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이 보건소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munity Health Planning on public health centers' organizational performance 원문보기

보건행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v.22 no.2 = no.69, 2012년, pp.225 - 248  

장명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창엽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이화경 (한국건강증진재단) ,  박선희 (한국건강증진재단) ,  나백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munity Health Planning has been used in public health centers for over 10 years, but little is known about its effect and how it is utilized by public health centers.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Community Health Planning on public health centers'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us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지역보건의료계획의 내용과 수립 과정, 시행배경 등을 고려할 때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전략계획으로 간주하는 것은 타당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 조직의 전략계획 수립과 관리 모형에 근거하여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및 실행이 보건소 조직역량과 조직성과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 구조방정식모형은 측정 오류를 통제할 수 있어 사회과학 및 행동과학 분야에서 선호되는 분석모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조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여 이론 모형에 대한 통계적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배병렬, 2011). 연구의 분석 순서는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측정 모형의 적합도를 검정한 후, 기준치를 충족할 경우 가설검증을 위하여 구조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들의 유효성을 검정 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전국 보건소에 근무하는 보건소장, 지역보건의료계획 담당자, 기타 직원들의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자가평가를 통해 측정한 자료를 토대로 하였다. 전국 보건소 공무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는 것은 기존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보건소공무원의 인식 연구(정한호, 2003; 정남숙, 2006)가 특정 지역의 보건소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것에 비하여 이 연구가 갖는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 이 연구는 전국 보건소의 보건소장, 지역보건의료계획 담당자, 과장․계장을 포함한 기타 직원을 대상으로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실행, 효과 등에 대한 자가평가 결과를 조사하여 보건소의 계획 수립, 시행 수준, 조직역량 및 성과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하였고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시행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전략계획의 개념을 지역보건의료계획에 적용하여 계획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전략계획은 조직이 무엇인지, 무엇을 하는지, 왜 하는지를 밝히고 표현하는 의사결정과 실천을 위한 훈련된 노력으로 정의될 수 있고, 계획 수립과정은 의사소통과 참여, 다양한 이해와 가치의 수용, 분석결과에 근거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등을 포함한다(Bryson, 2004).
  • 이 연구는 지난 십여 년간 실시해온 보건소의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및 시행이 과연 당초 정책이 의도했던 바대로 보건소의 역량 및 성과 향상에 기여하였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보건소의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시행 수준, 조직역량 및 성과 간의 구조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궁극적으로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시행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다.
  • 이 연구는 지난 십여 년간 실시해온 보건소의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및 시행이 과연 당초 정책이 의도했던 바대로 보건소의 역량 및 성과 향상에 기여하였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보건소의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시행 수준, 조직역량 및 성과 간의 구조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궁극적으로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시행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요건, 계획 수립 수준, 계획 시행 수준, 조직역량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탐색적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계획 수립 요건의 충족도가 높은 보건소일수록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수준이 높을 것이다.
  • 가설 2>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수준이 높은 보건소일수록 계획 실행 수준이 높을 것이다.
  • 가설 3>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수준이 높은 보건소일수록 조직역량이 클 것이다.
  • 가설 4> 지역보건의료계획 실행 수준이 높은 보건소일수록 조직역량이 클 것이다.
  • 가설 5>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수준이 높은 보건소일수록 조직성과가 클 것이다.
  • 가설 6> 지역보건의료계획 실행 수준이 높은 보건소일수록 조직성과가 클 것이다.
  • 가설 7> 조직역량이 큰 보건소일수록 조직성과도 클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관련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이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지역보건의료계획이 명실상부한 해당지역의 종합적인 보건의료계획으로 위상이 높아지고 계획 작성 능력에 적잖은 기여를 하였으나 여전히 기초자치단체장의 인식 부족, 예산과 인력 지원의 미흡, 전문성의 결여 등으로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상투적이고 형식적인 계획이란 비판이 공존하고,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평가 및 관리체계가 구축되어야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기존의 관련 연구는 연구의 대부분이 자료의 수집이 용이한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거나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과정의 일부, 혹은 집행실적만을 다루어 지역보건의료계획 체계 전반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당초 보건소의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을 결정한 지역보건정책 관계자들은 계획 수립을 통해 보건소의 조직역량강화를 목표하였음에도 불구하고1) 현재까지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이 보건소의 조직역량이나 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전무하다.
보건의료 계획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이유는 무엇인가? 지역단위의 보건의료계획이 일차보건의 전략으로 채택된 이래 보건의료계획은 정책과 환경의 변화를 필요로 하는 복잡한 건강문제의 해결을 위한 중요한 단계이자(IOM, 2002), 프로그램 성공의 토대로서 강조되어왔지만(Butterfoss와 Dunet, 2005) 계획과 그 결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거의 없다(Butterfoss 등, 1996). 보건의료 계획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이유로는 보건의료계획이 역학과 같은 공중보건의다른 분야와 달리 이론적 기반이 취약하고(Lenihan, 2005), 계획은 종종 그 자체로 목적이 되어 계획이 서류만으로 존재하거나 집행에 실패하여 관찰가능한 효과가 거의 없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Green, 2007). 최근 들어 MAPP과 같은 보건의료계획 모델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계획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소수의 사례연구가 수행되었을 뿐이다(Shields와 Pruski, 2005; Salem, 2005).
전략계획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시오. 이 연구는 전략계획의 개념을 지역보건의료계획에 적용하여 계획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전략계획은 조직이 무엇인지, 무엇을 하는지, 왜 하는지를 밝히고 표현하는 의사결정과 실천을 위한 훈련된 노력으로 정의될 수 있고, 계획 수립과정은 의사소통과 참여, 다양한 이해와 가치의 수용, 분석결과에 근거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등을 포함한다(Bryson, 2004). 지역보건의료계획 작성지침에 따르면, 지역보건의료계획은 지방자치단체 보건의료의 종합계획으로써 특히 비전 및 목표 설정, 중점 ․ 특화 사업전략 수립, 다양한 지역사회 구성원의 참여를 강조하고 있으므로(보건복지부, 2010), 지역보건의료계획은 지방의 보건행정을 담당하는 보건소의 전략계획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김성옥, 송건용.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정에서의 주민참여실태와 이에 미치는 영향. 보건행정학회지 1998; 8(1): 112-134. 

