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의 잎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Foliar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indera obtusiloba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0 no.3, 2012년, pp.136 - 140  

김창균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어주경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엄안흠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강나무에 공생하는 내생균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강원도 4 개 지역에서 병증이 없는 생강나무 잎을 채집하여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내생균의 rDNA의 ITS지역을 분석한 결과, Alternaria alternata, Annulohypoxylon annulatum, Creosphaeria sassafras, Diaporthe eres, Discosia sp., Epicoccum nigrum, Glomerella acutata, Glomerella cingulata, Paraconiothyrium brasiliense, Pestalotiopsis neglecta, Phomopsis amygdali, Xylaria sp.의 총 7과 11속 12종이 확인되었으며 Phomopsis amygdali가 모든 연구 지역의 생강나무 잎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으며 채집지에 따라 내생균의 종 다양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aves of Lindera obtusiloba were collected from four sites in Gangwon Province, Korea.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and identified using ITS sequences of rDNA. Total twelve species belonging of endophytic fungi were identified; Alternaria alternata, Annulohypoxylon annulatum, Cr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Phylogenic tree of foliar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 obtusiloba using ITS rDNA sequences in this study. Numbers in bold indicate the isolate numbers in Table 1.
  • ,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식물 종에 대한 내생균 탐색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생강나무에 공생하고 있는 내생균을 분리하고 동정하여 다양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강나무가 갖고 있는 방향성 성분은 무엇인가? 그 중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는 온대지역에 서식하는 수종으로서 주로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Park, 2005). 대체로 산의 양지나 바위틈의 건조지뿐만 아니라 음지에서도 잘 생장하는 식물로 특유의 방향성 성분인 monoterpenoid와 sesquiterpenoid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성분에 대한 산업적 이용과 함께 정유의 성분과 화학조성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Kwon et al., 2007; Seo et al.
내생균이란? 내생균(Endophytic fungi)은 주로 식물의 잎이나 줄기 등에 서식하며 비병원성을 나타내는 균을 의미한다(Carroll, 1988). 내생균에 대한 연구는 주로 방목지역의 초지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되어, 주로 초본 식물에 대한 연구가 북미와 유럽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Burpee and Bouton, 1993; Clay, 1990).
생강나무는 어디에 사용되어 왔나? , 2011). 뿐만 아니라 생강나무는 복통이나 해열 그리고 차의 대용품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열매의 기름은 두발용이나 등화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에도 생강나무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와 항균 작용 그리고 염증반응 억제 등에 대한 응용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Hwang et al., 2003;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rnold, A., Maynard, Z. and Gilbert, G. 2001. Fungal endophytes in dicotyledonous neotropical trees: patterns of abundance and diversity. Mycol. Res. 105:1502-1507. 

  2. Burpee, L. and Bouton, J. 1993. Effect of eradication of the endophyte Acremonium coenophialum on epidemics of Rhizoctonia blight in tall fescue. Plant Disease 77:157-159. 

  3. Carroll, G. 1988. Fungal endophytes in stems and leaves: from latent pathogen to mutualistic symbiont. Ecology 69:2-9. 

  4. Chareprasert, S., Piapukiew, J., Thienirun, S., Whalley, A. J. S. and Sihanonth, P. 2006. Endophytic fungi of teak leaves Tectona grandis L. and rain tree leaves Samanea saman Merr. World J. Microb. Biot. 22:482-486. 

  5. Clay, K. 1990. Fungal endophytes of grasses. Ann. Rev. Ecol. Syst. 21:275-297. 

  6. Gao, X., Zhou, H., Xu, D., Yu, C., Chen, Y. and Qu, L. 2005. High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from the pharmaceutical plant, Heterosmilax japonica Kunth revealed by cultivationindependent approach. FEMS Microbiol. Lett. 249:255-266. 

  7. Gardes, M. and Bruns, T. 1993. ITS primers with enhanced specificity for basidiomycetes-applica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mycorrhizae and rusts. Mol. Ecol. 2:113-118. 

  8. Hwang, K. A., Shin, S. R. and Kim, K. S. 2003. Changes on the flavor components in the leaf teas of Lindera obtusiloba BL. by processing methods. Kor. J. Food Preserv. 10:488- 492. (In Korean). 

  9. Hyde, K. D. and Soytong, K. 2008. The fungal endophyte dillema. Fungal Divers. 33:163-173. 

  10. Kil, Y. J., Eo, J. K. and Eom, A. H. 2009.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Pinus densiflora in Boeun, Korea. Kor. J. Mycol. Soc. 37:130-133. (In Korean). 

  11. Kim, C. S., Park, M. S. and Yu, S. H. 2008. Two species of endophytic Penicillium from Pinus rigida in Korea. Mycobiology 36:222-227. 

  12. Kim, S. H., Son, J. H. and Lee, S. H. 2009. Inhibitory effects of water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on the mast cellmediated allegic inflammation. Kor. J. Pharmacogn. 40:233- 237. (In Korean). 

  13. Kwon, D. J., Kim, J. K. and Bae, Y. S. 2007. Essential oils from leaves and twigs of Lindera obtusiloba. J. Kor. For. Sci. 96:65-69. (In Korean). 

  14. Kwon, J. H., Kang, S. W., Kim, J. S. and Park, C. S. 2002. Anthracnose of Achyranthes japonica caused by Glomerella cingulata in Korea. Res. Plant Dis. 8:59-62. (In Korean). 

  15. Park, C. W. 2005.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Seoul. 

  16. Photita, W., Taylor, P. W. J., Ford, R., Hyde, K. D. and Lumyong, S. 2005.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olletotrichum species from herbaceous plants in Thailand. Fungal Divers. 18:117-133. 

  17. Rubini, M., Silva-Ribeiro, R., Pomella, A., Maki, C., Araujo, W., dos Santos, D. and Azevedo, J. 2005. Diversity of endophytic fungal community of cacao (Theobroma cacao L.) and biological control of Crinipellis perniciosa, causal agent of Witches' Broom Disease. Int. J. Biol. Sci. 1:24-33. 

  18. Seo, K. H., Baek, M. Y., Lee, D. Y., Cho, J. G., Kang, H. C., Ahn, E. M., Baek, N. I. and Lee, Y. H. 2011. Isolation of flavonoids and lignans from the stem wood of Lindera obtusiloba Blume. J. appl. Biol. Chem. 54:178-183. (In Korean). 

  19. Seo, S. T., Kim, K. H., Kim, M. J., Hong, J. S., Park, J. H. and Shin, S. C. 2009. Diversity of fungal endophytes from Pinus koraiensis leaves in Korea. Kor. J. Mycol. 37:108-110. (In Korean). 

  20. Sreekanth, D., Sushim, G. K., Syed, A., Khan, B. M. and Ahmad, A. 2011. Molecular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 taxol-producing endophytic fungus, Gliocladium sp., from Taxus baccata. Mycobiology 39:151- 157. 

  21. Wei, J. G., Xu, T., Guo, L. D., Liu, A. R., Zhang, Y. and Pan, X. H. 2007. Endophytic Pestalotiopsis species associated with plants of Podocarpaceae, Theaceae and Taxaceae in southern China. Fungal Divers. 24:55-74. 

  22. Wong, M. K. M. and Hyde, D. M. 2001. Diversity of fungi on six species of Gramineae and one species of Cyperaceae in Hong Kong. Mycol. Res. 105:1485-14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