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 화자의 영어 양순음 /b/와 순치음 /v/ 식별에서 시각 단서의 효과
The Effect of Visual Cues in the Identification of the English Consonants /b/ and /v/ by Native Korean Speaker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4 no.3, 2012년, pp.25 - 30  

김윤현 (서울대학교) ,  고성룡 (서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native Korean listeners could use visual cues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English consonants /b/ and /v/. Both auditory and audiovisual tokens of word minimal pairs in which the target phonemes were located in word-initial or word-medial position were used. Partic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식별해야 할 음소가 단어의 머리에 나올 때와 단어의 중간에 나올 때 시각 단서의 활용 정도가 같은지 다른지 검토하였다. 단어 내 위치처럼 음소가 놓인 환경에 따라 같은 음소라도 식별률이 다르다.
  • 시각 단서 유무에 따른 식별률의 차이가 음소에 대한 민감도 차이와 관련 있는지 혹은 참여자들 반응 기준의 편중과 관련 있는지 살펴보았다. 민감도와 반응 편중의 계산에는 베이지안 분석 방법을 썼다(Dennis, Lee, & Kinnell, 2008; Lee, 2008).
  • 파열음인 /b/는 다물었던 두 입술을 터뜨려 나오는 말소리이고, /v/는 마찰음으로 윗니를 아래 입술에 살짝 댄 채로 공기를 그 좁은 틈으로 새나오게 해서 만드는 말소리이다. 외국어 말소리를 들을 때 발음하고 있는 입 모양도 볼 수 있다면 말소리만 들을 때에 비해 어떤 말소리인지 더 잘 식별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한국어 화자에게 영어 음소 /b/와 /v/를 식별하도록 할 때, 발음하고 있는 사람의 얼굴을 함께 보여 주는 것이 식별에 효과적인지, 그리고 시각 단서가 식별에 미치는 영향이 낱말에서 음소의 위치(단어 머리 vs. 단어 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 한국어 화자들이 영어 유음 /r/과 /l/을 식별할 때 시각 단서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예, Hazan 등, 2006). 이 연구에서는 /r/, /l/보다 조음 동작의 차이가 시각적으로 더 분명하게 드러나는 /b/와 /v/를 이용하여 한국어 화자들이 이 두 음소를 식별할 때 시각 단서를 활용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시각 단서의 활용에 식별하려는 외국어 말소리와 모국어 말소리의 음성 또는 조음 자질들의 관계가 중요하다면, 한국어는 유성음인 양순음이 없다는 점에서 일본어에 비해 영어와 더 다르기 때문에 한국어 화자의 경우에는 일본어 화자에 비해 시각 단서 효과가 없거나 작아야 할 것이다.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화자가 모국어에 없는 외국어 말소리를 식별할 때 시각 단서를 활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어 화자들이 영어 유음 /r/과 /l/을 식별할 때 시각 단서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예, Hazan 등, 200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순 파열음 /b/와 순치 마찰음 /v/는 어떻게 발음하는가? 이 음소들은 조음 과정에서 눈에 띌 정도로 입 모양 움직임에 차이가 있다. 파열음인 /b/는 다물었던 두 입술을 터뜨려 나오는 말소리이고, /v/는 마찰음으로 윗니를 아래 입술에 살짝 댄 채로 공기를 그 좁은 틈으로 새나오게 해서 만드는 말소리이다. 외국어 말소리를 들을 때 발음하고 있는 입 모양도 볼 수 있다면 말소리만 들을 때에 비해 어떤 말소리인지 더 잘 식별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한국어 화자에게 영어 음소 /b/와 /v/를 식별하도록 할 때, 발음하고 있는 사람의 얼굴을 함께 보여 주는 것이 식별에 효과적인지, 그리고 시각 단서가 식별에 미치는 영향이 낱말에서 음소의 위치(단어 머리 vs.
맥거크 효과 실험 패러다임을 이용한 연구에 따르면, 청자가 시각 단서를 무시한 이유는 무엇으로 추측할 수 있는가? 맥거크 효과 실험 패러다임을 이용한 연구(Sekiyama & Burnham, 2008)에 따르면, 영어 화자들의 경우에 6세에서 11세에 이르기까지 시각 단서의 영향이 점점 커졌지만, 일본어 화자들은 이런 발달적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청자가 시각 단서를 무시한 것은, 모국어 말소리의 시각 단서가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거나 대화 중 얼굴을 잘 보지 않아서 조음 관련 시각 단서를 잘 처리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일 수 있다(Sekiyama, 1997). 예를 들어, 중국어의 경우 성조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데, 시각 단서는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한다.
맥거크 효과의 크기는 어떤 조건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가? 예를 들어, /ga/를 조음할 때의 입 모양(시각 단서)과 /ba/의 말소리(청각 단서)를 함께 제시하면, 청자는 /da/로 식별하는 비율이 높다. 그런데 맥거크 효과의 크기는 청자가 사용하는 모국어에 따라 차이가 있다(예, 최양규, 2004; Sekiyama, 1997; Sekiyama & Tohkura, 1991).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화자들은 영어 화자들에 비해 맥거크 효과가 작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Yang-Gyu (2004). The influences of visual information in place of articulation on speech perception: The McGurk effect in Korean subjects.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13, 117-128. (최양규 (2004). 조음위치에 관한 시각정보가 말소리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의 McGurk 효과. 言語治療硏究, 13, 117-128.) 

