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체의 유기장소별 부패진행에 따른 발생 파리류 비교
Dipteran Comparison on Carcasses by Decomposition at Different Abandoned Site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1 no.3, 2012년, pp.191 - 205  

임채석 (금남고등학교) ,  조태호 (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이동운 (경북대학교 생태환경관광학부 생물응용전공) ,  추영무 ,  추호렬 (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체의 부패단계에 따라 발생하는 곤충은 차이가 있다. 본 결과는 사체의 유기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절족동물의 종류를 법의학적으로 활용하고자 유기 가능성이 높은 여러 장소에서 수행한 일련의 연구 중 부패단계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었던 몇몇 장소에서 사체의 부패단계에 따라 발생하였던 파리류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부패단계에 따라 발생한 파리류는 유기장소(야산, 들판, 하천, 온실, 옥상)와 유기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 및 사체의 매장 유무에 따라 부패의 진행에 차이가 있음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사체의 부패는 여름에 가장 빨리 진행되었으며 겨울철 온실에서 유기한 사체는 다른 장소에 비하여 빨리 진행되었다. 그리고 매장한 사체에 비하여 노출되었던 사체의 부패가 빨리 진행되었다. 모든 유기장소에서 노출처리된 사체의 부패초기 단계인 신선기(fresh stage)에 발생한 파리류는 구리금파리(Phaenicia sericata)와 연두금파리(Lucilia illustris), Lucilia sp., 큰검정빰금파리(Chrysomyia pinguis), 검정빰금파리(C. megacephala) 등 검정파리과(Calliphoridae)로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였지만 대체로 2일 이내에 성충이 사체를 찾아 들었다. 반면 매장처리에서는 신선기에 사체를 찾아드는 파리가 없었다. 쉬파리과(Sarcophagidae) 파리들은 유기 장소와 시기에 관계없이 사체에 유인되었으나 매장처리에 비하여 노출처리에 빨리 유인되었다. 또한 쉬파리과 파리는 온실에 유기한 사체에 더 빨리 유인되었으며 발생하는 시간도 짧았다. 온실에서 봄과 여름에는 신선기(fresh)에서 부패활성기(active decay) 사이에 유인되었으나 가을에는 신선기에서 부패진전기(advanced decay) 사이에 유인되었고, 겨울에는 부패진전기(advanced decay)와 유지기(remains) 사이에 유인되어 계절에 따른 부패단계에서도 발생하는 시기에 차이가 있었다. 큰검정파리와 두꼬리검정파리, 털검정파리는 봄과 겨울에 유기한 사체에 발생하는 우점종으로 fresh~active decay 단계에 주로 발생하여 활동시기가 다른 종과는 차이를 보였다. 매장된 사체에서는 검정파리과 유충보다는 쉬파리과 유충들이 먼저 출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insect visitors was different depending on decomposition stage, dipterans occurred on chicken carcasses depending on postmortem intervals were compared by abandoned sites and decomposition from a serial study on arthropod occurrence from carcasses as forensic indicator. Species occurrence a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체의 부패가 다르게 진행되는 조건은? 사체의 부패는 계절이나 지역, 장소, 매장 조건 등에 따라 다르게 진행된다. 그리고 몇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시식성 곤충이 여러 가지 사건 해결의 단서가 되는 바탕은? 그 중 시식성 곤충은 소비자와 분해자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들이 사체를 유기한 직 후부터 부패가 끝날 때까지 발견된다. 이들 곤충은 특정한 환경 하에서의 성장률 등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사건해결의 단서가 된다(Benecke, 1998). 예를 들면 범죄 현장근처에 서식하는 곤충에 물린 자국으로 용의자가 현장에 있었다는 사실과 연결시킬 수 있고(Prichard et al.
법의학 곤충학자들이 사건 해결을 위해 중요하게 취급하는 곤충 종류는? , 1980). 그 중 법의학 곤충학자들이 중요하게 취급하는 종류는 파리류이다. 그리고 사체의 부패속도는 지역과 계절, 장소에 따라 다르다 (Keh, 1985; Early and Goff, 198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nderson, G. S. 1995. The use of insects in death investigations: an analysis of forensic entomology cases in British Columbia over a five year period. Can J. Forensic Sci. 28: 277-292. 

