and pants for high activity. v-YR and R with high chroma is mainly used, for increased attention during day and night work, to stress safet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공공유니폼의 디자인 분석을 통해 국제적인 보편성과 선진적인 디자인 감각을 이해함으로써 향후 공공기관 및 국가의 공공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먼저 ‘클린 그린(Clean-green), 헬시 브라운(Healthy-brown), 업라이트 블루(Upright-blue)’라는 3가지 컬러를 서울시의 컬러 코드로 정하고, 3가지 서울색과 서울서체를 활용한 공공유니폼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는 분야별 작업특성을 고려한 컬러와 소재로 근무자들에게는 정체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시민들에게 깨끗하고 건강하며, 기분 좋은 이미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Figure 10은 그린의 깨끗하고 친환경적인 이미지가 반영된 환경미화원 유니폼, 헬시 브라운의 이미지를 느끼게 해주는 보건소 간호직 유니폼, 그리고 기분을 상승시켜 업라이트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는 단속전담 공무원들의 안전 유니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 베스트 국가’ 20위까지의 국가에서 착용하고 있는 공공유니폼 중에서 공공의 이익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고, 도시 환경에서 노출 빈도가 높아 시민과 친밀한 접촉을 유지하고 있는 대표적 공공유니폼인 경찰유니폼, 소방유니폼, 환경미화원 유니폼의 디자인 분석을 주목적으로 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공공디자인의 영역은 매우 광범위한데, 본 연구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분류에 준하여 공공디자인의 영역을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제작·설치·운영·관리하는 공공공간 디자인, 공공시설 디자인, 공공매체 디자인, 공공용품 디자인”으로 분류하였고, 공공유니폼은 ‘공공용품 디자인’ 영역중 ‘국가 조직 통합물’의 한 요소로 간주하였다(Lee, 2007).
실증적 연구에서는 대표적 공공유니폼인 경찰유니폼, 소방유니폼, 환경미화원 유니폼을 중심으로 국내·외 공공유니폼의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공공유니폼의 디자인 분석을 통해 국제적인 보편성과 선진적인 디자인 감각을 이해함으로써 향후 공공기관 및 국가의 공공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공공디자인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자료를 참고하여 공공디자인의 영역 및 특성, 공공유니폼의 개념과 요건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공공디자인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자료를 참고하여 공공디자인의 영역 및 특성, 공공유니폼의 개념과 요건에 대해 고찰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대표적 공공유니폼인 경찰유니폼, 소방유니폼, 환경미화원 유니폼을 중심으로 국내·외 공공유니폼의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먼저 ‘클린 그린(Clean-green), 헬시 브라운(Healthy-brown), 업라이트 블루(Upright-blue)’라는 3가지 컬러를 서울시의 컬러 코드로 정하고, 3가지 서울색과 서울서체를 활용한 공공유니폼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한편 Shin(2009)은 조형성을 공공성, 상징성, 신뢰성, 안전성, 기능성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공공디자인의 특성에 근거하여 공공유니폼이 지녀야 할 요건을 크게 공공성, 상징성, 기능성, 심미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아이템 구성은 원피스(One-piece), 투피스(Two-piece), 쓰리피스(Three-piece), 포피스(Four-piece) 스타일로 구분하고, 형태는 각 아이템에서 디자인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되는 디테일을 중심으로 길이, 여밈, 칼라의 형태, 포켓의 유·무를 분석하였다.
fi 등에서 수집해서 최종적으로 경찰유니폼 20개, 소방유니폼 20개, 그리고 조사기간내 자료수집이 불가능했던 룩셈부르크를 제외한 환경미화원 유니폼 19개의 사진을 선정하였다. 이때 라인이나 실루엣, 색상의 차이가 있음을 감안하여 여러 장을 분석하여 명확성을 높였다.
분석 방법은 아이템 구성, 형태, 색채, 문양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아이템 구성은 원피스(One-piece), 투피스(Two-piece), 쓰리피스(Three-piece), 포피스(Four-piece) 스타일로 구분하고, 형태는 각 아이템에서 디자인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되는 디테일을 중심으로 길이, 여밈, 칼라의 형태, 포켓의 유·무를 분석하였다.