  2. Dennis, S., Lee, M. D. & Kinnell, A. (2008). Bayesian analysis of recognition memory: The case of the list-length effect.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59, 361-376. 

  3. Forster, K. I. & Forster, J. C. (2003). DMDX: A Windows display program with millisecond accuracy. Behavior Research Methods, 35, 116-124. 

  4. Grant, K. W. & Seitz, P. F. (1998). Measures of auditory-visual integration in nonsense syllables and sentence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4, 2438-2450. 

  5. Hardison, D. M. (2003). Acquisition of second-language speech: Effects of visual cues, context, and talker variability. Applied Psycholinguistics, 24, 495-522. 

  6. Hazan, V., Sennema, A., Iba, M. & Faulkner, A. (2005). Effect of audiovisual perceptual training on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consonants by Japanese learners of English. Speech Communication, 47, 360-378. 

  7. Hazan, V., Sennema, A., Faulkner, A., Ortega-Llebaria, M., Iba, M. & Chung, H. (2006). The use of visual cues in the perception of non-native consonant contras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19, 1740-1751. 

  8. Iverson, P., Kuhl, P. K., Akahane-Yamada, R., Diesch, E., Tohkura, Y., Kettermann, A. & Siebert, C. (2003). A perceptual interference account of acquisition difficulties for non-native phonemes. Cognition, 87, 47-57. 

  9. Kuhl, P. K. & Meltzoff, A. N. (1982). The bimodal perception of speech in infancy. Science, 218, 1138-1141. 

  10. Lee, M. D. (2008). BayesSDT: Software for Bayesian inference with signal detection theory. Behavior Research Methods, 40, 450-456. 

  11. Logan, J., Lively, S. & Pisoni, D. B. (1991). Training Japanese listeners to identify English /r/ and /l/: A first report.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9, 874-886. 

  12. Macmillan, N. & Creelman, C. (2005). Detection theory: A user's guide.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 Inc. 

  13. McGurk, H. & MacDonald, J. (1976). Hearing lips and seeing voices. Nature, 264, 746-748. 

  14. Schmidt, A. M. (1996). Cross-language identification of consonants. Part 1. Korean perception of English.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9, 3201-3211. 

  15. Sekiyama, K. (1997). Cultural and linguistic factors in audiovisual speech processing: the McGurk effect in Chinese subjects. Perception & Psychophysics, 59, 73-80. 

  16. Sekiyama, K. & Burnham, D. (2008). Impact of language on development of auditory­visual speech perception. Developmental Science, 11, 306-320. 

  17. Sekiyama, K. & Tohkura, Y. (1991). McGurk effect in non-English listeners: Few visual effects for Japanese subjects hearing Japanese syllables of high auditory intelligibility.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0, 1797-1805. 

  18. Sumby, W. H. & Pollack, I. (1954). Visual contribution to speech intelligibility in noise.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6, 212-2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