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양치식물의 생활형 구성 분석
Composition of Pteridophyta's Life-form Spectra in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5 no.4, 2012년, pp.433 - 446  

강우창 (국립수목원) ,  정승선 (국립수목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적인 인자와 양치식물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우리나라 양치식물 총 321분류군을 대상으로 이들의 생활형에 대하여 휴면형태 및 잎의 계절성을 중심으로 한 분류군별 구성 분석을 수행하여 국내 양치식물의 life-form spectrum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휴면형의 경우, Raunkiaer의 기준으로, 국내 외 표본관의 소장표본 및 전문 연구 자료를 조사하여 구분 정리하였으며, 잎의 계절성에 대하여는 문헌, 개인관찰기록, 개인서신 등에 기초하였다. 아울러 분류 정리된 생활형을 중심으로 각 과별 특성도 살펴보았다. 잎의 계절성 양상에 따른 구분 결과로는 하록성(d), 상록성(e), 동록성(sd)이 각각 37.4%, 59.2%, 1.9%으로 상록성 양치식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류군별 휴면형에 따라서는 반지중식물(Hemicryptophytes: H)이 42.1%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지중식물(Geophytes: G)과 착생식물(Epiphytes: E)이 각각 25.5%, 15.9% 이었으며, 지표식물(Chamaephytes: Ch)이 11.8%로 조사되었다. 향후 지역별 식물상에서 양치식물상을 추출하여 유사한 spectrum을 나타내는 지역을 연결한 양치식물 생활형선(Ptph. life-form line)을 도출함으로써 우리나라 양치식물의 분포역 고찰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liminary study for providing the relationship of the factors which are climate and the pteridophyta was carried out. Dormancy form and leaf phenology of the 321 taxa belonging to 27 families were analyzed. This survey shows life-form spectrum of Korean fer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후적인 인자와 양치식물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우리나라 양치식물 총 321분류군을 대상으로 이들의 생활형에 대하여 휴면형태 및 잎의 계절성을 중심으로 한 분류군별 구성・분석을 수행하여 국내 양치식물의 life-form spectrum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휴면형의 경우, Raunkiaer의 기준으로, 국내・외 표본관의 소장표본 및 전문 연구 자료를 조사하여 구분・정리하였으며, 잎의 계절성에 대하여는 문헌, 개인관찰기록, 개인서신 등에 기초하였다.
  • 양치식물의 생활형(life-form)에 대하여는 Park(1975) 과 Lee(1996)가 연구문헌을 통하여 간략히 기재하여 정리한 바 있으나, 정확한 구분에 있어서는 다소 혼재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적인 인자와 양치식물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분류・동정된 양치식물의 확증표본, 생체 등을 대상으로 이들의 정확한 생활형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이들의 휴면 형태 및 잎의 계절성을 중심으로 한 분류군별 구성・분석을 수행하여 우리나라 양치식물의 life-form spectrum을 작성・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면형의 경우 어떻게 구분 정리하였는가? 기후적인 인자와 양치식물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우리나라 양치식물 총 321분류군을 대상으로 이들의 생활형에 대하여 휴면형태 및 잎의 계절성을 중심으로 한 분류군별 구성 분석을 수행하여 국내 양치식물의 life-form spectrum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휴면형의 경우, Raunkiaer의 기준으로, 국내 외 표본관의 소장표본 및 전문 연구 자료를 조사하여 구분 정리하였으며, 잎의 계절성에 대하여는 문헌, 개인관찰기록, 개인서신 등에 기초하였다. 아울러 분류 정리된 생활형을 중심으로 각 과별 특성도 살펴보았다.
잎의 계절성 양상에 따른 구분 결과는 어떠한가? 아울러 분류 정리된 생활형을 중심으로 각 과별 특성도 살펴보았다. 잎의 계절성 양상에 따른 구분 결과로는 하록성(d), 상록성(e), 동록성(sd)이 각각 37.4%, 59.2%, 1.9%으로 상록성 양치식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류군별 휴면형에 따라서는 반지중식물(Hemicryptophytes: H)이 42.1%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지중식물(Geophytes: G)과 착생식물(Epiphytes: E)이 각각 25.5%, 15.9% 이었으며, 지표식물(Chamaephytes: Ch)이 11.8%로 조사되었다. 향후 지역별 식물상에서 양치식물상을 추출하여 유사한 spectrum을 나타내는 지역을 연결한 양치식물 생활형선(Ptph.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양치식물은 세계적으로 몇종 이상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는가? 양치식물은 현재 세계적으로 12,800여종 이상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350여 종류이상이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양치식물에 대하여 Park(1975)이 272분류군, Lee(1996) 가 244분류군, Korean fern society (2005)가 331분류군으로 정리한 바 있으며, 가장 최근으로는 Korea National Arboretum(2008a)이 334분류군 등으로 정리하여 발표하였는데, 이들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수의 종수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damson, R.S. 1939. The classification of life-forms of plants. Bot. Rev. 5(10):546-561. 