이를 먼셀의 색체계와 PCCS 색조분류법에 의거하여 색상과 색조를 분석하였다. 색상 특성은 먼셀 색체계의 10색상 R(Red), YR(Yellow Red), Y(Yellow), GY(Green Yellow), G(Green), BG(Blue Green), B(Blue), PB(Purple Blue), P(Purple), RP(Red Purple)과 40 색상환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색조의 특성은 먼셀의 HV/C값을 토대로 PCCS(Practical Color Coordinate System)의 색조 분류표에 의거하여 유채색에서 v(vivid), s(strong), b(bright), sf(soft), p(pale), ltg(light grayish), lt(light), g(grayish), d(dull), dp(deep), dk(dark), dkg(dark grayish)의 12색조와 무채색에서 W(white), ltGy(light gray), mGy(medium gray), dkGy(dark gray), Bk(black)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유니폼의 색채 배색은 동일 배색, 유사 배색, 대조 배색, 액센트 배색, 기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소재 분석은 실물이 아닌 사진자료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문양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문양은 유문과 무문으로 분류하였고, 유문은 식물, 동물, 인물, 자연, 기하학, 인공물, 문자, 복합문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문양분석에 있어서 직물자체의 문양뿐만이 아니라 구성선에 의해 나타난 문양도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소재 분석은 실물이 아닌 사진자료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문양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문양은 유문과 무문으로 분류하였고, 유문은 식물, 동물, 인물, 자연, 기하학, 인공물, 문자, 복합문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문양분석에 있어서 직물자체의 문양뿐만이 아니라 구성선에 의해 나타난 문양도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Figure 9. The uniforms of security team and reception team in London City Hall. London city hall motif scarf, adapted from www.
분석 대상은 2010년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지(Newsweek)’에서 선정한 ‘세계 베스트 국가’ 20개 국가의 공공유니폼 중에서 경찰유니폼은 정복, 소방유니폼은 방화복, 환경미화원 유니폼은 춘추복을 중심으로 하였고, 직업특성상 대부분이 남자가 많아 남자 유니폼으로 한정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0년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지(Newsweek)’에서 선정한 ‘세계 베스트 국가’ 20개 국가의 공공유니폼 중에서 경찰유니폼은 정복, 소방유니폼은 방화복, 환경미화원 유니폼은 춘추복을 중심으로 하였고, 직업특성상 대부분이 남자가 많아 남자 유니폼으로 한정하였다. 유니폼 사진자료는 2010년 11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www.ficker.com, www.google.com, www.gettyimages.com, www.fotosearch.com, www.shutterstock.com, www.poliisi.fi 등에서 수집해서 최종적으로 경찰유니폼 20개, 소방유니폼 20개, 그리고 조사기간내 자료수집이 불가능했던 룩셈부르크를 제외한 환경미화원 유니폼 19개의 사진을 선정하였다. 이때 라인이나 실루엣, 색상의 차이가 있음을 감안하여 여러 장을 분석하여 명확성을 높였다.
유니폼의 색채 특성 분석을 위해 수집된 사진은 디지털 이미지에서 Adobe photoshop CS2의 eyedropper tool을 이용하여 컬러 칩과 RGB 값을 추출한 다음, 각 컬러 칩의 RGB 값을 Munsell Conversion(version 9.1.1)의 HV/C값으로 변환하여 색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색채 데이터는 비율에 따라 메인 컬러(전체면적의 50% 이상), 서브 컬러(10% 이상 50% 미만), 액센트 컬러(10% 미만)로 분류해서 경찰유니폼은 메인 컬러 20개, 서브 컬러 2개, 액센트 컬러 46개, 소방유니폼은 메인 컬러 20개, 서브 컬러 1개, 액센트 컬러 32개, 환경미화원 유니폼은 메인 컬러 19개, 서브 컬러 14개, 액센트 컬러 28개를 추출하였다.
1)의 HV/C값으로 변환하여 색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색채 데이터는 비율에 따라 메인 컬러(전체면적의 50% 이상), 서브 컬러(10% 이상 50% 미만), 액센트 컬러(10% 미만)로 분류해서 경찰유니폼은 메인 컬러 20개, 서브 컬러 2개, 액센트 컬러 46개, 소방유니폼은 메인 컬러 20개, 서브 컬러 1개, 액센트 컬러 32개, 환경미화원 유니폼은 메인 컬러 19개, 서브 컬러 14개, 액센트 컬러 28개를 추출하였다. 이를 먼셀의 색체계와 PCCS 색조분류법에 의거하여 색상과 색조를 분석하였다.
