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의 조석변화에 따른 염분분포와 담수와의 상관관계
Relation of Freshwater Discharge and Salinity Distribution on Tidal Variation around the Yeomha Channel, Han River Estuary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4 no.4, 2012년, pp.269 - 276  

윤병일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우승범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구 및 감조 하천의 염분분포는 조석, 담수, 바람 그리고 지형적 효과와 같은 다양한 외력의 작용과 시스템의 결합에 의해서 독특한 특성을 보인다. 연안 및 하구지역에서 염분구조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해양학적, 수질 생태학적 그리고 공학적 문제를 접근할 때 반드시 필요하다. 2007년 5월부터 6월까지 약 50일 동안 한강하구 염하수로의 남쪽과 북쪽입구 부근에서 수로방향의 염분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 표층 염분을 관측하였다. 장기간의 염분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장 단기적인 조석 변동과 담수에 따라서 염분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담수유입량의 계절적 변화에 따른 염하수로의 주축방향 염분분포의 특성을 국립수산과학원의 국가해양관측망 자료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담수유입량과 염분분포의 관계를 비선형 회귀식을 사용하여 제시하였고, 조석과 담수유입량 그리고 지형적 영향을 고려한 염분침입 거리의 경험식을 제시하였다. 지형학적 영향까지 고려한 염분침입 거리의 경험식과 기존 문헌자료의 염분분포를 비교할 때 연구지역의 염분분포는 조석, 담수의 영향과 함께 지형적 영향에 의해서도 염수침입 한계 지점 및 염분분포의 구조적 특성이 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linity distribution in estuary and tidal river is presented by many parameters including tidal forcing, river discharge and geographical effec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alinity structure is very important in the aspect of water-quality, ecological, and engineering viewpoint. Field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50일 이상 관측된 염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조석변동과 담수 유입량에 따른 한강하구역의 시·공간적인 염분 분포 양상을 연구하였다.
  • 조 등(2008)은 경기만 남쪽해역의 아산 및 대산 연안에서 10년 동안의 NFRDI 자료를 이용하여 염분자료의 상관관계 및 육상에서 배출되는 담수유출량과 염분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NFRDI에서 제공하는 인천 연안지역의 염분자료를 이용하여 계절적, 공간적인 염분분포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구의 염분에 시·공간적인 변화가 미치는 영향은? 조석 및 담수 유입에 의한 혼합 또는 성층, 경압 흐름의 변화로 나타나는 하구의 수직·수평적 염분분포는 해수순환 및 물질이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원인 중에 하나이다. 염분의 시·공간적인 변화는 유기물, 박테리아 및 동·식물의 생존 및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며 수자원의 확보 및 관리, 구조물 설치에 필요한 공학적인 설계에서도 매우 중요하다(Haas, 1977; Conomos et al., 1979; Kuo and Neilson, 1987).
하구란? 하구는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기수역으로 해양학적, 수질·생태학적 변화가 활발하며, 인위적인 활동에 의해 지속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지역이다. 하구의 염분분포는 담수 유입량, 조석의 진폭과 위상변화, 바람, 수직·수평방향의 혼합작용, 바닥 및 측면 경계의 마찰작용의 시·공간적인 변화에 의해서 나타난다(Savenije, 2005).
하구의 염분분포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하구는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기수역으로 해양학적, 수질·생태학적 변화가 활발하며, 인위적인 활동에 의해 지속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지역이다. 하구의 염분분포는 담수 유입량, 조석의 진폭과 위상변화, 바람, 수직·수평방향의 혼합작용, 바닥 및 측면 경계의 마찰작용의 시·공간적인 변화에 의해서 나타난다(Savenije, 2005). 조석 및 담수 유입에 의한 혼합 또는 성층, 경압 흐름의 변화로 나타나는 하구의 수직·수평적 염분분포는 해수순환 및 물질이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원인 중에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건설교통부 (2002). 한강 하천정비 기본계획(팔당댐-하구). 

  2. 김동화 (2002). 한강하구역에서의 생지화학적 상호작용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3. 김정균 (1972). 하계 한강하류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분류와 해수 지표성. 한국육수학회지, 15, 31-41. 

  4. 박경수 (2004). 한강 하구역의 염분 분포 및 생태환경 특성. 한국습지학회지, 6(1), 14-31. 

