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nGaAs 반도체 박막의 테라헤르쯔(THz) 발생 및 검출 특성 연구
A Study on THz Generation and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InGaAs Semiconductor Epilayers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21 no.5, 2012년, pp.264 - 272  

박동우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김진수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노삼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검출소자 글로벌연구실) ,  지영빈 (한국해양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  전태인 (한국해양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InGaAs 반도체에 기반한 테라헤르쯔(THz) 송/수신기(Tx/Rx) 제작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InGaAs 박막의 THz 발생 및 검출 특성에 관한 결과를 보고한다. THz 발생과 검출 특성 조사에는 각각 MBE 장비로 고온(HT) 및 저온(LT)에서 성장한 InGaAs 박막이 사용되었으며, THz 발생에는 photo-Dember 표면방출 방법이 시도되었다. HT-InGaAs 기판 위에 제작한 전송선(Ti/Au)의 가장자리에 Ti:Sapphire fs 펄스 레이저(60 ps/83 MHz)를 조사하여 THz파를 발생시켰으며, 이때 THz 검출에는 LT-GaAs가 사용되었다. 시간지연에 따른 전류신호를 Fourier 변환하여 얻은 THz 스펙트럼의 주파수 범위는 약 0.5~2 THz이었으며, 여기 레이저 출력에 대한 신호의 세기는 지수함수적 변화를 보였다. THz 검출 특성에 사용한 LT-InGaAs Rx에는 쌍극자(5/20 ${\mu}m$) 구조의 안테나가 탑재되어 있으며, 차단 주파수는 약 2 THz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report THz generation and detection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by InGaAs semiconductor epilayers, as results of a basic study obtained from the InGaAs-based THz transmitter/receiver (Tx/Rx). High-temperature and low-temperature (LT) grown InGaAs epilayers were prepared by the m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광전도검출법은 광전도 발생방식의 역과정으로, 안테나에 조사된 THz 펄스가 전극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여 THz 강도에 비례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이 때 생성된 THz 전기장은 수 ps 정도 지속된다. 본 실험에서는 THz-TDS 시스템을 이용하여, 광전도검출법으로 InGaAs Rx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InGaAs 반도체 박막에 기반한 테라헤르쯔 (THz) 송/수신기(Tx/Rx) 구현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InGaAs에서의 THz파 발생 및 검출 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 하였다. 고온(high temperature, HT)/저온(low temperature, LT)에서 성장한 InGaAs 박막 기판 위에 접합한 Tx/Rx 구조를 이용하여 THz 발생/검출 특성을 각각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Hz 검출 기구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이 존재하는가? THz 검출 기구는 기본적으로 THz 발생의 역과정으로, 전광추출법(electro-optical sampling)과 광전도추출법(photoconductive sampling)의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THz 펄스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발생 기구에 따라 나누면 어떤 것이 있는가? THz 펄스는 대부분 Ti:Sapphire 등과 같은 극초단 펄스 레이저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데, 발생 기구에 따라 광정류 (optic rectification), 광전도방출(photoconductive emission), 표면방출(surface emission) 등 크게 3가지로 나눌수 있다.
광정류에 의한 THz 발생은 어떤 약점이 있는가? 광정류에 의한 THz 발생은 비선형 결정에 고강도의 극초단 레이저 펄스를 통과시킬 때 비선형 과정에 의하여 결정이 순간적으로 전기적으로 편광되는 현상을 이용한다. 비선형성이 높은 ZnTe, GaP, GaAs 등이 이용되고 있는 데, 출력과 주파수 대역이 높은 반면 두꺼운 결정과 고강도 fs 펄스 레이저가 요구되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는 달리, 광전도 방출은 반도체 표면에 극초단 펄스 레이저 (<100 ps)를 조사할 때 생성된 전자-정공쌍(electronhole pair, EHP)에 의하여 반도체가 순간적으로 절연성에서 전도성으로 바뀌는 현상을 이용하는데, 표면에 형성한 전송선 구조에 전압을 인가할 때 전류의 급격한 변화가 THz파를 발생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 Sakai (Ed.), Terahertz Optoelectronics (Springer, Germany, 2005). 

  2. M. Tonouchi, Nature Photonics 1, 97 (2007). 

  3. S. Wang and X. -C. Zhang, J. Phys. D37, R1 (2004). 

  4. N. J. Kim, S.-P. Han, H. S. Ko, Y. A. Leem, H.-C. Ryu, C. W. Lee, D. H. Lee, M. Y. Jeon, S. K. Noh, and K. H. Park, Opt. Exp. 19, 15397 (2011). 

  5. S.-P. Han, H. S. Ko, N. J. Kim, H. -C. Ryu, C. W. Lee, Y. A. Leem, D. H. Lee, M. Y. Jeon, S. K. Noh, H. S. Chun, and K. H. Park, Opt. Lett. 36, 3094 (2011). 

