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산 피막이속(Hydrocotyle L.) 식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
Molecular Phylogenetic Studies of Korean Hydrocotyle L.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5 no.4, 2012년, pp.490 - 497  

최경수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명과학과) ,  박선주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피막이속(Hydrocotyle L.)의 5종과 울릉도에서 새로 발견한 H. sp 그리고 outgroup인 병풀 (Centella asiatica)을 포함하여 총 7분류군을 대상으로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종의 실체 및 문제점을 검토하고 유연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자계통학적 연구의 marker로는 nrDNA의 ITS 지역과 cpDNA의 trnH-psbA지역을 사용하였다. 한국산 피막이속은 94%의 지지도로 묶였으며, 크게 4개의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선피막이 (H. maritima)와 피막이 (H. sibthorpioides), 제주피막이 (H. yabei)와 큰잎피막이 (H. nepalensis), 큰피막이 (H. ramiflora) 그리고 H. sp가 각각의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선피막이, 피막이, 제주피막이의 경우 독립된 분계조를 형성하지 않았으며, H. sp의 경우 분자적으로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고 있어 새로운 종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logenetic analys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relationships of 5 taxa of Korean Hydrocotyle, H. spp. found in the Ulleung island including one outgroup (Centella asiatica). The molecular phylogenetic methods based on nuclear ribosomal DNA ITS region and cpDNA trnH-psbA region. Centella asiatica w...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2).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외부형태학적 형질 중 영양형질로 분류되고 있는 피막이속 종의 실체와 아울러 유연관계를 파악하고자 nrDNA의 ITS지역, cpDNA의 trnH-psbA 지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 본 논문은 nrDNA의 ITS지역과 cpDNA의 trnH-psbA지역을 바탕으로 피막이속의 실체파악과 종의 한계 설정 및 유연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ITS의 염기서열 길이 및 염기 조성은 속내에서 비교하여 큰 차이점을 보여주지는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큰피막이의 외형상 나타나는 특징은? 외부형태학적으로 피막이와 선피막이의 경우 잎 결각과 잎 상부가 사상하는 것을 선피막이, 그렇지 않은 것을 피막이라 구분하였고, 제주피막이와 선피막이의 경우 상록성이 아니지만 피막이의 경우 상록성이라고 알려져 있다(Lee, 1996). 큰피막이의 경우 화경의 길이가 엽병보다 긴 것이 특징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피막이속의 경우 잎의 결각, 화경과 엽병의 길이 차이, 줄기의 사상 차이 등 생식형질이 아닌 영양형질에 주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피막이속이란 무엇인가? 피막이속(Hydrocotyle L.)은 두릅나무과(Araliaceae), 피막이풀아속(Hydrocotyloideae)에 속하는 식물로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유럽의 온대 및 아열대 지역을 중심으로 130여종이 분포하고 있다(Linnaeus, 1753). 피막이속은 잎이 작고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국내외 분류학적 연구가 미비하고, 종에 대한 확실한 정보가 부족하다.
외부형태학적 분류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자적 자료를 이용한 예시는? 최근 외부형태학적 분류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자적 자료를 이용한다. ITS 지역은 핵 DNA로 양친 유전성(bioparental inheritance)를 가지며 유전자간의 변이성이 높은 편이어서 종간 또는 속간의 유연관계와 진화경향성 및 유전적 변이 양상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어 왔다(Álvarez and Wendel, 2003; Son et al., 2007). 또한 모성유전을 하는 cpDNA의 non-coding 지역은 coding지역보다 빠르게 진화하며 염기치환과 같은 비율로 삽입과 결실이 축적되므로 유용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Soltis et al.,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lvarez, I. and J.F. Wendel. 2003. Ribosomal ITS sequences and plant phylogenetic inference. Mol. Phylogen. Evol. 29:417-434. 

  2. Baldwin, B.G. 1992. Phylogenetic utility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of nuclear ribosomal DNA in plants : An example from the Compositae. Mol. Phylogen. Evol. 1:3-16. 

  3. Chung. T.H., B.S. Do, D.B. Lee and F.J. Lee. 1937. Nominia plantarum koreanum. Chosen Nat. Hist. Soc. Seoul, Korea. p. 136 (in Korean). 

  4. Chung, T.H., B.S. Do, D.B. Lee and H.J. Sim. 1949. Nomina Plantarum Koreanum I, Chosen Biology Society pp. 54-55 (in Korean). 

  5. Chung, T.H. 1957. Illustrated flora of Korea. Herb. Sinjisa pp. 88-98 (in Korean). 

  6. Curtis, S. and M.T. Clegg. 1984. Molecular evolution of chloroplast DNA sequences. Mol. Biol. Evol. 1:291-301. 

  7. Doyle, J.J. and J.L. Doyle. 1987. A rapid DNA isolation procedure of small quantities of fresh leaf tisse. Phytochem. Bull. Bot. Soc. Amer. 19:11-15. 