  5. 윤병일, 우승범 (2011). 조석 전파 특성을 활용한 한강하구 주요 수로의 지형학적 수렴과 바닥 마찰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3(5), 383-392. 

  6. 장현도 (1989). 한강종합개발 이후 한강하구 및 경기만에서의 퇴적환경의 변화.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7. 조홍연, 조범준, 김상준 (2008). 계절별 염분 자료를 이용한 아산만 연안의 담수 영향범위 추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0(2), 219-231. 

  8. Brockway, R., Bowers, D., Hoguane, A., Dove, V. and Vassele, V., (2006). A note on salt intrusion in funnel-shaped estuaries: application to the Incomati estuary. Mozambique.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6(1-2), 1-5. 

  9. Conomos, T. J., Smith, R. E., D. Peterson, H. S., Hager, W. and Schemel, L. E. (1979). Processes affecting seasonal distributions of water properties in the San Francisco Bay estuarine system. In T. J. Conomos (ed.), San Francisco Bay: The Urbanized Estuary. Pacific Division, Am. Ass. Adv. Sci., San Francisco, Calif. 115-141. 

  10. Garvine, R. W., McCarthy, R. K. and Wong, K. C. (1992). The axial salinity distribution in the Delaware Estuary and its weak response to river discharge. Estuarine Coastal Shelf Science, 35, 157-165. 

  11. Geyer, W. R., Trowbridge, J. and Bowen, M. (2000). The dynamics of a partially mixture estuary.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30, 2035-2048. 

  12. Haas, L. W., (1977). The effect of the spring-neap tidal cycle on the vertical salinity structure of the James. York and Rappahannock River, Virginia, U.S A. Estuar. coast. mar. Sci., 5, 485-496. 

  13. Huang, W. and Spaulding, M. (2000). Correlation of sub-tidal salinity and freshwater inflow in a tidal river. Journal of Waterway, Port, and Ocean Engineering, ASCE. 126(5). 264-266. 

  14. Ippen, A. T. (1966). Estuary and Coastline Hydrodynamics. McGraw-Hill, New York. 

  15. Kuo, A. Y. and Neilson, B. J. (1987). Hypoxia and salinity in Virginia estuaries. Estuaries 10, 277-283. 

  16. Monismith, S. G., Kimmerer, W., Burau, J. R. and Stacey, M. T. (2002) Structure and flow-induced variability of the subtidal salinity field in northern San Francisco Bay.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32, 3003-3019. 

  17. Oey, L. Y. (1984). On steady salinity distribution and circulation in partially mixed and well mixed estuaries,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14, 629-645. 

  18. Officer, C. B. (1976). Physical Oceanography of Estuaries (and associated coastal waters). Wiley. 

  19. Park, K., Oh, J. H., Kim, H. S. and H. H. Im (2002). Case study: Mass Transport Mechanism in Kyunggi Bay around Han River Mouth.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28(3), 257-267. 

  20. Prandle, N. A. (1981). Salinity intrusion in estuaries.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11, 1311-1324. 

  21. Ralston, D. K., Geyer, W. R. and Lerczak J. A. (2008). Subtidal salinity and velocity in the Hudson River Estuary: Observations and modeling.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38(4), 753-770. 

  22. Savenije, H. H. G. (1993). Composition and driving mechanisms of longitudinal tidal average salinity dispersion in estuaries. Journal of Hydrology, 144, 127-141. 

  23. Savenije, H. H. G. (2005). Salinity and Tides in Alluvial Estuaries. Elsevier, Amsterdam. 

  24. Uncles, R. J., and Radford, P. J. (1980). Seasonal and spring-neap tidal dependence of axial dispersion coefficients in the Severn a wide, vertically mixed estuary. Journal of Fluid Mechanics, 98, 703-726. 

  25. Warner, J. C., Geyer, W. R. and Lerczak, J. A. (2005). Numerical modeling of an estuary: A comprehensive skill assessmen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0(C05001), doi:10.1029/2004JC002691. 

  26. Woo, S. B. and Yoon, B. I. (2011). The classification of estuary and tidal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the Gyeong-Gi bay, South Kore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pecial Issue 64, 1624-16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