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the trend of tongue diagnosis studies in Korean Medicine on various aspect and to suggest better studies. Method : We collected papers on tongue diagnosis studies in the internet site 'nanet, riss, dbpia, society' using the keyword 'tongue diagnosis' bet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설진은 진단학적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비교적 한정된 영역에서의 망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데이터 분석이 용이하며 이에 대한 표준화작업을 통하여 객관적이고 재현성 있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어떠한 영상을 획득할 것인가, 촬영조건에 따른 영상의 차이를 어떻게 보정할 것인가, 촬영조건을 어떻게 동일화시킬 것인가, 획득한 영상을 어떤 알고리즘으로 분석 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 근대에 와서는 설진에 현대화의 기술을 응용하여 舌象의 현미경 관찰, 각종 생리변화의 측정, 병리검사, 동물실험 등의 방법으로 舌象의 형성 원리에 대하여 더욱 깊게 연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설진에 대한 국내 연구 현황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맥진 등 타 진단체계와 설진을 연계한 다방면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 이유는? 한의학의 진단 체계는 기준이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에 오히려 모호해 보인다. 환자에게 일률적으로 병명을 붙이는 양방 진단체계와 다른 것이 이점이다. 이를 객관화, 표준화 시킨다는 것이 어려운 점이다. 설진은 진단의 명확한 기준이 될 수 없으며 설진 하나로 진단을 내릴 경우 오진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맥진 등 타 진단체계와 연계한 다방면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설진이란? 설진은 인체의 기능상태를 분별하는 한가지 독특한 진단방법으로서 舌色 · 舌型 · 舌態와 舌苔 · 舌質 등을 눈으로 관찰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인체 五臟六腑의 생리적 기능과 병리적 변화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신경-체액조절계통의 기능상태도 반영하므로 설상의 望診을 통하여 인체의 반응상태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다.
설진의 기원을 알 수 있는 기록은 무엇인가? 설진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설진의 기원을 살펴보면 약 삼천년 전의 은상(殷商)시대의 은허(殷墟)에서 출토된 갑골(甲骨)에 혀를 논한 내용이 있으며, 전국시대에 편찬된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 설의 해부, 생리, 병리가 기록되어 있다. 지금의 설진은 원대(元代)1341년 오씨상한금경록(敖氏傷寒金鏡錄)에 처음 도입되었다3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임양근 편저. 설진. 진단학 아틀라스 2. 서울, 정담, 1-25, 2003. 

  2. 김동하. 설진에 관한 문헌적 연구. 원광대 한의학전문대학원. 2008. 

  3. 이재철, 김종열, 유현희, 김근호. 東醫壽世保元 經驗方에 근거한 사상체질별 舌診의 문헌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2(1):1-8. 2010. 

  4. 이흥구, 안상우. 明淸代 舌診 發展에 관한 고찰.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8(2):23-35. 2002. 

  5. 신윤진, 김윤범, 남혜정, 김규석, 차재훈. 舌診의 진단적 의의에 대한 문헌고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20(3):118-126. 2007. 

  6. 강지선, 김동현, 신현수, 조창환, 이재휘, 강병갑, et al. 중풍 환자의 습담 설진과 고지혈증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大韓韓醫診斷學會誌. 13(2):24-33. 2009. 

  7. 박영재, 박영배. 舌色指數를 活用한 舌診 定量化硏究. 大韓韓醫診斷學會誌. 6(2):127-140. 2002. 

  8. 한규설. 中風早期檢診 患者를 對象으로 한 舌診 分析.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2. 

  9. 김종채. 四象體質診斷標 및 望診.舌診에 관한 硏究. 尙志大學校 大學院. 2007. 

  10. 유선애. 허약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의 임상적 특징과 진단법에 관한 연구. 동의대 대학원. 2003. 

  11. 임종원, 유화승, 조정효, 손창규, 이연월, 조종관. 설진과 종양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종양학회지. 9(1):89-97. 2003. 

  12. 유화승, 조종관, 박경모, 김지은. 종양환자의 설 특성에 관한 정량적 연구. 한국정신과학학회지. 7(2):19-26. 2003. 

  13. 어윤혜, 김지은, 유화승. 종양환자의 설 색상 특성에 관한 정량적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9(5):1437-1442. 2005. 

  14. 김보연, 박경모. 디지털 舌診 획득 및 관리 시스템의 개발. 大韓韓醫診斷學會誌. 6(1):65-78. 2002. 

  15. 박영재, 박영배. 參照色과 色差값을 活用한 舌診의 同質性檢定. 大韓韓醫診斷學會誌. 6(1):79-96. 2002. 

  16. 김지은, 박경모, 박승옥, 김홍석. 설진 영상의 색상 보정. 한국광학회 하계학술발표회논문집. 78-79. 2003. 

  17. 장지현. 영역 분할에 의한 설진 영상의 색 인식 및 압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4. 

  18. 어윤혜. 디지털 설진 시스템을 위한 설 검출과 분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19. 김근호, 이전, 최은지, 유현희, 김종열. 그래프 및 기하 정보를 이용한 설진 영역 추출. 전기학회논문지. 56(11):2051-2057. 2007. 

  20. 조동욱, 김봉현, 이세환. 웹 기반 환경에서 질병 진단을 위한 얼굴형 추출 및 설색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 14-B(2):71-80. 2007. 

  21. 최은지, 김근호, 유현희, 이혜정, 김종열. 백태 중 후태 및 박태 분류 판별함수 설계.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13(3):119-124. 2007. 

  22. 김근호, 도준형, 유현희, 김종열. 설진 유효 영역 추출의 시스템적 접근 방법. 電子工學會論文誌. 45SC(6):463-471. 2008. 

  23. 어윤혜, 김제균, 유화승, 김종열, 박경모. 표리한열의 설 특성에 관한 정량적 연구. 大韓韓醫學會誌. 27(2):134-144. 2006. 

  24. 김근호, 도준형, 유현희, 김종열. 설진 기기의 시스템 구성 및 진단 방법 개발.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14(3):89-95. 2008. 

  25. 전영주, 김근호, 도준형, 유현희, 김종열. 설진 시스템 개발 및 재현성 평가.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14(3):97-102. 2008. 

  26. 김근호, 최은지, 이시우, 김종열. 한의학의 설진을 위한 설태 분류 방법.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1985-1986. 2008. 

  27. 김근호, 도준형, 김종열. 혀 영역에서 컬러 정보 분할을 위한 방법.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1970-1971. 2009. 

  28. 은성종, 김재승, 김근호, 황보택근. 설진 유효 분석을 위한 혀의 기하정보 추출 방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2):522-532. 2011. 

  29. 최창열. 3파장 영상을 이용한 한방 설진 시스템 구현. 상지대학교 대학원. 2012. 

  30. 김지혜, 남동현. 디지털 설진 시스템의 색상 보정. 大韓韓醫診斷學會誌, 16(1):9-18. 2012. 

  31. 홍유식, 이상석, 남동현, 이우범, 최종구, 송영준. 휴대폰을 이용한 지능형 의료진단 시스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11(2):213-218. 2011. 

  32. 흥유식. 스마트 설진 전자챠트 시스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12(2):243-249. 2012. 

  33. 김근호, 박경모. 설진의 과거와 미래 전망. 電子工學會誌. 37(7):702-711. 2010. 

  34. 손지희, 김진성, 박재우, 류봉하. 설진의 표준화를 위한 제언. 대한한방내과학회지. 33(1):1-1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