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ano-Selenium Microcapsule의 항산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s of Nano-Selenium Microcapsul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3, 2012년, pp.564 - 569  

정훈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나노공학과) ,  유일수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나노공학과) ,  김경선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나노공학과) ,  이순영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나노공학과) ,  문연자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전병국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류문희 (전북대학교 환경생명자원대학 생명공학부) ,  최경순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산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셀레늄의 약물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마이크로 캡슐 피막제로 키토산(0.1~0.9%)을 사용하여 chitosan nano-selenium을 제조하여 chitosan nan-oselenium의 모양과 형태는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입자의 크기는 ELS-8000으로 측정하였으며, chitosan nano-selenium의 항산화 효능과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Chitosan nano-selenium의 모양과 형태를 SEM(JSM-5400, Japan)으로 관찰한 결과 구형을 이루고 있어 마이크로 캡슐을 형성한 것을 알 수가 있었고, chitosan nano-selenium의 입자의 크기를 ELS-8000으로 측정한 결과, 입자 크기는 대략 50~500 nm로 분포되었으며, chitosan nano-selenium은 chitosan 농도가 높을수록 입자의 크기도 커지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입자 크기는 0.1% chitosan nano-selenium은 $55{\pm}5$ nm가 많이 분포가 되어 있고, 0.3%는 $60{\pm}5$ nm가 많이 분포되어 있고, 0.5%는 $70{\pm}5$ nm, 0.7%는 $100{\pm}5$ nm, 0.9%는 $450{\pm}5$ nm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0.1% chitosan nano selenium 전자공여능은 50 ${\mu}g/m{\ell}$ 농도에서 0.1%, 0.3%, 0.5%, 0.7% 및 0.9% chitosan nano selenium은 90.28.0%, 90.36%, 89.34%, 89.33% 및 89.49%로 나타나 항산화효능의 높은 값을 보였으나, chitosan 함량에 따른 항산화 효능의 차이는 볼 수 없었다. Chitosan nano-elenium은 0.1%, 0.3%, 0.9% chitosan nano-selenium에서의 독성이 강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0.7% chitosan nano-selenium에서는 50 ${\mu}g/m{\ell}$ 농도에서 61.60% 생존율을 보여 약간의 독성이 있었지만 200 ${\mu}g/m{\ell}$에서 85.44%로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0.9% chitosan nano-selenium에서 생존율이 90.08~98.71%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lenium was initially considered toxic to humans, but it was then discovered that selenium is essential for normal life processes. Selenium plays important roles in antioxidants. It is expected that chitosan microcapsules containing nano-selenium will be able to be used as a key material in bio-m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 제조한 chitosan nano-selenium의 입자가 피부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지 조사하였다. MTT 분석은 탈수소 효소 작용에 의해 수용성 기질인 MTT tetrazolium을 청자색의 formazan으로 환원시키는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을 이용하는 검사법으로 세포의 증식과 성장 및 세포독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실험 방법이다.
  • 본 실험에서는 항산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셀레늄의 약물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마이크로 캡슐 피막제로 키토산을 사용하여 chitosan nano-selenium을 제조하였으며, chitosan nano-selenium의 항산화 효능과 세포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레늄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셀레늄은 유기결합 셀레늄과 무기결합 셀레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무기결합 셀레늄은 화학적 형태에 따라 selenite, selenate, selenide로 나누어지고, 유기결합 셀레늄은 식물체에서의 단백질 성분 중 함황아미노산의 황과 치환된 selenocysteine 또는 selenomethionine의 형태로 존재한다. 셀레늄은 인체 내에서 세포질의 항산화 역할을 하는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GSH-Px)의 구성성분이며, 인체에 유익한 셀레늄은 유기결합 셀레늄으로 무기결합 셀레늄에 비해 인체 이용률 및 지속성이 더 크고, selenomethionine이 물질대사와 인체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Surai PF 2002).
셀레늄은 인체 내 무엇의 구성성분인가? 셀레늄은 유기결합 셀레늄과 무기결합 셀레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무기결합 셀레늄은 화학적 형태에 따라 selenite, selenate, selenide로 나누어지고, 유기결합 셀레늄은 식물체에서의 단백질 성분 중 함황아미노산의 황과 치환된 selenocysteine 또는 selenomethionine의 형태로 존재한다. 셀레늄은 인체 내에서 세포질의 항산화 역할을 하는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GSH-Px)의 구성성분이며, 인체에 유익한 셀레늄은 유기결합 셀레늄으로 무기결합 셀레늄에 비해 인체 이용률 및 지속성이 더 크고, selenomethionine이 물질대사와 인체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Surai PF 2002).
셀레늄의 결핍은 어떤 영향을 주는가? 셀레늄의 결핍은 낮은 셀레늄 상태에서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스트레스나 비타민 E 결핍에 기인하여 증가된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Jim 등 2002). 셀레늄은 GSH-Px 같은 항산화작용에 관여하는 효소 활성에 영양을 주기 때문에 결핍 시 GSH-Px의 활성을 떨어뜨려서 세포의 기능장애 또는 세포의 파괴를 유발하며(Shi 등 2010), 비타민 E의 산화 촉진으로 인한 비타민 E의 손실로 심장근육과 골격근육에 영향을 준다(Na 등; Hill & Burk 1984). 이 외에도 피부노화와 모발의 성장과정에서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등 2003; Son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2. Camara C, Cobo MG, Palacios MA, Munoz R, Donard OFX. 1995. Selenium speciation analyses in water and sediment matrices. In Quevauviller Ph, Majer E, Griepink B(Eds.). Quality Assurance for Environmental Analysis 235-261 

