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토양을 개량하기 위한 목적으로 패화석을 시용하여 보리의 생육, 수량과 품질 및 토양 미생물상을 조사하였다. 패화석 처리로 석회고토나 무처리에 비해 $m^2$당 수수와 천립 중이 높아져 보리의 수량은 석회소요량 처리구인 패화석 $3.09Mg\;ha^{-1}$ 시용에서 $5.53Mg\;ha^{-1}$로 가장 많았으며 석회고토 동량의 패화석 처리구도 $5.23Mg\;ha^{-1}$로 석회고토 $5.20Mg\;ha^{-1}$ 보다 증대되었다. 패화석 처리구는 석회고토 처리구 보다 보리 단백질 함량은 0.5~0.7% 낮아져 농산물의 품질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석회고토보다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 pH는 패화석과 석회고토 시용으로 무처리 보다 0.5~0.6 정도 상승되었고 치환성 Ca 함량은 패화석 $3.09Mg\;ha^{-1}$ 처리구에서 $7.5cmol_c\;kg^{-1}$으로 가장 높았으며 석회고토 처리구는 치환성 Mg 함량이 $2.5cmol_c\;kg^{-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패화석 $3.09Mg\;ha^{-1}$ 및 $2.38Mg\;ha^{-1}$ 처리구는 석회고토 $2.38Mg\;ha^{-1}$ 처리구에 비해 토양의 세균 밀도는 각각 60.9 및 $69.7{\times}10^6CFU\;g^{-1}$로서 높은 반면 방선균 밀도는 각각 32.4, $45.4{\times}10^5CFU\;g^{-1}$로서 낮았다.
산성토양을 개량하기 위한 목적으로 패화석을 시용하여 보리의 생육, 수량과 품질 및 토양 미생물상을 조사하였다. 패화석 처리로 석회고토나 무처리에 비해 $m^2$당 수수와 천립 중이 높아져 보리의 수량은 석회소요량 처리구인 패화석 $3.09Mg\;ha^{-1}$ 시용에서 $5.53Mg\;ha^{-1}$로 가장 많았으며 석회고토 동량의 패화석 처리구도 $5.23Mg\;ha^{-1}$로 석회고토 $5.20Mg\;ha^{-1}$ 보다 증대되었다. 패화석 처리구는 석회고토 처리구 보다 보리 단백질 함량은 0.5~0.7% 낮아져 농산물의 품질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석회고토보다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 pH는 패화석과 석회고토 시용으로 무처리 보다 0.5~0.6 정도 상승되었고 치환성 Ca 함량은 패화석 $3.09Mg\;ha^{-1}$ 처리구에서 $7.5cmol_c\;kg^{-1}$으로 가장 높았으며 석회고토 처리구는 치환성 Mg 함량이 $2.5cmol_c\;kg^{-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패화석 $3.09Mg\;ha^{-1}$ 및 $2.38Mg\;ha^{-1}$ 처리구는 석회고토 $2.38Mg\;ha^{-1}$ 처리구에 비해 토양의 세균 밀도는 각각 60.9 및 $69.7{\times}10^6CFU\;g^{-1}$로서 높은 반면 방선균 밀도는 각각 32.4, $45.4{\times}10^5CFU\;g^{-1}$로서 낮았다.
Oyster shell has a high content of $CaCO_3$ to be used as a acidic soil amendment. To enhance productivity of barley and soil microbe in an upland soil, oyster shell and calcium-magnesium carbonate were selected as a soil amendments in this study. A field experiment was treated no treatme...
