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6 no.4, 2012년, pp.427 - 431
Pattern identification is the process of overall analysis of clinical data to determine the location, cause and nature of a patient's disease and achieving a diagnosis of a pattern and syndrome. In Korean medicine, Pattern identification is very important act. In order to get good Pattern identific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한의학에서는 진단과 치료의 과정을 무엇이라 표현하는가? | 한의학에서는 진단과 치료의 과정을 辨證施治라 표현하는데, 辨證施治는 질병을 인식하거나 치료하는 기본방법으로 한의학의 의학적 특징이라 볼 수 있다1). 辨證이란 四診에 의해서 환자의 임상 증상과 징후를 수집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主次 와 眞僞를 판별하여 각 증후 사이의 내재 관계와 病因 病機를 파악하는 과정이자 진단을 도출하는 결과로 이러한 辨證을 위해서는 한의학의 기본 이론을 충분히 습득해야 한다2). | |
『東醫寶鑑』의 구성은 ? | 한의학의 기본 이론 습득과 임상응용에 『東醫寶鑑』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데, 『東醫寶鑑』은 광해군 2년(1611년) 許浚에의하여 중국의학과 다른 관점에서 內景, 外形, 雜病, 湯液, 鍼灸 의 5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저술하였다. 『東醫寶鑑』은 25권 25책 5편 106문으로 구성되어 있고3), 25권 중 2권을 차지하는 目錄 은 간단한 단어와 개념에서 시작하여 본문의 깊숙한 내용을 찾아갈 수 있는 충실한 안내자 구실을 하고 있다4). 『東醫寶鑑』目錄을 살펴보면, 症狀과 處方을 나열하거나, 病名과 세부병명및 處方을 제시하고 있다. | |
病因, 病機, 症狀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가? | 病因은 질병을 일으키는 직간접적인 요소와 조건을 의미하며10), 病機는 질병이 발생한 다음 특정의 臟腑, 經絡, 局部로 傳變되거나 혹은 不傳하게 되는 이유와 기전을 설명하고 특정의 결과로 귀착되어가는 縱的 변화이며11), 증상(症狀, 症候 ; symptom)은 환자 상태이 주관적 증거로서 환자에 의하여 인식 되는 증거를 말하며, 징후(徵候, 體徵; sign)는 검사하는 의사에게 알려주는 질환의 객관적 소견 또는 증거이며, 이 둘을 합쳐 症혹은 症徵이라 부르며12), 치법과 處方은 구체적인 임상정황에 따라 치료방법을 보다 세밀하게 구성하는 것이다13). |
한경숙, 김태희, 박영배. 증후연구 동향분석(II). 대한한의진단학회지 7(2):55-66, 2003.
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 한방병리학. 한의문화사, p 288, 2011.
이혁재, 차웅석, 김남일. 동의보감 序와 集例에 대한 고찰, 대한의사학회지 17(1):177-194, 2004.
신현규, 조경숙, 최선미.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한의)의 질병 분류체계에 대한 한의사의 인식도 조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5(3):373-379, 2001.
정우열. 東醫寶鑑의 질병분류에 대한 연구(1) -雜病編을 중심으로-.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3(1):1-10, 1999.
박종현. 古今에 따른 한의病名의 변천-??를 중심으로. 한약응용학회지 4(1):69-74, 2004.
정우열. 한의질병명과 분류표준화에 대한 기초이론 연구.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2(1):82-95, 1998.
許俊著, 李南九懸吐?註釋. 懸吐?註釋東醫寶鑑, 서울, 법인문화사, 201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