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희귀수종 눈잣나무의 구과보호망 효과 및 구과와 종자의 형태적 변이
The Effect of Cone Protective Net and the Morphological Variation of Cone and Seed of Korea Rare Endemic Pinus pumila Regel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5 no.4, 2012년, pp.401 - 406  

송정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임효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장경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김두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손장익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유일 설악산에만 분포하는 희귀수종 눈잣나무의 현지외 보존을 위한 종자수집에 따른 구과보호망의 효과와 수집된 구과와 종자의 형태적 특성 변이를 조사하였다. 철망으로 설치된 구과보호망(50 mesh, 25 ${\times}$ 25 cm)은 설치류나 조류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종자유전자원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월 초순부터 설치하는 것이 처리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눈잣나무 구과는 열개하지 않는 폐과이며 종자에는 날개가 없고 주로 잣까마귀와 설치류 등의 먹이저장 습성에 의해 종자가 산포된다. 구과의 형태적 특성 변이는 개체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평균특성은 구과길이 35.3 mm, 구과폭 25.6 mm, 구과지수 1.38, 구과건중 6.6 g, 구과당 종자수 39.3립을 각각 나타냈다. 종자는 삼각모양의 달걀형으로 날개가 없으며 개체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평균특성은 종자길이 8.12 mm, 종자폭 5.81 mm, 종자지수 1.40,종자두께 4.62 mm, 종자무게 0.11 g을 각각 나타냈다. 변이계수 값은 구과건중과 구과당 종자수에서만 비교적 높은 21.7%와 21.5%를 각각 나타냈다. 구과와 종자특성 상관분석에서는 구과와 종자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고 모양이 길어지며, 무게도 많이 나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또한 종자폭이 넓고 종자두께가 두꺼울수록 구과당 종자수는 작아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e protective net and the variation of cone and seed characteristics of a unique and rare dwarf stone pine (Pinus pumila Regel) population in Mt. Seorak which is in the southern peripheral of South Korea. Iron protective net (50 mesh, 25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희귀수종 눈잣나무의 현지외 보존을 위한 전략적 구과수집에 따른 구과보호망의 효과와 수집된 구과와 종자의 형태적 특성 변이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금후 수집된 종자유전자원은 소실위험에 대비하고 육종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안정적인 유전다양성 보존을 통한 현지외 유전자 보존림을 조성할 계획이다.
  • , 2010) 등 일부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 현지외 유전자원 보존을 위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2011년 설악산 깃대종(flagships species)인 눈잣나무 유전자(gene)를 영구보존하기 위하여 종자은행 구축 및 현지외 유전자원 보존림 조성을 위한 연구에 착수하였다. 강릉산림항공관리소와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의 협조를 받아 대청봉 일대 눈잣나무 군락지의 착과된 유구과(conelet)에 설치류나 조류 등의 피해 방지를 위한 보호망 648대를 2011년 8월 25개체에 씌웠으며 구과가 완전히 성숙된 9월에 13,083립의 종자유전자원을 수집하여 유전자은행(gene bank)에 안정적으로 장기 보존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눈잣나무란? 눈잣나무(Pinus pumila Regel)는 Pinus 속의 Cembrae subsection에 속하며 한국, 일본, 만주의 고산지대를 포함한 시베리아 동부 및 극동지역의 북쪽에 주로 분포하는 수종이다(Lee, 1990; Critchfield and Little, 1996; IUCN, 2011). 세계자연보존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의 적색목록(Red List) 평가기준에 의하면 약관심종(LC, Least Concern)으로 구분되어 있다(IUCN, 2011).
설악산 눈잣나무 집단의 분포 위치와 형태는? 설악산 눈잣나무 집단은 남한에 존재하는 유일한 집단으로 중청봉과 대청봉 능선의 양쪽 사면에 대규모의 집단을 이루며 소규모의 군락 또는 아집단의 형태로 불규칙하게 분포하고 있다(Kwon et al., 2010).
설악산 눈잣나무 집단에 대해 특별한 보존 대책을 마련해야 할 이유는? , 2010). 설악산 집단에 대한 동위효소 분석 결과에 의하면 유전자의 소멸위험도를 나타내는 고정지수(fixation index)가 0.21로 매우 높고 유전다양성도 러시아 등 주 분포지에 비해 월등히 낮아 특별한 보존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소멸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Goncharenko et al., 1992; Goncharenk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K.Y. 1971. Principal characteristics of Pinus parviflora S. et Z. native to the Dagelet Island. Jour. Korean For. Soc. 12:31-43 (in Korean). 