  6. B. Sartorius, M. Schlak, D. Stanze, H. Roehle, H. Kuenzel, D. Schmidt, H.-G. Bach, R. Kunkel, and M. Schell, Opt. Exp. 17, 15001 (2009). 

  7. A. Tredicucci, R. Koehler, L. Mahler, H. E. Beere, E. H. Linfield, and D. A. Ritchie, Semicond. Sci. Technol. 20, S222 (2005). 

  8. K. L. Vodopyanov, Laser & Photon. Rev. 2, 11 (2009). 

  9. G. Scalari, C. Walther, M. Fischer, R. Terazzi, H. Beere, D. Richie, and J. Faist, Laser & Photon Rev. 3, 45 (2009). 

  10. H. Rochle, R. J. B. Dietz, H. J. Hensel, J. Boettcher, H. Kuezel, D. Stanze, M. Schell, and B. Sartorius, Opt. Exp. 18, 2296 (2010). 

  11. S. J. Oh, C. Kang, I. Maeng, J. -H. Son, N. K. Cho, J. D. Song, W. J. Cho, and J. I. Lee, Appl. Phys. Lett. 90, 131906 (2007). 

  12. J. Sigmund, C. Sydlo, H. L. Hartnagel, N. Benker, H. Fuess, F. Rutz, T. Kleine-Ostmann, and M. Koch, Appl. Phys. Lett. 87, 252103 (2005). 

  13. V. Ryzhii, M. Ryzhii, V. Miltin, and T. Otsuji, J. Appl. Phys. 107, 054512 (2010). 

  14. G. Huang, W. Guo, P. Bhattacharya, G. Ariyawansa, and A. G. U. Perera, Appl. Phys. Lett. 94, 101115 (2009). 

  15. P. V. V. Jayaweera, S. G. Matsik, A. G. U. Perera, Y. Paltiel, A. Sher, A. Raizman, H. Luo, and H. C. Liu, Appl. Phys. Lett. 90, 111109 (2007). 

  16. S. J. Lee, Z. Ku, A. Barve, J. Montoya, W.-Y. Jang, S. R. J. Brueck, M. Sundaram, A. Reisinger, S. Krishna, and S. K. Noh, Nature Commun. 2, 286 (2011). 

  17. S. J. Lee, S. K. Noh, S. H. Bae, and H. Jung, J. Korean Vacuum Soc. 20, 22 (2011). 

  18. H. W. Shin, J. W. Choe, J. O. Kim, S. J. Lee, C. S. Kim, and S. K. Noh, J. Korean Vacuum Soc. 20, 35 (2011). 

  19. C. S. Kim, J. H. Kim, K. J. Yee, D. H. Youn, and K. Y. Kang, J. Korean Phys. Soc. 55, 630 (2009). 

  20. S. Rihani, R Faulks, H. E. Beere, I. Farrer, M. Evans, D. A. Ritchie, and M. Pepper, Appl. Phys. Lett. 96, 091101 (2010). 

  21. L. Joulaud, J. Mangeney, N. Chimot, P. Crozat, G. Fishman, and J. C. Bourgoin, J. Appl. Phys. 97, 063515 (2005). 

  22. J. O. Kim, S. J. Lee, D. S. Yee, S. K. Noh, J. H. Shin, K. H. Park, C. Kang, C. -S. Kee, D. W. Park, C. S. Kim, and J. S. Kim, J. Korean Phys. Soc. 58, 1334 (2011). 

  23. Y. Ko, S. Sengupta, S. Tomasulo, P. Dutta, and I. Wilke, Phys. Rev. B 78, 035201 (2008). 

  24. G. Klatt, F. Hilser, W. Qiao, M. Beck, R. Gebs, A. Bartels, K. Huska, U. Lemmer, G. Bastian, M. B. Johnson, M. Fischer, J. Faist, and T. Dekorsy, Opt. Exp. 18, 4939 (2010). 

  25. J. L. Pan, J. E. Mcmanis, T. Osadchy, L. Grober, J. M. Woodall, and P. J. Kindmann, Nature Mater. 2, 375 (2003). 

  26. R. Ascazubi, C. Shneider, I. Wilke, R. Pino, and P. S. Dutta, Phys. Rev. B 72, 045328 (2005). 

  27. C. Baker, I. S. Gregory, M. J. Evans, W. R. Tribe, E. H. Linfield, and M. Missous, Opt. Exp. 13, 9639 (2005). 

  28. I. S. Gregory, C. Baker, W. R. Tribe, I. V. Bradley, M. J. Evans, E. H. Linfield, A. Giles, and M. Missous, IEEE J. Quantum Electron. 41, 717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