아이템 구성은 원피스(One-piece), 투피스(Two-piece), 쓰리피스(Three-piece), 포피스(Four-piece) 스타일로 구분하고, 형태는 각 아이템에서 디자인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되는 디테일을 중심으로 길이, 여밈, 칼라의 형태, 포켓의 유·무를 분석하였다. 경찰유니폼에 있어 특징적 요소 중의 하나인 휘장류는 착장상태에서 경찰의 정체성과 독자적인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전달하므로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이론/모형
색채 데이터는 비율에 따라 메인 컬러(전체면적의 50% 이상), 서브 컬러(10% 이상 50% 미만), 액센트 컬러(10% 미만)로 분류해서 경찰유니폼은 메인 컬러 20개, 서브 컬러 2개, 액센트 컬러 46개, 소방유니폼은 메인 컬러 20개, 서브 컬러 1개, 액센트 컬러 32개, 환경미화원 유니폼은 메인 컬러 19개, 서브 컬러 14개, 액센트 컬러 28개를 추출하였다. 이를 먼셀의 색체계와 PCCS 색조분류법에 의거하여 색상과 색조를 분석하였다. 색상 특성은 먼셀 색체계의 10색상 R(Red), YR(Yellow Red), Y(Yellow), GY(Green Yellow), G(Green), BG(Blue Green), B(Blue), PB(Purple Blue), P(Purple), RP(Red Purple)과 40 색상환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색조의 특성은 먼셀의 HV/C값을 토대로 PCCS(Practical Color Coordinate System)의 색조 분류표에 의거하여 유채색에서 v(vivid), s(strong), b(bright), sf(soft), p(pale), ltg(light grayish), lt(light), g(grayish), d(dull), dp(deep), dk(dark), dkg(dark grayish)의 12색조와 무채색에서 W(white), ltGy(light gray), mGy(medium gray), dkGy(dark gray), Bk(black)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또한 경찰유니폼은 전통적으로 자국경찰임을 상징하는 심볼마크와 로고를 유니폼과 헬멧 및 차량 디자인 Figure 11에 활용함으로써 조직의 정체성과 타 유니폼과의 차별성을 표현하고, 경찰관의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템별 형태를 보면, 재킷의 경우 네덜란드를 제외한 모든 국가는 엉덩이 길이의 싱글 여밈으로 시민들에게 친숙함과 실용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네덜란드의 더블 여밈 재킷은 다른 나라에 비해 어깨가 넓어 보여 권위적이고 엄격한 이미지를 부각시키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칼라의 형태는 영국과 오스트리아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윗 깃과 아래 깃 사이를 V자형으로 새긴 노치드 라펠(Notched lapel) 칼라를 착용하고 있으며, 영국 경찰유니폼의 칼라 형태는 라펠 끝이 위쪽으로 올라간 피크드 라펠(Peaked lapel) 칼라였고 오스트리아는 스탠드업(stand-up) 칼라였다.
경찰유니폼의 색상 분포를 보면, 유채색 계열이 57.4%, 무채색 계열이 42.6%로 나타났다. 유채색의 10색상 안에서는 PB(35.
3%) 순이었다. 경찰유니폼에 사용된 색상/색조 분포를 분석한 결과, Wh(22.1%)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PB(dk)(17.6%), PB(dkg)/ltGy/Bk(10.3%), Y(b)(8.8%), Y(lt)(5.9%), PB(p)(4.4%), R(v)(2.9%), Y(s)/G(d)/PB(s)/PB(lt)/PB(dp)(1.5%)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메인 컬러의 색상/색조 분포는 저명도인 dk와 dkg톤의 PB컬러가 23.
구체적으로 아이템별 형태를 보면, 코트의 칼라는 셔츠 칼라인 캐나다, 미국을 제외한 18개 국가 모두 스탠드 칼라였고, 여밈은 20개 국가 모두 벨크로를 부착한 싱글 여밈 위에 바람막이 처리를 한 겹여밈 형태였다. 코트의 길이는 스위스, 룩셈부르크, 독일은 허벅지 길이, 그 외 국가는 엉덩이 길이였다.
소방유니폼에 있어서 스탠드 칼라와 겹여밈 형태는 열 차단에 매우 효과적이며, 코트의 길이 또한 열 차단력과 연관이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엉덩이 길이나 엉덩이아래 길이가 짧은 길이보다 열 차단력이 높고, 팔을 들었을 때 허리선이 당겨 올라가는 불편함도 해소시켜 준다. 소방유니폼의 팬츠는 20개 국가 모두 바지통이 넉넉한 스트레이트 팬츠로 활동성을 고려하였으며, 플랩포켓을 부착하여 기능성을 높였다.
