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Landsat 7 ETM+ 영상과 ASTER GDEM 자료를 이용한 제주도 지역의 지형보정 효과 분석
Assessment of Topographic Normalization in Jeju Island with Landsat 7 ETM+ and ASTER GDEM Dat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28 no.4, 2012년, pp.393 - 407  

현창욱 (앨버타 대학교 지구 및 대기과학과) ,  박형동 (서울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광학 원격탐사 영상의 획득 시 태양의 고도 및 방위가 대상 지역의 지형기복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영향 및 다수의 시기에 걸쳐 획득한 영상을 비교분석하는 경우 영상 촬영시기의 차이로 인한 태양의 위치변화와 지형기복이 결합하여 나타나는 영향에 대한 보정을 시도하였다. 한라산과 다수의 분석구가 분포하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Landsat 7 ETM+ 영상과 ASTER GDEM 지형자료를 사용하여 국지적조도의 모델링커널의 크기를 $3{\times}3$, $5{\times}5$, $7{\times}7$, $9{\times}9$ 화소로 변화시키며 Lambertian 보정기법인 cosine 보정법과 비 Lambertian 보정기법인 c-보정법을 적용하고 보정기법 및 커널 크기에 대한 지형보정 효과를 분석하였다. 개별 영상의 육상지역에 대하여 보정을 수행한 결과 커널의 크기 $7{\times}7$을 적용한 c-보정법을 사용하였을 때에 보정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대상지역을 ISODATA 무감독분류법을 이용하여 선택된 산림지역에 한정하여 지형보정을 수행한 경우에는 커널의 크기 $9{\times}9$를 적용한 c-보정법을 사용하였을 때에 가장 우수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다양한 지표피복이 혼합된 대상지역 대한 보정보다 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시기 영상의 경우 세 시기에 획득된 영상에 대하여 각각 지형보정을 수행한 후 상대적 방사도 보정을 적용하였을 때 지형보정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적외선 파장영역에서는 보다 균질한 반사도방사보정이 이루어졌으며 가시광 파장영역에서는 원영상의 반사도 패턴이 잘 보존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주변 지형으로부터 반사되는 에너지와 불완전한 대기보정으로 인한 잔류 대기영향을 고려하는 c-보정법을 적용하는 경우 cosine 보정법보다 우수한 지형보정 효과가 나타나며 수치표고모델에 내재된 수평과 수직방향 오차 및 위성영상과의 정합오차의 영향을 감소시기키 위하여 국지적 조도의 모델링 시 커널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경우 지형보정의 효과가 증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the correction of topographic effects caused by a combination of solar elevation and azimuth, and topographic relief in single optical remote sensing imagery, and by a combination of changes in position of the sun and topographic relief in comparative analysis of multi-tempor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형기복의 영향이 포함된 단일 영상 및 다시기 영상에 대해 지형보정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한라산과 다수의 분석구가 분포하는 독특한 화산지형인 제주도를 대상으로 Landsat 7 ETM+(Enhanced Thematic Mapper Plus) 영상과 ASTER GDEM(Advanced Spaceborne Thermal Emission and Reflection Radiometer Global Digital Elevation Model) 자료를 사용하여 국지적 조도의 모델링 시 커널의 크기를 변화시키며 Lambertian 보정기법인 cosine보정법과 비 Lambertian 보정기법인 c-보정법을 적용하고 보전 전후의 영상을 비교하여 보정기법 및 커널 크기별 지형보정 효과의 평가를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다른 피복보다 지형에 의한 영향이 두드러질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선택된 산림 클래스들의 전반적인 분광반사도에는 강도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파장별 패턴이 유사하기 때문에 동일한 종류의 피복으로 가정하였다(Fig.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정기법 및 커널 크기에 대한 지형보정 효과 분석결과는? 한라산과 다수의 분석구가 분포하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Landsat 7 ETM+ 영상과 ASTER GDEM 지형자료를 사용하여 국지적조도의 모델링 시 커널의 크기를 $3{\times}3$, $5{\times}5$, $7{\times}7$, $9{\times}9$ 화소로 변화시키며 Lambertian 보정기법인 cosine 보정법과 비 Lambertian 보정기법인 c-보정법을 적용하고 보정기법 및 커널 크기에 대한 지형보정 효과를 분석하였다. 개별 영상의 육상지역에 대하여 보정을 수행한 결과 커널의 크기 $7{\times}7$을 적용한 c-보정법을 사용하였을 때에 보정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대상지역을 ISODATA 무감독분류법을 이용하여 선택된 산림지역에 한정하여 지형보정을 수행한 경우에는 커널의 크기 $9{\times}9$를 적용한 c-보정법을 사용하였을 때에 가장 우수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다양한 지표피복이 혼합된 대상지역 대한 보정보다 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시기 영상의 경우 세 시기에 획득된 영상에 대하여 각각 지형보정을 수행한 후 상대적 방사도 보정을 적용하였을 때 지형보정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적외선 파장영역에서는 보다 균질한 반사도로 방사보정이 이루어졌으며 가시광 파장영역에서는 원영상의 반사도 패턴이 잘 보존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주변 지형으로부터 반사되는 에너지와 불완전한 대기보정으로 인한 잔류 대기영향을 고려하는 c-보정법을 적용하는 경우 cosine 보정법보다 우수한 지형보정 효과가 나타나며 수치표고모델에 내재된 수평과 수직방향 오차 및 위성영상과의 정합오차의 영향을 감소시기키 위하여 국지적 조도의 모델링 시 커널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경우 지형보정의 효과가 증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표면에서 등방성의 반사특성을 갖는 이상적인 Lambertian 조건을 가정한 방법은? 원격탐사 영상에서 지형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표면에서 등방성의 반사특성을 갖는 이상적인 Lambertian 조건을 가정한 방법인 cosine 보정법(이규성과 윤정숙, 1997; Civco, 1989; Conese et al., 1993; Sandmeier and Itten, 1997) 및 주변 지형으로부터 반사되는 에너지와 불완전한 대기보정으로 인한 잔류 대기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추가적인 변수를 도입한 비 Lambertian 조건의 보정법이 주로 사용되어왔다(Teillet et al.
제주도의 위치는? 한반도 남부의 대한해협 서남측 입구에 위치한 제주도는 장축의 길이가 동북동-서남서 방향으로 약 74 km이고 단축은 북북서-남남동 방향으로 약 32 km인 타원 형태이며, 중심부에 해발고도 약 1950 m의 한라산이 위치하고 있다. 한라산의 북쪽과 남쪽 사면은 경사가 급한 반면, 동쪽과 서쪽 사면은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정상으로부터 북측으로 2개와 남측으로 1개의 방향으로 깊고 긴 협곡들이 발달되어 있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윤선, 현원학, 정차연, 2005. 제주도 한라산의 지질, 지질학회지, 41(4): 481-497. 