  8. Farris, J.S., Albert V.A. Kllersjo M,Lipscomb D. and A.G. Kluge. 1996. Parsimony jacknifing outperforms neighbor-joining. Cladistics 12:99-124. 

  9.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783-791. 

  10. Gregory, M. Plunkett and Antoine, N. Nicolas. 2009. The demise of subfamily Hydrocotyloideae (Apiaceae) and the re-alignment of its genera across the entire order Apiales. Mol. Phylogen. Evol. 53:134-151. 

  11. Kim, K.J. and R.K. Jansen. 1994. Comparisons of phylogenetic hypotheses among different data sets in dwarf dandelions (Krigia, Asteracea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Plant Syst. Evol. 190:157-185. 

  12. Kim, K.J, Y. D. Kim, J.H. Kim, S.J. Park, C.W. Park, B.Y. Sun, K.O. Yoo, B.H. Choi and S. T. Kim. 2008.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Korean vascular flora according to the recent APG classification system. Korean J. Pl. Taxon 38:197-222 (in Korean). 

  13.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itituti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 J. Mol. Evol. 16:111-120. 

  14.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203 (in Korean). 

  15. Lee, C.R. and H.S. Ahn. 1963. Nomina Plantarum Koreanum. Pa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469 (in Korean). 

  16. Lee, T.B. 1980. Illustration flora of Korea.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827-829 (in Korean). 

  17. Lee, W.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795-797 (in Korean). 

  18. Linnaeus, C. 1753. Species Plantarum. Holmiae, Stockholm, Sweden. pp. 116. 

  19. Lookerman, D.J. and R.K. Jansen. 1996. The use of herbarium material for DNA studies. In Sampling the green world. Stussey, T. J. and S. Sohmer (ed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York, USA. pp. 205-220. 

  20. Mori, T. 1922. An Enumeration of plants Hithero known Corea. The government of Chosen. Seoul, Korea. p. 271. 

  21. Nakai, T. 1914. Tyosen-syokuhtu. Seongmidang. Tokyo, Japan. pp. 39-46. 

  22. Nakai, T. 1952. In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l. Sci. Mus. p. 87. 

  23. Palibin, J. 1901. Consepectus Florae Koreaea III. Acta Hort. Petrop. p. 323. 

  24. Sang, T., D.J. Crawford, T.F. Stuessy and O.M. Silva. 1994. ITS sequences and the phylogeny of the genus Robinsonia (Asteraceae). Syst. Bot. 20:55-64. 

  25. Soltis, P.D., J.J. doyle and D.E. soltis. 1992. Molecular data and polyploid evolution in plants. In Molecular Systematics of Plant. Soltis, P.D., J. J. doyle and D. E. Soltis. (eds.), Chapman & Hall. NewYork, USA. pp. 177-201. 

  26. Son, S.W., J.H. Kim, K.J. Kim and S.J. park. 2007. Molecular evidence for the hybridity of Ilex x wandoensis and the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Ilex based on ITS sequence data. Gene & Genomics 31(1): 53-63. 

  27. Suh, Y., L.B. Thien, H.E. Reeve and E.A. Zimmer. 1993. Molecular evolution and phylogenetic implication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ribosomal DNA in Winteraceae. American J. Bot. 80:1042-1055. 

  28. Sworfford, D.L. 2002. PAUP* : Phylogenetic analysis usingparsimony (*and other methods), ver. 4.0.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 USA. 

  29. Thompson, J.D., T.J. Gibson, F. Plewniak, F. Jeanmougin, and D.G. Higgins. 1997. The Clistal X windows interface :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 Nuc. Acids Res. 25:4876-4882. 

  30. Van De Wiel. C.C.M, J. Van Der Scoot, J.L.C.H. Van Valkenburg, H. Duistermaat and M.J.M. Smulders. 2009. DNA barcoding discriminates the noxious invasive plant species, floating pennywort (Hydrocotyle ranuncloides L.F.), from non-invasive relatives. Molecular Ecology Resources 9:1086-1091. 

  31. White, T.J., T. Birns, S.Lee, and J.Taylor.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PCR protocols :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Innis, M., D. Gelfand, J. Sninsky and T. White (eds.), Academic Publishing Co., San Diego, USA. pp. 315-322. 

  32. Yoo, K.P and S.J. Park. 2012. A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Carpesium L. Based on nrDNA ITS Sequence. Korean J. Plant. Res. 25(1):96-10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