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퇴적물 중 브롬화난연제 농도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rominated flame retardants in sediments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5 no.4, 2012년, pp.242 - 249  

김태승 (국립환경과학원) ,  신선경 (국립환경과학원) ,  오정근 (요코하마대학 대학원 환경정보학부) ,  박종은 (전북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 중 브롬화난연제의 잔류농도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금강과 낙동강 수계 및 하구언에서 총 11개 시료를 대상으로 PBDEs와 HBCD를 분석하였다. PBDEs의 총 농도 검출범위는 2.19~101.34 ng/g-dw, 평균농도는 30.70 (중앙값 20.91) ng/g-dw로 나타났으며 하천이 하구언에 비해 농도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HBCD 농도범위는 N.D.~7.85 ng/g-dw, 평균농도는 1.47 (중앙값 0.34) ng/g-dw로 나타났다. HBCD 농도는 PBDEs에 비해 약 1/20 정도 낮은 범위로서 이는 국내에서 사용된 브롬화 난연제 중 HBCD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PBDEs와 HBCD의 이성체 분포를 확인한 결과, 상업용 제품사용에 의한 유출과 같은 직접적인 원인 외에도 이들 물질의 물리 화학적 성질과 광학적 분해 및 환경 중 거동 특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분포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tal 11 samples of sediments from the Geum river and the Nakdong river and its estuari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BDEs and HBCD. Concentration of PBDEs in sediments ranged from 2.19~101.34 (average 30.70, median 20.91) ng/g-dw. The concentration range of PB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을 대상으로 PBDEs와 HBCD의 농도분포와 이성질체 분포패턴을 검토하여 이들 물질의 오염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롬화난연제란? 브롬화난연제(Brominated flame retardants; BFRs)는 플라스틱, 건축자재, 가전제품 및 섬유제품 등 가연성 물질의 화재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 화학물질이다. 이들 중 Polybrominated diphenylethers (PBDEs)와 Hexabromocyclododecane (HBCD)는 대표적인 브롬화난연제 물질로서 생물 농축성과 생식이상 및 간독성을 유발시키는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분류되고 있으며1-2 환경 및 인체오염 사례는 1980년대부터 선진국에서 보고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인 브롬화난연제 물질로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분류된 물질은? 브롬화난연제(Brominated flame retardants; BFRs)는 플라스틱, 건축자재, 가전제품 및 섬유제품 등 가연성 물질의 화재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 화학물질이다. 이들 중 Polybrominated diphenylethers (PBDEs)와 Hexabromocyclododecane (HBCD)는 대표적인 브롬화난연제 물질로서 생물 농축성과 생식이상 및 간독성을 유발시키는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분류되고 있으며1-2 환경 및 인체오염 사례는 1980년대부터 선진국에서 보고되기 시작하였다.3-5
환경 중으로 배출된 브롬화난연제 물질은 어떤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가? PBDEs와 HBCD 등 브롬화난연제 물질은 산업시설을 비롯하여 가정 생활용품 등 발생원이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 발생원으로부터 환경 중으로 배출된 후 환경매체로 이동하면서 하천수나 강우유출 등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퇴적물에 축적되어6 저서생물 등 수생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하천 및 호소 퇴적물에서 중금속과 유기염소계화합물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에 대한 실태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브롬화난연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eri Peele, 'Washington state PBDE chemical action plan',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ecology, 17-20, 2004. 

  2. Ann Blake, Ph, D, The next generation of POPs : PBDEs and Lindane, International POPs Elimination Network, 3, 2005. 

  3. K. Nylund, L. Asplund, B. Janssen, P. Jonsson, K. Litzen and U. Sellstrom, Chemosphere, 24, 1721-1730 (1992). 

  4. N. H. Minh, Y. Isobe, D. Ueno, K. Matsumoto, M. Mine, N. Kajiwara, S. Takahashi and S. Tanabe, Environ. Pollution., 148, 409-417 (2007). 