  2. 이규성, 윤정숙, 1997. 산림지역에서 SPOT과 Landsat TM 영상을 위한 지형효과 보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3(3): 277-292. 

  3. 한국농촌공사 제주도본부, 2006. 제주도의 지질, 한국농촌공사. 

  4. 환경부, 2002.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지도 구축, 환경부. 

  5. Civco, D.L., 1989. Topographic normalization of Landsat Thematic Mapper digital imager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55(9): 1303-1309. 

  6. Colby, J.D., 1991. Topographic normalization in rugged terrain,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57(5): 531-537. 

  7. Coppin, P.R. and M.E. Bauer, 1994. Processing of multitemporal Landsat TM imagery to optimize extraction of forest cover change feature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2(4): 918-927. 

  8. Conese, C., M.A. Gilabert, F. Maselli, and L. Bottai, 1993. Topographic normalization of TM scenes through the use of an atmospheric correction method and digital terrain model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59(12): 1745-1753. 

  9. Eckhardt, D.W., J.P. Verdin, and G.R. Lyford, 1990. Automated update of an irrigated lands GIS using SPOT HRV imager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56(11): 1515- 1522. 

  10. Fujisada, H., M. Urai, and A. Iwasaki, 2012. Technical methodology for ASTER Global DEM,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in press (DOI: 10.1109/TGRS.2012.2187300). 

  11. Gao, Y. and W. Zhang, 2009. A simple empirical topographic correction method for ETM+ ima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0(9): 2259-2275. 

  12. Hantson, S. and E. Chuvieco, 2011. Evaluation of different topographic correction methods for Landsat ima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13(5): 691-700. 

  13. Meyer, P., K.I. Itten, T. Kellenbenberger, and S. Sandmeier, 1993. Radiometric corrections of topographically induced effects on Landsat TM data in an alpine environment,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48(4): 17-28. 

  14. NASA, 2011. Landsat 7 Science Data Users Handbook, Landsat Project Science Office, NASA's Goddard Space Flight Center, Greenbelt, Maryland, USA (http://landsathandbook.gsfc.nasa.gov). 

  15. Reese, H. and H. Olsson, 2011. C-correction of optical satellite data over alpine vegetation areas: a comparison of sampling strategies for determining the empirical c-parameter,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5(6): 1387-1400. 

  16. Riano, D., E. Chuvieco, J. Salas, and I. Aguado, 2003. Assessment of different topographic corrections in Landsat TM data for mapping vegetation type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1(5): 1056-1061. 

  17. Sandmeier, S.R. and K.I. Itten, 1997. A physicallybased model to correct atmospheric and illumination effects in optical satellite data of rugged terrain,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5(3): 708-717. 

  18. Smith, J.A., T.L. Lin, and K.J. Ranson, 1980. The Lambertian assumption and Landsat data,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46(9): 1183-1189. 

  19. Tachikawa, T., M. Kaku, A. Iwasaki, D. Gesch, M. Oimoen, Z. Zhang, J. Danielson, T. Krieger, B. Curtis, J. Haase, M. Abrams, R. Crippen, and C. Carabajal, 2011. ASTER Global Digital Elevation Model Version 2 - Summary of Validation Results, ASTER GDEM Validation Team (http://www.jspacesystems.or.jp/ersdac/GDEM/ver2Validation/Summary_GDEM2_validation_report_final.pdf) 

  20. Teillet, P.M., B. Guindon, and D.G. Goodenough, 1982. On the slope-aspect correction of multispectral scanner data, Canadian Journal of Remote Sensing, 8(2): 84-106. 

  21. Tokola, T., S. Lofman, and A. Erkkila, 1998. Relative calibration of multitemporal Landsat data for forest cover change detec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68(1): 1-11. 

  22. Yuan, D. and C.D. Elvidge, 1996. Comparison of relative radiometric normalization technique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51(3): 117-1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