  2. Anderson, G. S. and S. L. Van Laerhoven. 1996. Initial studies on insect succession on carrion in southwestern British Columbia, J. Forensic Sci. 41: 617-625. 

  3. Benecke, M. 1998. Sis forensic entomology cases: description and commentary. J. Foren. Sci. 43: 797-805. 

  4. Beyer, J. C., W. F. Enos and M. Stajic. 1980. Drug identification through analysis of maggots. J. Forensic. Sci. 25: 411-412. 

  5. Burton, J. F. 1977. The estimated time of death. pp.31-35. 

  6. Byrd, J. H and J. L. Castner. 2001. Forensic entomology. CRC Press. 417pp. 

  7. Catts, E.P. and M.L. Goff 1992. Forensic entomology in criminal investigations. Ann. Rev. Entomol. 37: 253-272. 

  8. Centeno, N. M., M. Maldonado and A. Oliva. 2002. Seasonal patterns of arthropods occurring on sheltered and unsheltered pig carcasses in Buenos Aires Province (Argentina).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126: 63-70. 

  9. Early, M. and M. L. Goff. 1986. Arthropod succession patterns in exposed carrion on the island of O'ahu, Hawaiian islands, USA. J. Med. Entomol. 23: 520-531. 

  10. Erzinclioglu, Y. Z. 1989. Entomology and the forensic scientist: how insects can solve crimes. J. Biol. Edu. 23: 300-302. 

  11. Fuller, M. E. 1934. The insect in habitants of carrion: a study in animal ecology. CSIRO Bulletin. 82: 5-61. 

  12. Goff, M. L. and E. P. Catts. 1990. Arthropod basics-structure and biology. pp.46-47. In: Entomology and death: a procedural guide, eds. by E. P. Catts and N. H. Haskell. Joyce's Print Shop, Clemson, South Carolina. 182pp. 

  13. Jo, T. H. and Y. J. Jung. 2001. On the flies collected from Mt. Geonheung and landfill, Geochang-gun, Gyeongnam, Korea and their seasonal prevalence. Kor. J. Entomol. 31: 207-220. 

  14. Johnson, M. D. 1975. Season an microseral variations in insect population on carrion. Am Midl. Nat. 93: 79-90. 

  15. Keh, B. 1985. Scope and applications of forensic entomology. Ann. Rev. Entomol. 30: 137-154. 

  16. Kim, C. H., H. Y. Kim, Y. T. Rho, S. H. Park, Y. H. Shin, I. B. Yun, G. N. Lee and H. P. Lee. 1984. General entomology. Bepmunsa. Seoul. 373pp. 

  17. Lim, C. S., S. T. Kim, W. K. Lee, D. H. Kwon, D. W. Lee and H. Y. Choo. 2011. Arthropoda (Arachinida, Crustacea and Chilopoda) succession in chicken carcasses depending on sites and seasons of abandonment in Gyeongnam province, Korea. Kor. J. Soil Zool. 15: 5-13. 

  18. Lim, C. S., T. H. Jo, D. W. Lee, S. M. Lee, C. G. Park and H. Y. Choo. 2009. Dipterans associated with chicken carcasses and their role as forensic indicators in Gyeongnam province, Korea, during different seasons. J.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3: 21-31. 

  19. Lord, W. D. and J. F. Burger. 1984. Arthropods associated with herring gull (Larus argentatus) and great black-backed gulls (Larus marinus) carrion on islands in the gulf of Maine. Environ Entomol. 13: 1261-1268. 

