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지이용 변화지역의 토양재조사 결과 분석
Study on Soil Survey Results of Rapid Change in Landuse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4, 2012년, pp.475 - 483  

현병근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  손연규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  박찬원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  송관철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  전현정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  홍석영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  문용희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  노대철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  정소영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농경지의 급격한 감소와 더불어 도시화, 경지정리, 도로공사 및 혁신도시 건설 등으로 토지이용의 변화가 심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토지이용 변화심화지역인 경기도 고양시, 충청남도 천안시, 강원도 원주시를 대상으로 토지 이용변화실태, 토양특성변화양상, 토양도수정내용 및 기업도시 등으로 편입되는 지역의 토양환경분석을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경지면적 (2011년)은 2009년대비 17.3 ha가 감소되었다. 논의 경우 24.2 ha가 감소되었으나, 밭의 경우에는 7.0 ha가 증가하였다. 2. 논의 면적 감소사유로는 논밭전환 (20.7 ha) > 공공시설 (3.2) ${\geq}$ 건물건축 (3.2) > 유휴지 (1.3) > 기타 (0.9) 순이며, 밭 면적의 증가원인은 논밭전환 (20.7 ha) > 개간 (4.5) > 복구 (0.3) 순이었다. 논밭전환의 이유는 논농사에서 농가소득이 높은 밭작물 내지 시설작물로 전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3. 토지이용변화가 심한 해당시군의 농경지감소 (논, 밭, 과수)는 밭토양조사 (1995~1999) 당시와 비교 (2011년)할 때 고양시는 1,466 ha, 천안시 9,708, 원주시 6,980 ha가 감소되었으며, 1999년 대비 45%~25%의 농경지가 급격히 감소되었다. 4. 환경부 토지이용피복도의 통계자료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농식품부 통계자료와 비교시 지목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추후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5. 원주시의 토양정보 변경내용을 보면 곡간지의 일부 논토양이 밭 또는 과수원으로 토지이용이 변경되었으며, 배수등급의 경우 도로건설 등으로 인해 저습화되는 등 해당 토양의 일부 특성정보가 변경되었다. 특히, 논토양의 경우 시설재배지, 밭, 과수원, 휴경, 성토화 등으로 토지 이용의 변화가 심하였다. 6. 원주시 혁신도시에 편입되는 논토양은 급지가 떨어지는 3~4급지가 대부분으로 3급지 70.8%, 4급지 29.2%이었다. 밭토양 역시 4급지가 88.7%인 토양으로 우량 급지가 혁신도시 건설에 속하지는 않았다. 앞으로 우량농경지 보전을 위해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gricultural lands decrease sharply, which was caused by urbanization, land consolidation, road construction, and innovation city construction, etc. In particular, Goyang, Chenan and Wonju city were had severe land use change. Therefore, we analyzed changes of land use, soil propertie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현재 논, 밭 등의 지목전용, 신도시 및 혁신도시개발, 도로건설 등으로 인하여 기존의 토양정보의 변화가 심화되고 있어 이를 수정·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토지이용의 변화가 심하게 발생한 고양시, 천안시, 원주시 3개 지역을 중심으로 토지이용변화, 토양특성변화, 토양도수정내용 및 기업도시 등의 편입되는 토양환경분석을 통하여 분석된 내용을 보고하고, 새로 조사된 내용을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전기관은 한국광물자원공사 등 12개 기관이 이전하는 계획을 갖고 있다. 따라서, 혁신도시 및 기업도시에 편입되는 토양에 대하여 농경지의 지목별 적성등급을 분석하고자 해당지역의 토양환경을 분석하였다.
  • 토양조사의 목적은 전국 토양의 종류별 특성 및 분포상태를 파악하고 토양도를 작성하여 토양특성에 알맞은 작물의 선택, 시비개선 및 토양개량 등을 위한 기술지침과 국토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런데, 현재 논, 밭 등의 지목전용, 신도시 및 혁신도시개발, 도로건설 등으로 인하여 기존의 토양정보의 변화가 심화되고 있어 이를 수정·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지이용과 농작물 재배전망(2012)을 보면, 2022년의 경지면적은 2012년에 비하여 어떠할 것으로 전망되는가? 7만 ha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도시개발 등에 따른 농지전용 등의 영향으로 경지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2년에는 2012년보다 10.7만 ha 감소한 158.0만 ha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2년 대비 2022년의 작물별 재배면적의 비율을 살펴보면 48.
농경지의 급격한 감소와 더불어 토지이용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최근 농경지의 급격한 감소와 더불어 도시화, 경지정리, 도로공사 및 혁신도시 건설 등으로 토지이용의 변화가 심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토지이용 변화심화지역인 경기도 고양시, 충청남도 천안시, 강원도 원주시를 대상으로 토지 이용변화실태, 토양특성변화양상, 토양도수정내용 및 기업도시 등으로 편입되는 지역의 토양환경분석을 하였다.
2010년 대비 2011년의 전체 농경지 면적의 증감은 어떠한가? 그러나,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경지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Statistics Korea, 2011). 2010년 대비 2011년의 전체 농경지 면적은 17.3 ha가 줄었다. 논 면적은 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SI. 1973. Soil Survey Manual(I). RDA. Suwon. Korea. 