Oyster shell has a high content of $CaCO_3$ to be used as a acidic soil amendment. To enhance productivity of barley and soil microbe in an upland soil, oyster shell and calcium-magnesium carbonate were selected as a soil amendments in this study. A field experiment was treated no treatment (hereafter, control), oyster shell lime $3.09Mg\;ha^{-1}$ and $2.38Mg\;ha^{-1}$, and calcium-magnesium carbonate $2.38Mg\;ha^{-1}$ as amount of lime requirement in silt loam soil. The yield of barley from the oyster shell lime treatment was the highest. The protein content of barley was the highest of 11.1% in the calcium-magnesium carbonate, followed by 10.7% for the control, 10.6% for the oyster shell lime $3.09Mg\;ha^{-1}$, and 10.4% for the oyster shell lime $2.38Mg\;ha^{-1}$. Soil pH value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in harvesting stage. In addition, the population of soil bacteria was highest in oyster shell lime $2.38Mg\;ha^{-1}$, actinomycetes was highest in calcium-magnesium $2.38Mg\;ha^{-1}$. We concluded that the oyster shell lime can be effective to restore soil nutrient and microbe balance in an upland soil.
Oyster shell has a high content of $CaCO_3$ to be used as a acidic soil amendment. To enhance productivity of barley and soil microbe in an upland soil, oyster shell and calcium-magnesium carbonate were selected as a soil amendments in this study. A field experiment was treated no treatment (hereafter, control), oyster shell lime $3.09Mg\;ha^{-1}$ and $2.38Mg\;ha^{-1}$, and calcium-magnesium carbonate $2.38Mg\;ha^{-1}$ as amount of lime requirement in silt loam soil. The yield of barley from the oyster shell lime treatment was the highest. The protein content of barley was the highest of 11.1% in the calcium-magnesium carbonate, followed by 10.7% for the control, 10.6% for the oyster shell lime $3.09Mg\;ha^{-1}$, and 10.4% for the oyster shell lime $2.38Mg\;ha^{-1}$. Soil pH value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in harvesting stage. In addition, the population of soil bacteria was highest in oyster shell lime $2.38Mg\;ha^{-1}$, actinomycetes was highest in calcium-magnesium $2.38Mg\;ha^{-1}$. We concluded that the oyster shell lime can be effective to restore soil nutrient and microbe balance in an upland soil.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밭토양에서 패화석 비료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보리의 생육 및 수량과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제안 방법
상록보리는 내한성과 도복에 강하며 호위축병과 흰가루병에 저항성이 강하고 백도가 높은 양질의 겉보리이다 (NICS, 2000). 처리내용은 무처리, 석회고토 (석회소요량), 패화석 (석회소요량) 및 석회고토 동량의 패화석 등 4수준으로 처리하여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석회소요량은 ORD 분석을 통하여 석회고토는 2.
처리내용은 무처리, 석회고토 (석회소요량), 패화석 (석회소요량) 및 석회고토 동량의 패화석 등 4수준으로 처리하여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석회소요량은 ORD 분석을 통하여 석회고토는 2.38 Mg ha-1, 패화석은 3.09 Mg ha-1, 석회고토 동량의 패화석 처리구는 2.38 Mg ha-1로 처리하였다. 토양 양분관리는 N-P2O5-K2O=91-74-39 kg ha-1로 시비하였다.
K2O, CaO 및 MgO 함량 등은 원자흡광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토양미생물상은 희석평판법으로 호기성 세균과 방선균의 경우 egg-albumin agar 배지를, 사상균은 rose-bengal agar 배지를 사용하여 개체수를 측정하였다. 처리간의 유의성 검정 등 통계적 처리방법은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시험에 사용한 품종은 겉보리인 상록보리이며 이현미사질양토 (Ihyeon series, Coarse silty, mixed, mesic family of Dystric Fluventic Eutrochrepts)에서 패화석 시용효과를 검토하였다. 상록보리는 내한성과 도복에 강하며 호위축병과 흰가루병에 저항성이 강하고 백도가 높은 양질의 겉보리이다 (NICS, 2000).
38 Mg ha-1로 처리하였다. 토양 양분관리는 N-P2O5-K2O=91-74-39 kg ha-1로 시비하였다. 시험전 토양화학성은 Table 1과 같이 pH가 낮고 Ca 함량이 낮은 밭 토양의 특징을 나타냈다.
보리의 생육 및 수량조사는 농촌진흥청 농사시험 연구조사기준 (1995)에 준하였으며 토양과 식물체의 무기성분 및 토양 미생물 분석은 농촌진흥청 토양화학분석법 (2000)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토양 시료는 표토 (0-20 cm) 500 g 정도를 3반복으로 채취하였으며 실험실에서 7일간 풍건하여 2 mm 체를 통과된 것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pH와 EC는 토양과 증류수의 비율을 1:5로 추출하여 초자전극법, 유기물은 Tyurin법,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으로 spectrophotometer (Genesis, Spectronic Ins.
