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論文集 :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韓醫學編, v.21 no.1, 2012년, pp.23 - 31
Allopathic medicine has had a lot of limits though it has maintained the status of mainstream medicine, therefore these day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s in traditional medicine of East Asia. According to this trend, the integration between allopathic medicine and traditional medicine has beco...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臟象學說은? | 臟象學說은 한의학 기초이론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인체 생리와 병리 현상의 관찰을 통한 인체각 臟腑기관의 생리기능, 병리변화에 따른 상호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즉, 臟象學說은 인체 생리와 병리에 대한 연구일 뿐 아니라 한의 임상에 직결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 |
臟象學說의 특징은? | 臟象學說은 한의학 기초이론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인체 생리와 병리 현상의 관찰을 통한 인체각 臟腑기관의 생리기능, 병리변화에 따른 상호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즉, 臟象學說은 인체 생리와 병리에 대한 연구일 뿐 아니라 한의 임상에 직결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臟象學說 의 형성은 고대인들의 장기간에 걸친 질병치료의 과정과 실생활 과정 중에서 생리현상과 병리반응이 다르다는 것을 관찰하게 되고, 臟腑의 정상 상태나 이상 활동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다고 인식함으로써 형성하게 되었다. | |
五臟六腑를 관찰하고 이해함에 있어서 기능적 연관성에 대한 이해 못지않게 실체적인 五臟六腑에 대하여 관찰하고 이해하는것 또한 한의학의 臟象學說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 과정 중의 하나일 것이라고 본 이유는? | 그러나 구조와 기능이 라는 것은 동일한 사물의 서로 다른 측면을 말하는 것이며 구조의 변화와 기능의 변화는 동시적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고대 중국인들의 사유방법은 보편적인 것보다는 오히려 개별적인 것, 특수한 것을 중시하며 추상적인 것보다 구상적인 것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4) 이러한 성향을 가진 고대 중국인들이 주로 기능이라는 추상적인 차원에서 인체 장기를 탐구 하였을 가능성 못지않게 구상적인, 실체적인 차원에서도 五臟六腑를 관찰하였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五臟六腑를 관찰하고 이해함에 있어서 기능적 연관성에 대한 이해 못지않게 실체적인 五臟六腑에 대하여 관찰하고 이해하는것 또한 한의학의 臟象學說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 과정 중의 하나일 것이다. |
전국한의과대학 생리학교수 편저. 개정판 동의생리학. 서울. 집문당. 2008. pp.193, 208-209
강신익. 동.서 의학의 신체관. 제3의학. 2004. 7(1). p.47.
박찬국 편역. 장상학. 서울. 성보사. 1992. p.11
中村 元. 김지견 역. 중국인의 사유방법. 서울. 도서출판 까치. 1990. p.26.
扁鵲 저, ?耀星 주편. 難經校註 四十二難. 서울. 일중사. 1992. pp.61, 74-76
許浚. 東醫寶鑑. 서울. 대성문화사. 1990. pp.334,342,350-351,358,365
李?. 編註醫學入門. 서울. 대성문화사. 1990. pp.326-327, 334-335, 340-341, 348, 355-356.
강호석 외. 조직학, 제 2판. 서울. 고문사. 1994. pp.402-403
박희천 외. 척추동물 비교해부학. 서울. 정문사. 1992. p.233
주동운. 한국인 정상심장용적에 관한 연구. 대한영상의학회지. 1977;13(2):422-430
강길중, 박종현, 정재웅 저. 중국역사의 이해. 대구. 경산대학교 출판부. 2009. p.451
McKinley, O'Loughlin. Human anatomy 2nd edition. McGraw-Hill. 2008. pp.658, 777, 784
Kenneth S. Saladin. Anatomy and Physiology, 4th ed. McGraw-Hill. 2007. pp.650, 717, 975-978
黃帝內經.靈樞 1990. 서울. 대성문화사. p.575
Kent M. Van De Graaff. 김연섭 외 8인 역. 인체해부학. 서울. 정문각. 2004. pp.614,733
Eric Widmaier, Hershel Raff, Kevin Strang 공저. 강신성, 안태인 외 공역. Vander's 인체생리학. 제 12판. 경기도. (주)교보문고. 2012. p.592
Arthur C Guyton, John E Hall. 의학생리학 제 10판. 서울. 정담출판사. 2002. p.928.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