  2. Batalha, M.A. and F.R. Martins. 2004. Floristic, frequency, and vegetation life-form spectra of a cerrado site. Braz. J. Biol. 64(2):203-209. 

  3. Biodiversity Research Center, Herbarium, Academia Sinica (HAST). 2011. http://www.hast.biodiv.tw/Specimens/ SpecimenDetailC.aspxspecimenOrderNum115525 

  4. Britton, N.L. and A. Brown. 1913. An illustrated flora of the northern united states, canada and the british possessions. 3 vols. Charles Scribner's Sons, New York. Vol. 1: 3. Courtesy of Kentucky Native Plant Society. 

  5. Cain, S.A. 1950. Life-forms and phytoclimate. Bot. Rev. 16(1): 1-32. 

  6. Carvalho da Costa, R.F. Soares de Araujo and L. Wilson Lima-Verde. 2007. Flora and life-form spectrum in an area of deciduous thorn woodland (caatinga) in northeastern, Brazil. Jour. of Arid Environ. 68:237-247. 

  7. Digital Herbarium, Botanischer Garten und Botanisches Museum Berlin-Dahlem (BGBM). 2011. http://ww2.bgbm. org /herbarium/Access 

  8. Folklore & Natural history Museum Jeju (FNMJ). 2011. http://www.naris.go.kr/v2/naris_search/search_result_detail.jspinst_id1163936 

  9. Hemp, A. 2001. Ecology of the Pteridophytes on the southern slopes of Mt. Kilimanjaro. Part II: Habitat selection. Plant Biology 3:493-523. 

  10. Iwatsuki, K. 1992. Ferns and Fern Allies of Japan. Heibonsha, Tokyo, Japan. 

  11. Khokhryakov, A.P. 1979a. Life forms of pteridophyta, their origin and evolution. Biology Bulletin of the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SR. 6:209-220. 

  12. Khokhryakov, A.P. 1979b.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of life forms of plants. Biology Bulletin of the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SR. 6:476-486. 

  13. MusE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P). 2011. http://plants.jstor.org/specimen/p00630723 

  14. Nakaike, T. 1992. New Flora of Japan - Pteridophyta. Shibundo, Tokyo, Japan. 

  15. National Museum of Nature and Science (TNS). 2011. http://mitizane.ll.chiba-u.jp/meta-bin/mt-pdetail.cgicd00067681 

  16. Natural History Museum (BM). 2011. http://plants.jstor.org/specimen/bm001038319 

  17.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Claredon Press, London, England. 

  18. San Martin, C. and M. Alvarez. 2009. Floristic composition of anthropogenic seasonal wetlands in the coastal mountain range of Cautin, Chile. AGRO SUR 37(1):9-25. 

  19. Sudhakar R.C., P. Hari Krishna, S.L. Meena, Ruchira Bhardwaj and K.C. Sharma. 2011. Composition of life forms and biological spectrum along climatic gradient in rajasthan, India. Int. Jour. of Environmental Sci. 1(7):1632 -1639. 

  20. Tareen, R.B. and S.A. Qadir. 1993. Life form and leaf size spectra of the plant communities of diverse areas ranging from harnai, sinjawi to duki regions of parkistan. Pak. J. Bot. 25(1):83-92. 

  21. Cha, J.W. W.T. Lee and S.A. Lee. 1975. The climate and vegetation of Korea. Seomundang, Seoul, Korea (in Korean). 

  22. Jung, S.S., K.H. Lee and K.T. Yeo. 2006. The distribution and life-form of ferns in gwangneung forest. Korean J. Plant Res. 19(5):592-597 (in Korean). 

  23. Korean Fern Society (KFS).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in Korean). 

  24.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08a.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25.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26.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11.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www.nature.go.kr).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27.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28. Lee, W.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29. Lee, W.T. and Yim, Y.J.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in Korean). 

  30. Park, M.K. 1961. Flora of Korean pteridophyta. Kyohakdoso Co, Seoul, Korea (in Korean). 

  31. Park, M.K. 1975.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16 Pteridophyta. Minister of Education, Seoul, Korea (in Korean). 

  32. Yim, Y.J., K.H. Park and J.K. Sim. 1982. Geographical significance of raunkiaer's life form spectra in south Korea. Bull. Inst. Techn. & Sci. Chung-Ang Univ. 9:5-2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