치환성 양이온은 1N-NH4OAc 용액으로 침출한 후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aylst 300, Perkin-Elmer, Norwalk,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암모니아태 및 질산태 질소 함량은 Kjeldahl법으로 분석하였다. 식물체 무기성분분석에 사용된 시료는 채취 후 70℃에서 24시간 건조시키고 Willy mill을 사용하여 270 mesh로 분쇄하여 조제한 후 건물 0.5 g을 습식 분해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전질소는 Kjeldahl 법, P2O5는 Vanadate법으로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380 nm에서 측정하였다.
데이터처리
토양미생물상은 희석평판법으로 호기성 세균과 방선균의 경우 egg-albumin agar 배지를, 사상균은 rose-bengal agar 배지를 사용하여 개체수를 측정하였다. 처리간의 유의성 검정 등 통계적 처리방법은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보리의 생육 및 수량조사는 농촌진흥청 농사시험 연구조사기준 (1995)에 준하였으며 토양과 식물체의 무기성분 및 토양 미생물 분석은 농촌진흥청 토양화학분석법 (2000)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토양 시료는 표토 (0-20 cm) 500 g 정도를 3반복으로 채취하였으며 실험실에서 7일간 풍건하여 2 mm 체를 통과된 것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토양 시료는 표토 (0-20 cm) 500 g 정도를 3반복으로 채취하였으며 실험실에서 7일간 풍건하여 2 mm 체를 통과된 것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pH와 EC는 토양과 증류수의 비율을 1:5로 추출하여 초자전극법, 유기물은 Tyurin법,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으로 spectrophotometer (Genesis, Spectronic Ins., Rochester, USA)를 이용하여 비색 정량하였다. 치환성 양이온은 1N-NH4OAc 용액으로 침출한 후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aylst 300, Perkin-Elmer, Norwalk,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암모니아태 및 질산태 질소 함량은 Kjeldahl법으로 분석하였다.
, Rochester, USA)를 이용하여 비색 정량하였다. 치환성 양이온은 1N-NH4OAc 용액으로 침출한 후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aylst 300, Perkin-Elmer, Norwalk,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암모니아태 및 질산태 질소 함량은 Kjeldahl법으로 분석하였다. 식물체 무기성분분석에 사용된 시료는 채취 후 70℃에서 24시간 건조시키고 Willy mill을 사용하여 270 mesh로 분쇄하여 조제한 후 건물 0.
5 g을 습식 분해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전질소는 Kjeldahl 법, P2O5는 Vanadate법으로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380 nm에서 측정하였다. K2O, CaO 및 MgO 함량 등은 원자흡광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성능/효과
당 수수와 천립중이 높아졌다. 그리고 보리의 수량은 패화석 석회소요량 3.09 Mg ha-1 처리구에서 5.53 Mg ha-1로 가장 많았으며 석회고토 동량의 패화석 처리구도 5.23 Mg ha-1로 석회고토 처리 구인 5.20 Mg ha-1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Lee et al.
보리의 β-글루칸 함량은 패화석 처리구와 석회고토 처리구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6 정도 상승되었다. 특히 치환성 Ca 함량은 패화석 3.09 Mg ha-1 처리구에서 7.5 cmolc kg-1으로 가장 높았으며 석회고토 처리구는 치환성 Mg 함량이 2.5 cmolc kg-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Lee et al.
(2005)의 결과와 비슷하였다. 토양의 미량성분인 Fe 및 Mn 함량도 pH에 따른 유효도에 의하여 무처리 구에서 Fe 함량은 251 mg kg-1, Mn 함량은 56 mg kg-1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보리의 단백질 함량은 패화석 처리구가 10.4%에서 10.6%로 석회고토 처리구의 11.1%보다 0.5∼0.7% 낮아져 농산물의 품질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석회고토보다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의 세균 밀도는 패화석 3.09 Mg ha-1, 2.38 Mg ha-1 처리구에서 각각 60.9 및 69.7×106 CFU g -1로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화석비료란?
