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F Sputtering의 증착 조건에 따른 HfO2 박막의 Nanocrystal에 의한 Nano-Mechanics 특성 연구
Nano-mechanical Properties of Nanocrystal of HfO2 Thin Films for Various Oxygen Gas Flows and Annealing Temperatures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21 no.5, 2012년, pp.273 - 278  

김주영 (국민대학교 나노전자물리학과) ,  김수인 (국민대학교 나노전자물리학과) ,  이규영 (국민대학교 나노전자물리학과) ,  권구은 (국민대학교 나노전자물리학과) ,  김민석 (서울과학고등학교) ,  엄승현 (서울과학고등학교) ,  정현진 (서울과학고등학교) ,  조용석 (서울과학고등학교) ,  박승호 (서울과학고등학교) ,  이창우 (국민대학교 나노전자물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Hf (Hafnium)을 기반으로한 게이트 유전체의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어져 왔다. 이는 기존의 $SiO_2$보다 유전상수 값이 크고, 또한 계속되는 scaling-down 공정에서도 양자역학적인 터널링을 차단하는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MOSFET 구조에서 유전체 박막의 두께 감소로 인한 전기적 특성 저하를 보완하기 위해서 high-K 재료가 대두되었고 현재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HfO_2$에 대한 nano-mechanical 특성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게이트 절연층으로 최적화하기 위하여 $HfO_2$ 박막의 nano-mechanical properties를 자세히 조사하였다. 시료는 rf magnetron sputter를 이용하여 Si (silicon) 기판 위에 Hafnium target으로 산소유량(4, 8 sccm)을 달리하여 증착하였고, 이후 furnace에서 400에서 $800^{\circ}C$까지 질소분위기에서 20분간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산소 유량을 8 sccm으로 증착한 시료가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누설전류 특성 성능이 우수 해졌다. Nano-indenter로 측정하고 Weibull distribution으로 정량적 계산을 한 결과, $HfO_2$ 박막의 stress는 as-deposited 시료를 기준으로 $400^{\circ}C$에서는 tensile stress로 변화되었다. 그러나 온도가 증가(600, $800^{\circ}C$)할수록 compressive stress로 변화 되었다. 특히, $400^{\circ}C$ 열처리한 시료에서 hardness 값이 (산소유량 4 sccm : 5.35 GPa, 8 sccm : 5.54 GPa) 가장 감소되었다. 반면에 $800^{\circ}C$ 열처리한 시료에서는(산소유량 4 sccm : 8.09 GPa, 8 sccm : 8.17 GPa) 크게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온도에 따른 $HfO_2$ 박막의 stress 변화를 해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the last decade, the hafnium-based gate dielectric materials have been studied for many application fields. Because these materials had excellent behaviors for suppressing the quantum-mechanical tunneling through the thinner dielectric layer with higher dielectric constant (high-K) tha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때 stress-free 상태에 비교하여 박막의 stress 상태에 따라 tip이 물질 내로 압입하는데 차이를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곡선 기울기의 차이를 통해 박막이 compressive stress나 tensile stress가 존재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Fig.

가설 설정

  • thin films for (a) hardness value and (b) Weibull modulu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f을 기반으로 한 high-K 물질는 어떤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가? 따라서 이러한 금속산화물 증착 한계는 물리적으로 얇으면서도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대안 물질을 찾고자하는 집중적인 기본연구를 유발 하였다 [1]. 이런 Hf을 기반으로 한 high-K 물질은 양자역학적으로 터널링을 억제하기 위해 요구되는 EOT(equivalent oxide thickness) 를 만족해야 하고, 실리콘과의 band offset이 1 eV 이상인 절연체여야 한다. 또한 실리콘과 양호한 전기적 계면을 형성해야 하고 열적으로 안정된 재료여야 한다 [2]. 동시에 nano-mechanical 특성은 nano-size 단위인 박막들의 적층구조로 진행되는 공정에서 미시적인 영역의 작용을 고려하는데 반드시 중요한 요소이다 [3,4].
열처리시 HfO2 유전박막의 절연특성이 증가한 이유는? Current density 측정결과, 산소를 8 sccm 흘려준 시료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더 우수한 break down voltage 특성을 나타냈다. 이는 산소유량이 8 sccm을 흘려 증착한 박막의 산화막이 더 조밀하며, 산소와 Hf가 잘 결합하여 박막의 조성비가 좋아져 열처리 시에 HfO2 유전박막의 절연특성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Hf (Hafnium)을 기반으로한 게이트 유전체의 연구가 여러분야에서 다양하게 진행된 이유는? 현재 Hf (Hafnium)을 기반으로한 게이트 유전체의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어져 왔다. 이는 기존의 $SiO_2$보다 유전상수 값이 크고, 또한 계속되는 scaling-down 공정에서도 양자역학적인 터널링을 차단하는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MOSFET 구조에서 유전체 박막의 두께 감소로 인한 전기적 특성 저하를 보완하기 위해서 high-K 재료가 대두되었고 현재 주를 이루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J. Robertson, J. Appl. Phys. 104, 124111 (2008). 

  2. J. H. Choi, Y. Mao, and J. P. Chang,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R72, 97 (2011). 

  3. S. I. Kim and C. W. Lee, J. Nanosci. & Nanotechnol. 11, 1401 (2011). 

  4. S. I. Kim, H. W. Oh, J. W. Huh, B. K. Ju, and C. W. Lee, Thin Solid Films 519, 6872 (2011). 

  5. J. Y. Kim, S. I. Kim, K. Y. Lee, and C. W. Lee, J. Korean vacuum Soc. 21, 12 (2012). 

  6. S. I. Kim, K. Y. Lee, J. Y. Kim, and C. W. Lee, J. Korean vacuum Soc. 20, 456 (2011). 

  7. J. Y. Kim, H. W. Oh, S. I. Kim, S. H. Choi, and C. W. Lee, J. Korean vacuum Soc. 20, 200 (2011). 

  8. H. Gruger, C. Kunath, E. Kurth, S. Sorge, W. Pufe, and T. Pechstein, Thin Solid Films 447, 509 (2004). 

  9. C. V. Ramana, K. Kamala Bharathi, A. Garcia, and A. L. Campbell, J. Phys. Chem. C. 116, 9955 (2012). 

  10. S. V. Ushakov, A. Navrotsky, Y. Yang, S. Stemmer, K. Kukli, M. Ritala, M. A. Leskel, P. Fejes, A. Demkov, C. Wang, B. -Y. Nguyen, D. Triyoso, and P. Tobin, Phys. Stat. Sol. (b), 241, 2268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