  5. D. Meironyte, A. Bergman and K. Noren, Arch. Environ. Contam. Toxicol., 40, 564-570 (2001). 

  6. Korea Environment Institit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ediments from lake and river', 1998. 

  7. Environment Ministry of Japan, 'Information on survey of chemicals', 2009. 

  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Survey on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in environment of NEW POPs(II)', 2011. 

  9. H.-H. Kang, 'Spatial distribution of brominated flame retardants in surface sediment of the Nakdong River in Korea Domestic' Master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2011. 

  10. S. U. We, J. H. Yoon and N. W. Min, Environ. Eng. Res., 32(5), 427-436 (2010). 

  11. K. Ramu, T. Isobe, S. Takahashi, E.-Y. Kim, B.-Y. Min and S-U We, Chemosphere, 79(7), 713-719 (2010). 

  12. W. Song, A. Li, J. C. Ford, N. C. Sturchio, K. J. Rockne, D. R. Buckley and W. J. Mills, Environ. Sci. Technol., 39, 5600-5605 (2005). 

  13. N. H. Minh, T. Isobe, D. Ueno, K. Matsumoto, M. Mine, N. Kajiwara, S. Takahashi and S. Tanabe, Environ. Pollut., 148, 409-17 (2007). 

  14. E. Eljarrat, D. Larrazabal, B. Fabrellas, A. R. Fernandez- Alba, F. Borrull, R. M. Marce and D. Barcelo, Environ. Pollut., 136(3), 493-501 (2005). 

  15. S. J. Chen, X. J. Gao, B. X. Mai, Z. M. Chen, X. J. Luo, G. Y. Sheng, J. M. Fu and E. Y. Zeng, Environ. Pollut., 144, 951-957 (2006). 

  16. T. A. Verslycke, A. D. Vethaak, K. Arijs and C. R. Janssen, Environ. Pollut., 136, 19-31 (2005). 

  17. B. X. Mai, S. J. Chen, X. J. Luo, L. G. Chen, Q.S. Yang, G. Y. Peng, J. M. Fu and E. Y. Zeng, Environ. Sci. Technol., 39, 3521-3527 (2005). 

  18. C. H. Marvin, G. T. Tomy, M. Alaee and G. Macinnis, Chemosphere, 64(2), 268-759 (2006). 

  19. H. Stuart, A. A Mohamed, L. R. Neil, D. Simon and T. A. Davidson, Environ. Sci. Technol, 43(24), 9077-9083 (2009). 

  20. P. Guerra, A. De La Cala, G. Marsha, E. Eljarrata and D. Barcelo, J. Hydrol., 369, 360-367 (2009). 

  21. S. Managaki, I. Enomoto and S. Masunaga, Environ Monitor, 14(3), 901-977 (2012). 

  22. S. Thorsten, K. Andrea, R. Matthias, S. George, W.-S. Evelyn and L. Peter, Organohalogen Compounds, 70, 1590-1593 (2008). 

  23. H. Li, H. Shang, P. Wang, Y. Wang, H. Zhang, Q. Zhang and G. Jiang. J. Environ. Sci., 24, in press (2012). 

  24. Cischem, 'Status report on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of BFRs', 2009. 

  25. MARK J. LA GUARDIA, ROBERT C. HALE and ELLEN HARVEY., Environ. Sci. Technol, 40, 6247-6254 (2006). 

  26. V. H. Norbert, W. B. Schweiz, M. Kohler and A. C. Gerecke, Chemosphere, 61, 65-73 (2005). 

  27. M. Peled, R. Scharia and D. Sondack, In 'Advances in Organobromine Chemistry II', p.92-99, Elsevier, Amsterdam, 1995. 

  28. A. C. Gerecke, W. Giger, P. C. Hartmann, N. V. Heeb, H. E. Kohler, P. Schmid, M. Zennegg and M. Kohler, Chemosphere, 64, 311-317 (2006). 

  29. Environment Ministry of Japan, Studies on Material Cycles and Waste Management, 2011. 

  30. Juan Bezares-Cruz, Chadt. Jafvert and Inezhua, Environ. Sci. Technol. 38, 4149-4156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