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시 뒷채움재의 투수특성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거동
Effect of Rainfall on the Behavior of MSE Wall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5 no.3 = no.70, 2012년, pp.257 - 265  

김대현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이익효 (전남대학교 공학대학 해양토목공학과) ,  김선학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서준형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이광기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우시 보강토옹벽의 붕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강우특성 및 뒷채움재 투수 특성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거동분석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우특성과 뒷채움 재 투수특성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거동을 분석하고자 국내의 보강토옹벽 설계기준에 맞게 모델링 후 강우특성을 반영하여 침투해석 및 유한요소해석을 연계하여 실시하였다. 해석 결과, 강우재현기간 24시간, 48시간, 96시간 조건에서 강우발생기간 및 포화투수계수와 강우강도 비(ks/I)에 따라 보강토옹벽의 배면간극수압, 전면벽체의 최대발생변위, 옹벽전체 안전율의 변화하는 특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화투수계수와 강우강도 비(ks/I)의 조건에서 투수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옹벽 전체안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강우특성을 고려할 때 보강토옹벽의 안정을 위해서는 뒷채움재의 투수계수가 최소 $2.56{\times}10^{-5}m/sec$ 보다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collapse of MSE walls frequently occurs due to the rainfall,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behavior of MSE wall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and the properties of permeability of backfill. In order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MSE wall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강우특성과 뒷채움재 투수특성이 보강토옹벽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국내의 보강토옹벽 설계기준에 맞게 모델링 후 강우특성을 반영하여 침투해석 및 유한요소해석을 연계하여 실시하였다. 강우특성 및 뒷채움재 투수특성에 따라 해석된 결과를 분석하여 강우특성과 뒷채움재 투수특성을 고려한 보강토옹벽의 적절한 설계기준의 기초자료 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강우시 보강토옹벽의 거동해석과 관련하여 기존해석의 미흡함을 보완하기 위해, 불포화사면 해석과 관련하여 신뢰성이 검증된 확률-강우강도개념을 도입한 수치 해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한요소법을 사용하는 수치해석 프로그램으로 해석을 수행하여 보강토 옹벽의 전체 안전율 산정은 물론, 시간에 따른 응력분포 및 변위량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우시 불포화토의 매개변수인 점착력, 내부마찰각, 체적함수비, 뒷채움재의 투수계수, 강우강도 등의 요인 중 강우특성과 뒷채움재의 투수특성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거동을 분석하고자 MIDAS GTS 프로그램으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뒷채움재의 투수특성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거동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김영상 등[5], 정상섬 등[8]의 연구를 바탕으로 100년 빈도의 Talbot형 확률강우강도 식에 강우재현기간 24시간, 48시간, 96시간을 적용하여 강우종료 후 100일이 경과할 때까지 추가적인 침투해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강우특성과 뒷채움재 투수특성이 보강토옹벽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국내의 보강토옹벽 설계기준에 맞게 모델링 후 강우특성을 반영하여 침투해석 및 유한요소해석을 연계하여 실시하였다. 강우특성 및 뒷채움재 투수특성에 따라 해석된 결과를 분석하여 강우특성과 뒷채움재 투수특성을 고려한 보강토옹벽의 적절한 설계기준의 기초자료 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침투해석 및 유한요소해석을 연계하여 실시한 결과의 어떤 특성을 알 수 있었는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우특성과 뒷채움 재 투수특성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거동을 분석하고자 국내의 보강토옹벽 설계기준에 맞게 모델링 후 강우특성을 반영하여 침투해석 및 유한요소해석을 연계하여 실시하였다. 해석 결과, 강우재현기간 24시간, 48시간, 96시간 조건에서 강우발생기간 및 포화투수계수와 강우강도 비(ks/I)에 따라 보강토옹벽의 배면간극수압, 전면벽체의 최대발생변위, 옹벽전체 안전율의 변화하는 특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화투수계수와 강우강도 비(ks/I)의 조건에서 투수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옹벽 전체안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강우특성을 고려할 때 보강토옹벽의 안정을 위해서는 뒷채움재의 투수계수가 최소 $2.
콘크리트 옹벽 시공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지형적인 특성상 산악지가 대부분이므로 토목공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절토 사면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절토사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부지의 공간활용을 목적으 로 대표적인 토압구조물인 콘크리트 옹벽이 많이 시공되어 왔으나 최근 시공성 및 환경성을 고려하여 보강토옹벽이 많이 시공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우량은 약 1,200~1,400mm 정도로 이러한 강우량의 대부분이 6~9월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7~8월에 집중되어 도로 및 절·성토사면의 붕괴를 초래하고 있다.
여름철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우량이 집중됨에 따라 초래되는 토목 현상은? 우리나라의 지형적인 특성상 산악지가 대부분이므로 토목공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절토 사면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절토사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부지의 공간활용을 목적으 로 대표적인 토압구조물인 콘크리트 옹벽이 많이 시공되어 왔으나 최근 시공성 및 환경성을 고려하여 보강토옹벽이 많이 시공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우량은 약 1,200~1,400mm 정도로 이러한 강우량의 대부분이 6~9월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7~8월에 집중되어 도로 및 절·성토사면의 붕괴를 초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강우특성이 절·성토사면 및 보강토옹벽 붕괴의 발생과 큰 관련이 있음을 유추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G.-K. Lee (2011) Behavior of MSE Wall with variying hydraulic conductivity of back fill, Master's Thesis, Chosun Univ. 

  2. Design criterion of MSE Wall for highway (2007)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3. O.-H. Kwon, Y.-J. Park, D.-H. Seo (2009) "Design and construction criterion of MSE Wall in preparation for climatic change", Jr. of Geosynthetics Conference, pp. 91-100. 

  4. S.-K. Kim, Y.-M. Kim (1991) Slope instability due to rainfall, Jr. of Korean Geotecnical Society, 7(1), pp. 53-64. 

  5. Y.-S Kim, S.-R Lee, D.-N. Seo, Y.-K. Kim (2006) Determination of relative importance of input parameters affecting the stability of unsaturated slope, Jr.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pp. 3841-3844. 

  6. C.-S. Yoo, S.-B. Kim, J.-Y. Han (2008) Numerical study on the stability of a MSE wall during rainfall, Jr. of Korean Geotecnical Society, 24(12), pp. 23-32. 

  7. S.-Y. Lim, T.-J. Lyu (2008) Analysis of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 and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hydraulic conductivity equation, Jr. of Korean Geotecnical Society, 24(1), pp. 5-13. 

  8. S.-S. Jeong, J.-Y. Choi, J.-H. Lee (2009) Analysis on the stability of unsaturated weathered slope, Jr.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9(1), pp. 1-9. 

  9. C.W.W. Ng, Q. Shi (1998) "A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stability of unsaturated soil slopes subjected to transient seepage", Computer and Geotechnics, 22(1), pp. 1-28. 

  10. Y. Sun (1995) A study on stability analysis of shallow layer slope due to raining permeation, Proceedings of the First Int. Conf. on Unsaturated Soils, Paris, pp. 315-320. 

  11. E. Alonso, A. Gens, A. Lloret (1995) Effect of rain infiltration on the stability of slope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 Conf. on Unsatur-ated Soils, Paris, pp. 241-249. 

  12. F. Cai, K. Ugai, A. Wakai, Q. Li (1998) "Effect of horizontal drains on slope stability under rainfall by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Computers Geotechnics, 23, pp 255- 275. 

  13. J.-W. Lee, C.-Y. Choi, S.-H. Lee (2006) Analysis of geotextile used in soft soi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9(1), pp. 69-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