소방유니폼의 색상 분포를 보면, 유채색 계열 71.7%, 무채색 계열 28.3% 비율로 나타났다. 유채색의 10색상 안에서는 Y(24.
9%) 순으로 많았다. 메인 컬러의 색상/색조를 분석한 결과, 저명도 dkg톤의 PB가 13.2%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서브 컬러는 고채도 v톤의 GY가 나타났으며, 액센트 컬러는 무채색의 ltGy가 17%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환경미화원 유니폼의 색상 분포를 보면, 유채색 72.1%, 무채색 27.9%로 나타났다. 유채색의 10색상 안에서는 PB가 18%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은 GY(16.
첫째, 국내·외 경찰유니폼의 디자인을 아이템 구성, 형태, 색채, 문양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아이템 구성은 오스트리아를 제외한 모든 국가가 재킷+셔츠+팬츠로 구성된 쓰리피스 스타일로 대부분이 노치드 칼라가 달린 PB(dk)계열의 싱글 여밈 재킷과 스트레이트 팬츠로 구성된 정형화된 수트를 착용하고 있으며, 명도차가 큰 액센트 배색을 통해 시각적 주목성을 높여 권한과 역할에 대한 신뢰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국내·외 소방유니폼의 디자인을 아이템 구성, 형태, 색채, 문양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아이템 구성은 20개 국가 모두 코트와 팬츠로 구성된 투피스 스타일이고, 대부분 열 차단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스탠드 칼라가 달린 엉덩이 길이의 코트와 품이 넉넉한 팬츠를 착용하여 기능성을 높였으며, 색채 배색은 대부분 강한 시선을 집중시키는 액센트 배색으로 명시성을 높여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부각시키고 있었다.
셋째, 국내·외 환경미화원 유니폼의 디자인을 아이템 구성, 형태, 색채, 문양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아이템 구성은 12개 국가가 점퍼와 팬츠로 구성된 투피스 스타일을 착용하고 있으며, 네덜란드, 덴마크, 프랑스 등 6개 국가는 쓰리피스 스타일이고, 미국은 원피스 스타일인 점퍼 수트를 착용하고 있었다.
6%)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메인 컬러는 YR(v)(6.6%), R(v)/GY(v)(4.9%)순으로 많이 나타났고, 서브 컬러는 GY(v)(9.8%)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액센트 컬러는 mGy(11.5%)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대부분이 셔츠칼라가 달린 점퍼와 스트레이트 팬츠로 구성된 캐주얼 차림으로 활동성을 높였고, 색채는 선명한 고채도인 v톤의 R, YR계열 컬러를 메인 컬러로 사용하여 주·야간 작업시 가시성을 높여 안전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후속연구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공공디자인으로서의 공공유니폼은 공공기관과 국가의 문화와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공공의 이미지 강화 수단으로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전략적이고 통합적인 공공유니폼 디자인은 공공디자인의 체계적인 발전과 문화국가로서의 이미지 향상 및 국가 경쟁력 제고에 효과적이라 판단되며, 더 나아가 시민들에게 심미적 즐거움과 신뢰감을 전달함으로써 공공서비스의 질적 선진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국내·외 대표적인 공공유니폼의 디자인 분석이 사진자료만을 분석하여 소재 부분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데 있다.
전략적이고 통합적인 공공유니폼 디자인은 공공디자인의 체계적인 발전과 문화국가로서의 이미지 향상 및 국가 경쟁력 제고에 효과적이라 판단되며, 더 나아가 시민들에게 심미적 즐거움과 신뢰감을 전달함으로써 공공서비스의 질적 선진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국내·외 대표적인 공공유니폼의 디자인 분석이 사진자료만을 분석하여 소재 부분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데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통합적인 공공디자인으로서 도시 정체성과 이미지 확립에 효과적인 지자체 내 공공유니폼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국내·외 대표적인 공공유니폼의 디자인 분석이 사진자료만을 분석하여 소재 부분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데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통합적인 공공디자인으로서 도시 정체성과 이미지 확립에 효과적인 지자체 내 공공유니폼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용품 디자인의 예시는?
