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과 한국 페미니즘 영화에 나타난 파워 수트의 사회문화적 의미 비교
Comparison of Socio-cultural Meaning on the Power Suit Expressed in American and Korean Feminism Film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6 no.9, 2012년, pp.916 - 927  

윤진영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의상학과) ,  임은혁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21^{st}$ century, woman leaders are able to influence society through improved social status and economic power. From 1980-1990 there was a rapid global social development of feminism and improved media perceptions. The progression of this process is reflected by female character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80년대 미국 페미니즘은 주로 어떤 페미니즘으로 발전하였는가? 더욱이 1980년대 미국 페미니즘은 가족 및 노동에서의 가부장적인 사회구조를 변화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즉 주로 남성 영역이 었던 경제 활동과 공적 영역에 여성 진출이 증가하고 여성만의 특성에 맞는 활동으로 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사회문화적 페미니즘이 발전했다. 자유주의적 성향의 사회문화적 페미니즘은 남성과 여성 간, 페미니스트와 비 페미니스트 간의 대립과 저항이 아닌 여성들 간의 협력과 동조를 기반으로 한 자매애와 여성 본연의 매력을 활용하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갔다고 할 수 있다.
사회문화적 페미니즘은 무엇인가? 즉 주로 남성 영역이 었던 경제 활동과 공적 영역에 여성 진출이 증가하고 여성만의 특성에 맞는 활동으로 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사회문화적 페미니즘이 발전했다. 자유주의적 성향의 사회문화적 페미니즘은 남성과 여성 간, 페미니스트와 비 페미니스트 간의 대립과 저항이 아닌 여성들 간의 협력과 동조를 기반으로 한 자매애와 여성 본연의 매력을 활용하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갔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대부분 단순 노동직의 여성 노동 구조에서 전체 여성 취업자 중 전문 관리직 종사자 비율이 1982년 5.
미국과 한국의 페미니즘 방향과 성격은 어떤 영화로 연결될 수 있는가? 이러한 양국의 페미니즘 방향과 성격은 Rich(as cited in Nichols, 1985)에 따르면 전통적 영화를 여성 중심의 구조로 수정하여 능동적인 여성이 영화를 진행시키고 여성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와 이야기를 설정하는 교정적 사실주의(corrective realism)형 페미니즘 영화로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여성 주인공 및 여성이 관련된 사건으로 영화 환경이 제시되는 교정적 사실주의형 페미니즘 영화는 이 시기 양국에서 여성의 일과 성공이 공통으로 전개되며 영화 속 여성들이 입고 등장하는 복식 코드의 중심에는 파워 수트(power suit)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rnard, M. (2002). Fashion as communication. New York: Routledge. 

  2. Barry, K. L. (2002). The prostitution of sexuality (K. N. Jung & E. J. Kim, Trans.). Seoul: Sam in.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3. Bernstein, C. (2007). A woman in charge: The life of Hillary Rodham Clinton (I. J. Jo, Trans.). Seoul: Hyunmun media. (Original work published 2003) 

  4. Buxbaum, G. (2009). Icons of fashion: The 20th century (K. S. Kum, H. N. Nam, H. S. Park, & J. S. Huh, Trans.). Seoul: Seoul Culture.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5. Choi, H. J.,& Ha, J. S. (2005), Women power dressing expressed in recent fashion- with reference to the female yuppie style of the 8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5(2), 129-142. 

  6. Conboy, K., Medina, N., & Stanbury, S. (2001). Writing on the body: Female embodiment and feminist theory (K. H. Ko, K. S. Kim, D. W. Kim, Y. H. Kim, H. S. Kim, C. G. Park, Y. H. Son, Y. H. Eom, H. N. Yoon, S. J. Lee, N. Y. Jung, A. R. Jo, & A. K. Han, Trans.). Seoul: Hanul. (Original work published 1997) 

  7. Dosse, F. (2003). Historie du structuralism II (W. K. Kim, Trans.). Seoul: Dongmunsun.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8. Entwistle, J. (2007). Power dressing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areer woman: Social class. In M. Barnard (Ed.), Fashion theory: A reader (pp. 209-219). New York: Routledge. 