, 2010). 패화석비료는 대부분 석회물질로 구성된 굴 껍질을 낮은 온도에서 소성하고 분쇄 하여 제조한 비료로서 산성토양 개량제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대체 자원이라고 했다 (Kim et al., 1995; Lee et al.
석회고토는 어떤 문제를 발생시키는가?
, 2006). 농업용 토양개량제로 이용되고 있는 석회고토는 산성토양을 개량하는 효과가 있으나 장기적으로 산림훼손, 자연생태계 파괴 등의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자원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Heo et al., 2010).
석회고토의 산성토양을 개량하는 효과는 왜 우리나라에서 권장되는가?
우리나라 토양은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에 기인되어 염기가 부족하기 쉬우며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내리는 강우로 인하여 토양의 산성화가 심화되므로 토양개량을 위해 석회시용을 권장하고 있다 (Heo et al., 2010; Jung et al.
참고문헌 (13)
Ha, H.S., U.G. Kang, H. Lee, and Y.B. Lee. 1998a. Effects of fly ash, gypsum, and shell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owth of Chinese cabbage in plastic film housed paddy. Kor. J. Environ. Agric. 17(1):65-69.
Ha, H.S., U.G. Kang, H. Lee, and Y.B. Lee. 1998b. Residual effects of fly ash, gypsum, and shell on growth ahd qualities of Chinese cabbage in acidic soils. Kor. J. Environ. Agric. 17(3):189-94.
Heo, J.Y., S.T. Lee, M.G. Kim, K.P. Hong, W.D. Song, C.W. Rho, J.S. Cho, and Y.H. Lee. 2010.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ce of Bitter pit and the application level of crushed oyster shell in apple orchard. Korean J. Soil Sci. Fert. 43(5):637-643.
Jung, K.H., S.O. Hur, S.G. Ha, C.W. Park, and H.H. Lee. 2007. Runoff pattern in upland soils with various soil texture and slope at torrential rainfall events. Korean J. Soil Sci. Fert. 40:208-213.
Jung, Y.T., E.S. Yun, J.K. Kim, I.S. Son, J.D. So, and Y.K. Jo. 1993. Establishment of soil suit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for sweet persimmon in Yeongnam area. RDA J. Agric Sci. Soil Fert. 35:245-251.
Kim, J.G., H.S. Lee, J.G. Cho, and Y.H. Lee. 1995. Composition of crushed oyster shell and its application effect on vegetables. J. Korean Soc. Soil Sci. Fert. 28(4):350-355.
Lee, H.H., S.K. Ha, S.O. Hur, K.H. Jung, W.T. Kim, and K.H. Kim. 2006. Characteristics of runoff and percolation on sloping land with different soil textures. Korean J. Soil Sci. Fert. 39:268-273.
Lee, J.Y., C.H. Lee, Y.S. Yoon, B.H. Ha, B.C. Jang, K.S. Lee, D.K. Lee, and P.J. Kim. 2005. Effects of oyster-shell meal on improving spring Chinese cabbage productivity and soil properties. J. Korean Soc. Soil Sci. Fert. 38(5):274-280.
Lee, S.T., Y.H. Lee, Y.J. Lee, and C.H. Lee. 2004. Effect of oyster shell powder on soil pH and growth and yield of apple. J. Korean Soc. Soil Sci. Fert. 37(6):383-387.
Lee, Y.H., J.G. Kim, H.S. Lee, J.S. Cho, and H.S. Ha. 1997. Effect of oyster shell, fly ash and gypsum application on rice yield and quality. J. Korean Soc. Soil Sci. Fert. 30(3) :242-247.
NIAST. 2000. Methods of soil and plant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NICS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2000. Report of crop science 1999. NICS, Suwon, Korea. pp. 25-27.
RDA. 1995. Standard of agricultural research. RDA, Suwon, Korea.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