  3. Choi YS, Jonhn E. 2006. Hesketh. Nutritional biochmistry of seleni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5:661-670 

  4. Finley JW. 1998. The absorption and tissue distribution of selenium from high-selenium brocoli are different from selenium from sodium selenite, sodium selenate, and selenomethionine as determined in selenium-deficient rats. J Agric Food Chem 46:3702-3707 

  5. Greger JN, Helen WL. 1987. The toxicology of dietary selenium. In "Nutritional Toxicology II", Academic Press 234 

  6. Hill KE, Burk RF. 1984. Influence of vitamin E and selenium on glutathione-dependent protection against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Biochemical Pharmacology 33:1065-1068 

  7. Hilton JW, Hodson PV, Slinger SJ. 1980. The requirement and toxicity of selenium in rainbow trout(Salmo gairdner). The Journal of Nutrition 110:2527-2535 

  8. Hu QH, Zhu JC. 2000. Biological geochemistry and selenium in food chain. Rural Ecoenviron 16:54-57 

  9. Huttnen JK. 1997. Selenium and cardiovascular diseases-an update. Biomed Environ Sci 10:220 

  10. Ip C, Lisk DJ, Thompson HJ. 1996. Selenium-enriched garlic inhibits the early stage but not the late stage of mammary carcinogenesis. Carcinogenesis 17:1979-1982 

  11. Ip C. 1998. Lessons from basic research in selenium and cancer prevention. J Nutr 128:1845-1854 

  12. Jenning V, Gohla SH. 2001. Encapsulation of retionoids in solid lipid nanoparticles. Microencapsulation 18:149-158 

  13. Jeon YJ, Lee EH, Kim SK. 1996. Bioactivities of chitin and chitosan(1)-antimicrobial function, hypertension control function and choresterol control function. Korean Soc of Chitin and Chitosan 1:4-13 

  14. Jim M, Truswell AS. 2002. Essentials of Human Nutrition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2627568 

  15. Keshan Disease Research Group. 1979. Epidemiologic studies on the etiologic relationship of selenium and Keshan disease. Chin Med J 92:477-482 

  16. Kim DK, Jung BJ, Son DM, Chon SU, Lee KD, Kim KS, Rim YS. 2007. Effects of selenium(Se) on growth and se content of mungbean. Korean J Plant Res 20:383-388 

  17. Kim EM, McCOY, Paul HW. 1969. Some selenium responses in the rat not related to vitamin E. J Nutrition 98:383-389 

  18. Kos V, Veber M, Hudnik V. 1998. Determination of selenium in soil by hydride generation AAS. Fresenius Journal of Analytical Chemistry 360:225-229 

  19. Lee OH, Moon JW, Chung YS. 2003. Assessment of selenium status in adult females according to life cycle.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6:491-499 

  20. Lee SP, Kim SW, Sohn ES, Kang JS. 2003. Technology trend analysis of chitosan. J Chitin Chitosan 8:192-201 

  21. Levander OA. 1987. A global view of human selenium nutrition. Ann Rev Nutr 7:227 

  22.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55-63 

  23. Na JC, Kim JH, Yu Dj, Jang BG, Kang GH, Kim SH, Kang BS, Choi CH, Sub OS, Lee WJ, Lee JC. 2007. Effects of dietary organic selenium and vitamin E on performance, selemium retention and quality of egg in laying hens. Korean J Poult Sci 34:157-163 

  24. Robberecht H, Grieken RV. 1982. Selenium in environmental waters: Determination, speciation and concentration levels. Talanta 29:823-844 

  25. Shi LG, Yang RJ, Yue WB, Xun WJ, Zhang CX, Ren YS, Shi L, Lei FL. 2010. Effect of elemental nano-selenium on semen quality,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and testis ultrastructure in male Boer goats. Animal Reproduction Science 118:248-24 

  26. Shisler JL, Senkevich TG, Berry MJ, Moss B. 1998. Ultravioletinduced cell death blocked by a selenoprotein from a human dermatotropic poxvirus. Science 279:102 

  27. Son YH, Yoo JE, Heo JY, Jang SP, Lee BS, Lee BR, Yun SG, Lee CH. 2008. A study of the efficacy of hair analysis relative to serum and organ analysis for assessing heavy metal reduction in living animals treated with an herbal medicine remnant and organic selenium.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222-231 

  28. Surai PF. 2002. Selenium in poultry nutrition 1. Antioxidant properties, deficiency and toxicity. World's Poultry Science Journal 58:333 

  29. Wang HL, Zhang JS, Yu HQ. 2007. Elemental selenium at nano size possesses lower toxicity without compromising the fundamental effect on selenoenzyme: Comparison with selenomethione in mice.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42:1524-15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