공공용품 디자인은 공공서식류, 공공기관의 내구재 및 소모용품, 군복 및 국가조직을 식별하는 국가 조직 통합물, 공공기관이 제작·관리하는 기념품 등을 의미하며, 공공기관에서 사용되는 집기와 도구, 도시 기념품, 유니폼 등이 포함된다.
공공디자인이란?
공공디자인이란 공공적으로 사용되거나 공공적 성격을 띠는 모든 영역과 대상의 디자인을 가리키고 주로 사적 영역의 디자인과 구별되며, 그 자체가 공공재(public goods)이거나 또는 사유물이라 할지라도 공공적 성격을 띠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공공디자인은 곧 한 사회의 공공성의 질적 수준을 보여주는 사회문화적 인프라이며, 공공사업 (public work)의 필수적인 요소로서 구현되어야 한다(Jung, 2006).
미국의 공공매체 디자인 사례는?
영국 런던의 이슬링턴 카운슬(Islington Council)은 전통적인 문장 원형에 활용된 로고와 색채를 시청 외부 디자인과 안내표지판 및 시청 웹사이트에 일관되게 적용함으로써 읽기 쉽고 통일된 공공매체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다(Figure 6). 미국은 안내표지판으로부터 정보를 좀 더 쉽고 편리하게 얻을 수 있도록 주요 도시나 지역을 색으로 구분하는 특유의 사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통일된 색채와 서체를 사용하여 빠르고 안전하게 도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Figure 7은 필라델피아(Philadelphia)의 관광객들을 위한 안내표지판으로 필라델피아 시가 미국 독립 정신의 요람이며, 성조기가 탄생한 장소라는 점에 착안하여 빨간색 표지판은 주요 구역을 표시하고, 세부적인 안내표지판은 파란색으로 제작되어 관광객들을 안내하고 있다. Figure 8은 이탈리아의 국기 색상인 녹색, 흰색, 빨간색을 도시 이정표에 활용함으로써 국가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한편,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참고문헌 (24)
Antonia Magee. (2010. March 23). Fashion police are in two minds over new victoria police uniforms. heraldsun. http://www.heraldsun.com.au.
Bae, C-B. (1982). A study on the uniform in C. I. P offeration of modern coporate, design review, 2, 219-234.
Choi, M-S. (2009). The design is green. Seoul: Art house.
Chung, K-H., & Lee, M-S. (2009). An analysis of brand identity and uniform image of cosmetic br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5(1), 309-323.
Hwang, J-S., & Suh, M-A. (1998). The satisfactory rates among korean female working uniforr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6(4), 1-12.
Hwang, K-W. (2006). The basic study for legislation making public design Promotion Act.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Johnson, & Richard. (2001). The psychological influence of the police uniform. New York: The FBI law enforcement bulletin.
Jung, B-G. (2006). A study on the public design policy for the cultural industry of 21st centu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Kim, Y-H. (2003). A study on the symbolic representation methods and criteria for uniform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2008). The methods for promotion of the local government public design, '08 policy agenda, Seoul.
Kwan, Y-G. (2007). 2007 Public design expo, Korea public design expo organizing commottee. http://Publicexpo.co.kr/index.html?TPL01_ju.tpl
Kwan, Y-G. (2008). Public design walk-55, topics in public design-. Seoul: Samihun.
Lee, C-H. (2009). The Chungnam review(46). Chungnam development instirute.
Lee, M-R. (2007). Design studies of fire fighting uniforms as a public design. An Yang science university collection of dissertations, 37, 577-586.
Lee, M-S., & Lim, S-M. (2011). Color analysis of public uniform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61(5), 77-92.
Lee, S-M., Ko, E-J., & Lim, Y-K. (2008).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design for better built environment. AURI, 2008(1), 1-116.
Lee, Y-H. (2010). Public design planning theory. Seoul: Parkmungak.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8). '09 Fashion cultural industry assistance planning.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ark, M-H. (2007). Color design book. Seoul: Gilbut.
Promenade design researcher. (2009). Promenade design. Seoul: Korean studies information.
Public design chief office. (2006). Design seoul educational resource 2, Seoul.
Roach, M. E., & Eicher, J. B. (1973). The visible self: Perspectives on dres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Shin, H-Y. (2000). A study on the uniform design for postme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0(7), 33-46.
Shin, M-G. (2009). Study on the cases and formativeness of clothes perceived as public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