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맥동전자장이 불완전 척수손상 흰쥐의 기능회복과 GAP-43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on Functional Recovery and Expression of GAP-43 after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in Ra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7 no.3, 2012년, pp.349 - 356  

방현수 (김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on functional recovery and expression of GAP-43 after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SCI) in rats. Methods : To confirm the damage of SCI and effect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20 Sprague-Dawley mal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들에서 척수손상 환자의 치료를 위한 방법들에 대한 운동기능 평가와 함께 신경영양성인자나 분자생물학적인 부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선행 연구들의 대한 정리와 함께 이론적 틀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불완전척수손상을 유발시킨 흰쥐에게 맥동전자장의 적용이 운동기능의 회복과 함께 신경의 회복과 관련된 신경영양성인자인 GAP-43의 발현 양상을 분석하여 척수손상 환자들에게 맥동전자장의 적용을 위한 기초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흰쥐를 대상으로 회복이 가능한 정도의 불완전 척수손상을 유발시킨 후 운동기능의 회복과 신경 연접 및 가소성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과 분자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면역조직화학적 검사와 western blot analysis를 실시하여 맥동전자장이 불완전 척수손상 흰쥐의 기능적 회복과 척수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맥동전자장이 손상된 척수의 회복과 재생에 관여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실험적으로 유발된 불완전 척수손상 흰쥐의 전신에 맥동전자장을 적용한 후 결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운동 기능회복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족적 검사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특히 손상 초기에는 보행 시에 자발적인 체중 부하가 이루어지지 않고 후지의 바닥 전체를 이용하는 보행을 하게 되는데, 실험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짧은 기간에서 자발적인 보행 양상의 회복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완전 척수손상의 치료방법에 어려움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불완전 척수손상은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나타내는데, 불완전 척수손상의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 초기에는 주로 약물치료와 함께 2차적 손상의 예방을 위해 안정을 실시하고, 이후 신경계통의 자극과 운동 및 감각 기능의 회복을 위한 운동 치료를 주로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불완전 척수손상의 치료방법은 손상의 형태나 수준, 특징에 따라 완전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아 효과적인 불완전 척수손상 환자의 치료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1989; 이재성 등, 1997; Hutchinson 등, 2004). 특히 척수손상의 치료를 위해 필수적이라 보고되는 신경흥분, 칼슘 이온의 이동 및 도파민 분비 활성, 순환 증진, 염증 치료에 대한 부분에서 맥동전자장의 적용은 손상된 척수의 세포 내에서의 전자장 생성을 통해 칼슘 이온의 결합성 증진과 발생된 전자장을 통한 순환 증진 및 염증 치료에 효과적이라 보고되는 연구들의 이론적 정리와 치료적 근거의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적용 방법에 따른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황경균 등, 2007).
불완전 척수손상의 치료를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불완전 척수손상은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나타내는데, 불완전 척수손상의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 초기에는 주로 약물치료와 함께 2차적 손상의 예방을 위해 안정을 실시하고, 이후 신경계통의 자극과 운동 및 감각 기능의 회복을 위한 운동 치료를 주로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불완전 척수손상의 치료방법은 손상의 형태나 수준, 특징에 따라 완전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아 효과적인 불완전 척수손상 환자의 치료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1989; 이재성 등, 1997; Hutchinson 등, 2004). 특히 척수손상의 치료를 위해 필수적이라 보고되는 신경흥분, 칼슘 이온의 이동 및 도파민 분비 활성, 순환 증진, 염증 치료에 대한 부분에서 맥동전자장의 적용은 손상된 척수의 세포 내에서의 전자장 생성을 통해 칼슘 이온의 결합성 증진과 발생된 전자장을 통한 순환 증진 및 염증 치료에 효과적이라 보고되는 연구들의 이론적 정리와 치료적 근거의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적용 방법에 따른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황경균 등, 2007).
중추신경계 손상이 영구적인 결함을 초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손상 정도에 따라 재생 및 회복이 가능한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와는 달리 뇌와 척수를 포함한 중추신경계는 손상이 발생할 경우 재생 및 회복의 능력을갖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이러한 손상은신경세포의 퇴화(degeneration)를 유발시켜 손상 부위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른 신경원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결국 영구적인 결함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orner와 Gage,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종오, 서태범, 윤진환. 트레드밀 운동이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 유발 후 좌골신경 손상 쥐의 신경재생, 척수운동신경세포, GAP-43과 GLUT-4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006;17 (3):1-12. 

  2. 박은세. 맥동전자장이 흰쥐의 무릎관절연골의 퇴행성 변화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3. 이재성, 이문영, 김민선 등. 흰쥐에서 척수손상 후 기능회복에 관여하는 전기자극의 작용기전. 대한재활의학회지. 1997;21(2):281-9. 

  4. 황경균, 조태형, 송윤미 등. 가토 하악골 골신장 후맥동전자기장이 조기 골경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2007;29(2):123-31. 

  5.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Standards for neurological classification of spinal injury patient. Atlanta. GA. 1989:303-9. 

  6. Basso DM, Breattie MS, Bresnahan JC. Graded histological and locomotor outcomes after spinal cord contusion using the NYU weight-drop device versus transection. Exp Neurol. 1996;139(2):244-56. 

  7. Chang K, Chang WH, Wu ML et al. Effects of different intensities of extremely low frequency 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on formation of osteoclast-like cells. Bioelectromagnetics. 2003;24(6):431-9. 

  8. Funk RH, Monsees TK. Effects of electromagnetic fields on cells: physiological and therapeutical approache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interaction. a review. Cells Tissues Organs. 2006;182(2):59-78. 

  9. Horner PJ, Gage FH. Regenerating the damaged central nervous system. Nature. 2000;407(6807):963-70. 

  10. Hutchinson KJ, Gomez-Pinilla F, Crowe MJ et al. Three exercise paradigms differerntially improve sensory recovery after spinal cord contusion in rats. Brain. 2004;127(Pt6):1403-14. 

  11. Ito H, Bassett CA. Effect of weak, pulsing electromagnetic fields on enural regeneration in the rat. Clin Orthop Relat Res. 1983;181:283-90. 

  12. Khan T, Sayers S, Gaik G et al. Carbon filaments provide support and directionality to growing rat fetal spinal cord explants. Neurosci Lett. 1990;118(2):172-6. 

  13. Lee EW, Maffulli N, Li CK et al. Pulsed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s in experimental achilles tendonitis in the rat: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97;78(4):399-404. 

  14. Lednev VV. Possible mechanism for the influence of weak magnetic fields on biological systems. Bioelectromagnetics. 1991;12(2):71-5. 

  15. Markov MS. Magnetic field therapy: a review. Electromagn Biol Med. 2007;26(1):1-23. 

  16. Morris CE, Skalak TC. Acute exposure to a mederate strength static magnetic field reduce edema formation in rats. Am J Physiol Heart Circ Physiol. 2008;294(1):50-7. 

  17. Trock DH. Electromagnetic fields and magnets: investigational treatment for musculoskeletal disorder. Rheum Dis Clin North Am. 2000;26(1):51-62. 

  18. Yasuda H, Terada M, Maeda K et al. Diabetic neuropathy and nerve regeneration. Prog Neurobiol. 2003;69(4):22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