  2. 김신의. 기초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중심으로 한 21C를 대비한 보건소의 발전방향. 보건 행정학회 전기 학술대회 연제집. 서울: 한국보건행정학회; 1997: 31-42. 

  3. 김철웅, 임민경, 장명화, 황은정, 이태호, 송은철, 나백주. 제4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작성 지침 및 평가체계 개발. 서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 

  4. 김춘배. 지역보건의료계획에서의 주민참여 관련요인 분석. 보건행정학회 후기 학술대회 연제집. 서울: 한국보건행정학회; 1999: 123-132. 

  5. 나백주. 제5기 지역보건의료계획 방향과 지침 소개.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지 2010; 35(2):195-203. 

  6. 농어촌의료서비스기술지원단.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사업지침. 서울: 보건복지부; 1995. 

  7. 박석희. 공공부문의 성과관리와 조직역량: 차단된 시계열설계를 통한 13개 공기업의 실증분석. 한국행정학보 2006; 40(3): 219-244. 

  8. 박재용. 지역보건의료계획 평가. 보건행정학회 전기 학술대회 연제집. 서울: 한국보건행 정학회; 1999. 3-45. 

  9. 박홍윤. 공공조직을 위한 전략적 기획론. 서울: 대영문화사; 2009. 

  10. 배상수. 지역보건의료계획의 개선방안. 보건행정학회 전기 학술대회연제집. 서울: 한국보건행정학회; 1997: 43-53. 

  11. 송건용. 지역보건의료계획의 경과와 평가. 보건행정학회 전기 학술대회연제집. 서울: 한국보건행정학회; 1997: 17-24. 

  12. 배병렬. AMOS 19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11. 

  13. 보건복지부. 제5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작성지침. 서울: 보건복지부; 2010. 

  14. 이근주, 이혜윤. 보상 유형에 대한 차별적 기대가 공무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2007; 41(2): 117-140. 

  15. 이신호, 김상용, 박선희, 장명화, 임재우. 제4기 지역보건의료계획 1차 현지평가. 서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16. 이신호, 장명화, 박선희. 제4기 지역보건의료계획 및 시행결과 평가. 서울: 한국보건산 업진흥원; 2007. 