  2. Eom. K.C., S.H. Yun, S.W. Hwang, S.K. Yun, and D.S. Kim. 1993. Public benefit from paddy soil. Korean J. Soil Sci. Fert. 26(4):314-333. 

  3. Hyun. B.K., M.S. Kim, K.C. Eom, K.K. Kang, H.B. Yun, and M.C. Seo. 2003a. Evaluation of function of upland farming for preventing flood and fostering water resources. Korean J. Soil Sci. Fert. 36(3):163-179. 

  4. Hyun. B.K., M.S. Kim, K.C. Eom, K.K. Kang, H.B. Yun, and M.C. Seo 2003b. Estimation of economic value of cooling by upland farming during hot summer. Korean J. Soil Sci. Fert. 36(6):423-428. 

  5. Hyun. B.K., M.S. Kim, K.C. Eom, K.K. King, H.B. Yun, M.C. Seo, and K.S. Seong. 2002. Evaluation on national environmental fuctionality of farming on soil loss using the USLE and replacement cost method. Korean J. Soil Sci. Fert. 35(6): 361-371. 

  6. ICOMANTH. 2004. Circular letter. No 5. 

  7. Jung. S.J., Y.K. Sonn, B.K. Hyun, D.W. Shin, and K.C. Song. 2004. Super detailed soil survey of intensive developed areas. Annual Research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p.197-208. RDA. Suwon. Korea. 

  8. Jung. Y.T. 1995. Soil classification system of FAO/UNESCO. Korean J. Soil Sci. Fert. 28(4):363-368. 

  9. Jung. Y.T., E.S. Yun, and K.Y. Jung. 1996. The properties and classification of anthrosols. Annual Research Report of Yeou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p.692-696. 

  10. Jung. Y.T., E.S. Yun, and U.G. Kang. 1998. Classification of anthrosols in Korea and anthrosols classification systems of other countries. RDA. J. Agro-Envion. Sci. 40(1):1-6. 

  11. Kim. B.Y., S.H. Han, T. W. Kim, and H. S. Yang. 2012. Agricultural review of 2012(I). Chapter 1. Review of Agriculture, Rural, and Agricultural Food and Industry. p.31-32.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12.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epublic of Korea(MiFAFF). 2011.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MiFAFF. Kwacheon. Korea. 

  13. NAAS. 2011. Soil Classification and Interpreter of Korea soil. p.206-201. RDA. Suwon. Korea. 

  14. Song. K.C., B.K. Hyun, Y.K. Sonn, and S.J. Jung. 2006. Classification of anthrosols in Korea. Annual Research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p.149-166. RDA. Suwon. Korea. 

  15. Statistics Korea. 2011. Statistics of agricultural area. Statistics Korea. Daejeon. Korea. 

  16. USDA. 1993. Soil survey manual. Soil Conservation Service. USDA of agriculture handbook 18. USDA.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