  20. Lord, W. D., M. L. Goff, T. R. Adkins, and N. H. Haskell. 1994. The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scens (Diptera: Stratiomyidae) as a potential measure of human postmortem interval: observations and case histories. J. Forensic. Sci. 39: 215-222. 

  21. Marchenko, M. I. 1980. Classifying of cadaveric entomofauna. Flies' biology: the forensic medical role. Sud. Med. Ekspert. 23: 17-20. 

  22. Moon, K. J. 1987. Forensic autopsy. Chungrim Press. Seoul. 604pp. 

  23. Moon, T. Y. 1994. Cadaver entomofauna as forensic indicators. Proceeding of Forensic Medicine 22: 33-39. 

  24. Moon, T. Y. 1996. Systematics and forensic potentials of cadaver insects associated with fishes and birds by opportunistic samplings in Pusan. Entomol. Res. Bull. 22: 67-72 

  25. Moon, T. Y. and E. Kajii. 1997. Forensic implication of predominant insects on rabbit carrion at the islet Youngdo in Pusan. Entomol. Res. Bull. 23: 29-36. 

  26. Nainis, I. V. J., M. I. Marchenko, and A.N. Kazak 1982. A calculation method for estimating by entomofauna the period during which the body had remained in the place where it was found. Sud. Med. Ekspert. 25: 21-23. 

  27. Nuorteva, P. 1977. Sarcosaprophagous insects as forensic indicators. pp.1072-1095. In: Forensic medicine: A study in trauma and environmental hazards, eds. by C. G. Tedeschi, W. G. Eckert and L. G. Tedeschi. W. B. Saunders Co. Philadelphia. 1689pp. 

  28. Park, K. T., Y. J. Kweon, J. H. Kim, T. H. Kim, H. C. Park, H. Y. Park, Y. S. Bae, G. S. Bu, G. Y. Sul, Y. H. Song and B. R. Jin. 2001. Industrial entomology. Academic Press. Seoul. 334pp. 

  29. Payne, J. A. 1965. A summer study of the baby pig Sus scrofa Linnaeus. Ecology 46: 592-602. 

  30. Prichard, J. G., P. D. Kossoris, R. A. Leibovitch, L. D. Robertson, and W. F. Lovell. 1986. Implications of trombiculid mite bites: report of a case and submission of evidence in a murder trial. J. Forensic. Sci. 31: 301-306. 

  31. Robert W. M., A. Mann, M. W. Bass and L. Meadows. 1990. Time since death and decomposition of the human body: variables and observations in case and experimental field studies. J Forensic Sci. 35: 103-111. 

  32. Schleyer, F. 1963. Determination of the time of death in the early postmortem interval. pp.253-293. In: Methods of forensic science. ed. by F. Lundquist. Wiley-Interscience, New York. 659pp. 

  33. Smith, K. G. V. 1975. The faunal succession of insects and other invertebrates on a dead fox. Entomological Gazette 26: 277 

  34. Smith, K. G. V. 1986. A manual of forensic entomology.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London and Cornell University Press. 205pp. 

  35. Spitz, W. U. and R. S. Fisher. 1973. Medicolegal investigation of death. Charles C Thomas Publishers. Springfield, Illinois. 1325pp. 

  36. Utsumi, K. 1958. Studies on arthropods congregate to animal carcasses, with regard to the estimation of postmortem interval, J. Ochanomizu Med. J. 7: 202-203. 

  37. Vincent, C., D. K. McE Kevan, M. Leclercq and C. L. Meek. 1985. A bibliography of forensic entomology. J. Med. Entomol. 22: 212-219. 

  38. Webb, J. P. Jr., R. B. Loomis, M. B. Madon, S. G. Bennett, and G. E. Green. 1983. The chigger species Eutrombicula belkini Gould (Acari: Trombiculidae) as a forensic tool in a homicide investigation in Ventura County, California. Bull. Soc. Vector Ecol. 8: 141-1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