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핀과 실세스키옥세인을 포함한 팔라듐 나노입자와의 나노복합체 제조
Fabrication of Hybrid Nanocomposites of PAA-grafted Graphene and Pd Nanoparticles having POSS (Pd-POS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6 no.5, 2012년, pp.656 - 661  

임정혁 (한국교통대학교 나노고분자공학과) ,  고일웅 (한국교통대학교 나노고분자공학과) ,  김기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나노섬유융합연구그룹) ,  김경민 (한국교통대학교 나노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케이지 구조의 POSS-$NH_3{^+}$를 이용하여 팔라듐 입자들의 자기 조직화로 인한 구조가 제어된 Pd-POSS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또한 흑연을 강산과 산화제를 이용하여 산화된 그래핀 옥사이드(GO)를 합성한 후 얻어진 GO와 NaBH4와의 반응을 통하여 그래핀을 제조하였다. 합성된 그래핀과 acrylic acid와 라디칼 중합 반응을 통하여 그래핀 표면에 poly(acrylic acid)(PAA)가 결합된 PAA-grafted graphene을 얻었다. Pd-POSS와 PAA-grafted graphene을 이용한 나노복합체는 POSS-$NH_3{^+}$로 인하여 양전하를 띠는 Pd-POSS 나노입자와 PAA로 인하여 음전하를 띠는 PAA-grafted graphene와의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Pd-POSS 나노입자가 PAA로 치환된 그래핀 표면에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되어 있고, 나노복합체의 열적 안정성은 PAA와 PAA-grafted graphene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된 Pd-POSS/PAA-grafted graphene 나노복합체의 구조 및 형태와 열적 안정성은 FE-SEM, AFM, TEM, EDX, FTIR과 TG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lladium nanoparticles were self-assembled to make Pd-POSS using POSS-$NH_3{^+}$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as a crosslinker. Graphene oxide (GO) was produced by the reaction of graphite under a strong acid and oxidizer and poly(acrylic acid) (PAA) was covalently grafted ...

주제어

참고문헌 (25)

  1. K. S. Novoselov, Science, 306, 666 (2004). 

  2. Z. Yanwu, Adv. Mater., 22, 3906 (2010). 

  3. S. Park and R. S. Ruoff, Nat. Nanotechnol., 4, 217 (2009). 

  4. D. R. Dreyer, S. Park, C. W. Bielawski, and R. S. Ruoff, Chem. Soc. Rev., 39, 228 (2010). 

  5. H. He, J. Klinowski, M. Foster, and A. Lert, Chem. Phys. Lett., 287, 53 (1998). 

  6. S. Stankovich, J. Mater. Chem., 16, 155 (2006). 

  7. S. Stankovich, Carbon, 45, 1558 (2007). 

  8. I. K. Moon, J. H. LEE, R. S. Ruoff, and H. Y. Lee, Nat. Commun., 1, 73 (2010). 

  9. L. Dan, Nat. Nanotechnol., 3, 101 (2008). 

  10. S. Park, Chem. Mater., 20, 6592 (2008). 

  11. S. Park, J. An, and I. Jung, Nano Lett., 9, 1593 (2009). 

  12. R. Muszynski, B. Seger, and P. V. Kamat, J. Phys. Chem. C, 112, 5263 (2008). 

  13. K. M. Kim, D. K. Keum, and Y. Chujo, Macromolecules, 36, 867 (2003). 

  14. K. M. Kim and Y. Chujo, J. Mater. Chem., 13, 1384 (2003). 

  15. K. M. Kim and Y. Chujo,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41, 1306 (2003). 

  16. K. M. Kim, K. Adachi, and Y. Chujo, Polymer, 43, 1171 (2002). 

  17. K. M. Kim and Y. Chujo,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9, 4035 (2001). 

  18. K. Naka, H. Itoh, and Y. Chujo, Nano Lett., 2, 1183 (2002). 

  19. S. Luecke and K. Stoppek-Langner, Appl. Aurf. Sci., 144, 713 (1999). 

  20. G. Li, L. Wang, H. Ni, and C. U. Pittman, J. Inorg. Organomet. Polym., 11, 123 (2001). 

  21. B. X. Fu, L. Yang, R. H. Somani, and S. X. Zong,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39, 2727 (2001). 

  22. B. X. Fu, M. Y. Gelfer, B. S. Hsiao, S. Phillips, B. Viers, and R. Blansky, Polymer, 44, 1499 (2003). 

  23. M. Joshi and B. S. Butola, Polymer, 45, 4953 (2004). 

  24. J. Shen, Y. Hu, C. Li, C. Qin, M. Shi, and M. Ye, Langmuir, 25, 6122 (2009). 

  25. J. H. Jeon, J. H. Lim, Y. Chujo, and K. M. Kim, Polymer(Korea), 33, 615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