  17. 이신호, 김철웅, 박선희, 장명화, 김대희, 임민경.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 4차 현지평가. 서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7. 

  18. 이신호, 김철웅, 황은정, 임민경, 장명화, 송은철, 나백주.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 3차 현지평가. 서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6. 

  19. 이신호, 김철웅, 황은정, 임민경, 장명화, 나백주.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 2차 현지평가. 서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 

  20. 이신호, 김철웅, 황은정.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 현지평가(1차). 서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4. 

  21. 이신호, 나백주, 정설희, 김철웅, 조명선, 이진용, 신동영 등.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 및 시행결과 평가연구. 서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2. 

  22. 정남숙,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보건소 직원의 참여도, 활용도, 평가인식[석사학위 논문]. 서울: 연세대 보건대학원; 2006. 

  23. 정한호, 감신, 한창현. 보건소 공무원의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참여실태 및 태도. 한국농촌의학회지 2003; 28(2): 135-154. 

  24.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00; 19(1): 161-177. 

  25. Berry FS, Wechsler B. State agencies' experience with strategic planning: Findings from a national survey.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1995; 55(2): 159-168. 

  26. Blair R. Public Particip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The Role of Strategic Planning.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004; 28(1/2): 102- 147. 

  27. Boyd BK. Strategic planning and financial performance: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1991 ;28(4): 353-374. 

  28. Boyne GA, Gould-Williams JS, Law J, Walker RM. Problems of Rational Planning in Public Organizations :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Conventional wisdom. Administration & Society 2004; 36(3): 328-350. 

  29. Boyne GA, Gould-Williams JS. Planning and Performance in Public Organizations - An empirical analysis. Public Management Review 2003; 5(1): 115-132. 

  30. Brewer GA, Selden SC. Why Elephants Gallop: Assessing and Predict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Federal Agencies. J-PART 2000; 10(4) :485-711. 

  31. Bryson JM. Strategic Planning for Public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hird edition. San Francisco(CA): Jossey-Bass; 2004. 

  32. Butterfoss FD, Dunet DO. State Plan Index: A tool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state public health plans. Preventing Chronic Disease[serial online]. 2005:1-10. 

  33. Campbell JP, Brownas EA, Peterson NG, Dunnette MD.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Review of Relevant Research and Opinion. Minneapolis:Navy Personne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1974. 

  34. Crampton SM, Wagner JA. Percept-Percept inflation in micro-organizational research: an investigation of prevalence and effe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4; 79(1): 67-76. 

  35. Daley DM.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People and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New Jersey: Prentice Hall; 2002. 

  36. Fornell C, Larcker D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81; 18(1): 39-50. 

  37. Grant RM. Prospering in dynamically-competitive environments: Organizational capability as knowledge integration. Organization Science 1996; 7(4): 375-387. 

  38. Green A. An introduction to health planning for developing health system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39. Hair JF, Anderson RE, Tatham RL, Black W.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1998. 

  40. Hendrick R. Strategic planning environment, process, and performance in public agencies: A comparative study of departments in Milwaukee. J-PART 2003; 13(4): 491-519. 

  41. 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ies. The future of the public's health in the 21st centur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2. 

  42. Mintzberg H. The Rise and Fall of Strategic Planning. New York: the Free Press;1994. 

  43. Lawrence PR, Lorsch JW.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Managing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Boston: Harvard Business Press; 1967. 

  44. Lenihan P. MAPP and the evolution of planning in public health practice. J Public Health Management practice, 2005; 11(5): 381-386. 

  45. Poister TH, Pitts DW, Edwards LH. Strategic management research in the public sector: A review, synthesis, and future directions. The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2010; 40(5): 522-545. 

  46. Poister TH, Streib G. Elements of Strategic Planning and Management in Municipal Government: Status after Two Decad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2005; 65(1): 45-56. 

  47. Salem E, Hooberman J, Ramirez D. MAPP in Chicago: A Model for Public Health Systems Development and Community Building. J Public Health Management Practice 2005; 11(5): 393-400. 

  48. Shields KM, Pruski CE. MAPP in action in San Antonio, Texas. J Public Health Management Practice 2005; 11(5): 407-414. 

  49. Wheeland CM, Citywide strategic planning: An evaluation of Rock Hill's empowering the visio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1993; 53(1): 65-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