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 계측 기법을 이용한 서울 주요 가로의 녹시율 분석
The Study on Index of Greeness in Streets of Seoul by Using Automatic Measurement Techniques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2 no.2, 2012년, pp.93 - 101  

남창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방재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장대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Index of Greeness(I.O.G) and analyzed factors that affect in downtown street of Seoul.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n ways of improving I.O.G, with an emphasis on accuracy of measurement. We utilized the autimatic measurment techniques proposed by Tonosaki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시 내 녹지를 확대하기 위한 대안적 정책 지표의 활용성을 증진시키고자 수행되었다. 최근 많은 도시들이 녹지량과 관련된 다양한 지표 운용를 통해 양적 증대를 도모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녹시율 계측 시 발생하는 정확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계측기법을 활용하여 서울 주요 가로의 녹시율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향후 추가적으로 진행될 녹시율 증진 방안 연구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 현재의 녹지 공급 관련 정책지표와 녹화정책을 가시적이며 객관적으로 정량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실제 가로환경을 실측하고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수립될 정책지표의 방법론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의 성격을 가진다.
  • 다섯 번째, 식재된 교목의 수종에 따른 녹시율 변화를 분석하였다. 전체 측정구간에는 가로식수대에 양버즘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등 크게 3종류의 교목류가 식재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각 수종에 따른 녹시율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종로 2가 사거리 ∼ 종각역에서는 주로 양버즘나무와 은행나무가 식재되어 있으며 약수역 ∼ 버티고개역 구간에서는 소나무가 주로 식재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시율 측정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현재 녹시율 측정방법은 Photoshop과 같은 화상처리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방법, 사진절편을 계량하는 중량법, 플래니미터 법, 방안법, 점격자판법 등의 방법이 있다(Tonosaki, 2010). 하지만 모든 방법이 연구자의 시각에 의존하는 계측방법이기 때문에 측정자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여 정확하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얻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녹시율 측정방법들의 한계는 무엇인가? 현재 녹시율 측정방법은 Photoshop과 같은 화상처리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방법, 사진절편을 계량하는 중량법, 플래니미터 법, 방안법, 점격자판법 등의 방법이 있다(Tonosaki, 2010). 하지만 모든 방법이 연구자의 시각에 의존하는 계측방법이기 때문에 측정자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여 정확하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얻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녹시율이란 무엇인가? 녹시율은 일정 지점에 서 있는 사람의 시계(視界) 내에서 식물의 잎이 점유하고 있는 비율을 말하며 과거 평면적, 수평적인 개념의 녹화공간 평가에서 인간이 체감하는 녹화공간을 보다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녹시율은 “ 실제 사람의 눈으로 파악되는 식물의 시각적 양” 이라는 것과 촬영 된 전체 사진면적 대비 사진에 투영된 식물 면적 계산을 통해 산출된다는 점에서 일치를 보이고 있으나, 사용되는 카메라 및 렌즈의 종류, 사진촬영 구도, 녹시율 산출 대상 식물 종류(관목류 또는 지피식물 포함 여부) 및 식물 부위(줄기 포함) 등 세부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고 있다(조용현 외 2010, 2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경기개발연구원(2002), 경기도 내 가로수 현황조사 및 현황도 작성 

  2. 서울시보 2913호 (2009), 건축물 환경영향평가 항목 및 심의기준 변경고시,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239호 

  3.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3), 서울시 가로 녹시율 증진방안 

  4. 이승훈(2007), 녹시율의 정서증진효과에 대한 맥락 분석: 집과 집 이외의 장소, 한국심리학회지 12(4), pp. 997-1017 

  5. 인천발전연구원(2003), 구도심 가로의 녹량 및 녹시율 증진 방안 

  6. 조용현(2006), 경관 시뮬레이션을 통한 가로 녹시율 증진방안 및 목표수준 설정, 한국조경학회지 34(2), pp.26-35 

  7. 조용현, 정용문, 김광동(2006), 녹지량 지표로서 녹시율 개념을 도입한 서울시 가로 환경 특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4(1), pp. 1-9 

  8. 조용현, 조현길, 한봉호(2010), 서울시 환경영향평가에서 가로 녹시율 지표의 적용 실태, 환경영향평가 19(2), pp. 205-213 

  9. Herzog, T. R., Black, A. M., Foutain, K. A. & Knottd, D. J. (1997), Reflection and attentional recovery as distinctive benefits of restorative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 Psychology, 17(2), pp. 165-170 

  10. Kaplan, R. (2001) The nature of the view from home: Psychological benefits. Environment & Behavior, 33(4), pp. 507-542 

  11. Tonosaki, C. (2010), Research on the new measurement of the ratio of vertical green coverage with leaf colors. Landscape Research Japan Online 3, pp. 26-31 

  12. Tonosaki, C. (2011), 입체녹화 기술의 동향과 녹화효과의 계측 기술, 도시경관 개선을 위한 입체녹화 활용방안 한일국제세미나 자료집 

  13. White, E.V., Gatersleben, B. (2011) Greenery on residential buildings: Does it affect prefernces and perceptions of beauty?.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1, pp.89-98 

  14. Yang, J,. Zhao, L, Mcbride, J, Gong, P. (2009), Can you see green? Assessing the visibility of urban forest in citi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1, pp.97-1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