  2. Critchfield, W.B. and E.L. Little. 1966. Geographic Distribution of the Pines of the World.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Miscellaneous Publication 991, DC. pp. 1-97. 

  3. Fu, L., Y. Xin and A. Whittemore. 2003. Pinaceae: In Fu, L., N. Li and R.R. Mill (eds.), Flora of China, Vol. 4,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pp. 11-52. 

  4. Goncharenko, G.G., V.E. Padutov and A.E. Silin. 1992. Population structure, gene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innatural populations of cedar pines (Pinus subsect. Cembrae, Pinaceae) in the USSR. Plant Syst. Evol. 182:121-134. 

  5. Goncharenko, G.G., V.E. Padutov and A.E. Silin. 1993. Allozyme variation in natural populations of Eurasian pines. I. Population structure, genetic variation, and differentiation in Pinus pumila (Pall.) Regel from Chukotsk and Sakhalin. Silvae Genet. 42(4-5):237-246. 

  6. Han, S.U. and J.S. Yi. 1996. Age-age correlation for height growth of open-pollinated progenies of Pinus koraiensis in relation to their cone and seed characteristics. Kor. J. Breed. Sci. 28(1):63-68. 

  7. Hong, Y.P., H.Y. Kwon, B.H. Yang, S.W. Lee, C.S. Kim and S.D. Han. 2004. Genetic states of an isolated relict population of dwarf stone pine in Mt. Seorak. Jour. Korean For. Soc. 93(5):393-400 (in Korean). 

  8. IUCN. 20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2011.12.20.). 

  9. Kajimoto, T. 2002. Factors affecting seedling recruitment and survivorship of the Japanese subalpine stone pine, Pinus pumila, after seed dispersal by nutcrackers. Ecol. Res. 17:481-491. 

  10. Kim, C.S., S.H. Han, W.Y. Lee, J.C. Lee, Y.K. Park and C.Y. Oh. 2005. Biochemical adaptation of Pinus pumila on low temperature in Mt. Seorak, Korea. Korean J. Plant Res. 8(3):217-224. 

  11. Kong, W.S. 2006. Biogeography of native Korean Pinacea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1(1):73-93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09.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Pub. Co., Seoul, Korea. pp. 83 (in Korean). 

  13. Kwon, H.J., J.H. Gwon, K.S. Han, M.Y. Kim and H.K. Song. 2010. Subalpine forest vegetation of Daecheongbong area, Mt. Seoraksan. Kor. J. Env. Eco. 24(2):194-201 (in Korean). 

  14. Lee, T.B. 1990. Dendrology. Hyangmoon Pub. Co., Seoul, Korea. pp. 75-77 (in Korean). 

  15. Lee, T.B. 2006.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oon Pub. Co., Seoul, Korea. pp. 136 (in Korean). 

  16. Lim, H.J. 1986. Taxonomical relationship of the five Pinus Species in the Subgenus haploxylon. Kor. J. of Breed. Sci. 18(4):358-373 (in Korean). 

  17. Nakonechnaya, O.V., A.B. Kholina, O.G. Koren, V. Janecek, A. Kohutka, R. Gebauer and Y.N. Zhuravlev. 2010. Characterization of gene pools of three Pinus pumila (Pall.) Regel populations at the range margins. Russ. J. Genet. 46(12):1417-1427. 

  18. Okitsu, S. and K. Ito. 1984. Vegetation dynamics of the Siberian dwarf pine (Pinus pumila Regel) in the Taisetsu mountain range, Hokkaido, Japan. Vegetation 58:105-113. 

  19. Tani, N., N. Tomaru, M. Araki and K. Ohba. 1996. Genetic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in populations of Japanese stone pine (Pinus pumila) in Japan. Can. J. Forest Res. 26(8):1454-1462. 

  20. Watano, Y.W., M. Imazu and T. Shimizu. 1995. Chloroplast DNA Typing by PCR-SSCP in the Pinus pumila-P. parviflora var. pentaphylla complex (Pinaceae). J. Plant Res. 108:493-4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