  9. Farell-Beck, J., & Parsons, J. (2007). Twentieth century dress in the United States.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 

  10. Global Pro woman. (1996, December 7). Maeil Kyungjae. Retrieved April 15, 2011, from http://www.mk.co.kr. 

  11. Hill, D. D. (2004). As seen in vogue: A cemtury of American fashion in advertising. Texas: Lubbock. 

  12. Holland, S. (2004). Alternative femininities: Body, age and identity (Dress, body, culture). New York: BERG. 

  13. Iim, I. S., Yoon, J. W., Chung, H. B., Huh, R. K., Lee, M. H., Tae, H. S., Choi, M. K., Kim, M. Y., Ko, M. S., Shim, Y. S., Kim, H. Y., Lee. H. K., & Lee, S. W. (2007). The social change and challenge of woman: Criticism about the socio-cultural conditions that cause gender inequality. Seoul: Good information. 

  14. Jacob, J., & Cerny, C. (2005). Radical drag appearances and identity: The embodiment of male feminity and social critiqu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2(3), 122- 134. 

  15. Jeon, K. O. (2006).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woman 3.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ress. 

  16. Kang, J. M., & Jeon, S. M. (2007). Advertising: Alchemy of desire. Seoul: Person & Ideology. 

  17. Kauffman, S. (2011, December 2). Kramer vs Kramer in 1979. TNR Film classic. Retrieved July 15, from http://www.tnr.com/search/apacheslor-search 

  18. Kim, J. H. (2009). Aesthetics of appearance adornment and feminism. Seoul: Bookworld. 

  19. Ko, M. R. (1996). Bisexuality and femininity. Seoul: Korean Institute for Woman. 

  20. Kum, K. S., Kim, M. J., Kim, Y. I., Kim, Y. H., Park, M. H., Park, M. Y., Bae, C. B., Shin, H. S., Yoo, H. Y., & Choi, H. S. (2002). Contemporary fashion 1900-2000. Seoul: Kyomunsa. 

  21. Lipovetsky, G. (2007). La troisieme femme (J. A. Yoo, Trans.). Seoul: Agora. (Original work published 2006) 

  22. MacElroy, W. (2006). Liberty for women: Freedom and feminism in the twenty-first century (E. K. Seo, Trans.). Seoul: Nanam. (Original work published 2002) 

  23. Mansfield, H. C. (2010). Manliness (K. J. Lee, Trans.). Seoul: Ihoo.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24. Mendes, V. (2004). 20th-century fashion (J. E. Kim, Trans.). Seoul: Sigongart.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25. Mister Mama. (2004). Cine21. Retrieved July 15, 2011, from http://www.cine21.com/search/image 

  26. Nichols, B. (1985). Movies and methods II: An antholog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Palmer, W. J. (1995). The films of the eighties: A social history. New York: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8. Phoca, S., & Wright, R. (2001). Introducing postfeminism (G. S. Yoon, Trans.). Seoul: Kimyoung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29. Prize-winning film of Academy awards: Working girl. (1990, May 12). Donga Ilbo. Retrieved July 18, 2012, from http://www.donga.com. 

  30. Roach-Higgins, E. M. (1995). Dress and identity. New York: Fairchild. 

  31. Roos, P. A. (1981). Marital differences in occupational distribution and attainment. Washington D.C.: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32. Sim, J. S. (1999). Women culture and theory. Seoul: Dong-In. 

  33. Sim, Y. H. (1992). Women's social participation and sexual violence. Seoul: Nanam. 

  34. Simonton, D. (2011). Women in European culture and society: Gender, skill and identity from 1700. London: Routledge. 

  35. So, D. Y. (1992). Symbolic science-semiology. Seoul: Ingansarang. 

  36. Statistics Korea. (2011, April 15).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tatistics Korea. Retrieved May 1, 2011, from http://www.kostat.go.kr 

  37. The Age of Success. (2004). Cine21. Retrieved July 15, 2011, from http://www.cine21/com/search/image 

  38. The ten culture products of 1994. (1994, December 14). Hangure newspaper. Retrieved July 18, 2012, from http://www.hani.co.kr. 

  39. Walters, S. D. (1999). Material girls: Making sense of feminist cultural theory (J. M. Kim & J. W. Shin, Trans.). Seoul: Another culture. (Original work published 1995) 

  40. Yoon, S. E. (2010). A study on the variations in and factors influencing Korean romantic comedy movies from the 90's onward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