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최근, 지질학분야의 발전과 함께 추가령단층에 대한 새로운 많은 사실들이 드러나고 있다. 이 단보에서는 추가령 용어, 추가령단층에 대한 기존 문헌조사와 지질조사를 통하여 새롭게 규명된 추가령단층의 범위, 운동시기, 운동감각 등을 재조명하였다.
  • 즉, 110 Ma부터 62 Ma 동안 좌수향→우수향→우수향→좌수향 운동 등 최소 4회의 운동을 하였으며, 이후 15-50만년 동안 현무암 분출과 함께 단층운동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추가령이란? 추가령은 원래 대동여지도에서 백빙산의 분수령을 지칭한 것으로 Kofuji(小文次郞, 1903)가 죽가령지구로 처음 명명하였다. 죽가령지구는 동해안 안변에서 추가령에 이르는 협곡을 지나서, 남쪽으로 평강, 철원, 연천 및 삼각산을 잇는 협곡을 지칭한 것 이였다.
죽가령지구의 면적은? 죽가령지구는 동해안 안변에서 추가령에 이르는 협곡을 지나서, 남쪽으로 평강, 철원, 연천 및 삼각산을 잇는 협곡을 지칭한 것 이였다. 이 협곡은 남대천과 평행한 방향으로 약 150 km의 연장과 5-6 km의 폭으로 발달하고 있다.
추가령단층대에는 어떤 단층들이 있나? 추가령단층계와 추가령단층대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추가령단층대는 일련의 단층들 집합체로서 정의되며, 동두천단층(Kim, 1973), 대광리 단층, 동송 단층(Kim et al., 1984), 포천단층, 왕숙천단층 등을 포함한다(Fig.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wae, U., Choi, S.-J., Park, K.W. and Kim, G.B. (1996) Geological report of the Cheolwon sheet scale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KIGAM), 83p. 

  2. Chwae, U., Choi, S.-J., Cho, D.R., Lee Y.J., Ryu, C.R., Ko, I.S., Shin, H.M. and Song, M.J. (2000) Neotectonics.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KIGAM), 429p. 

  3. Cluzel, D.J., Lee, B.-J. and Cade, J.-P. (1991) Indonesian dextral ductile fault system and synkinematic plutonism in the southwest of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Tectonophysics, v.194, p.131-151 

  4. Kee, W.S., Cho, D.R., Kim, B.C. and Jin, K.M. (2005) Geological report of the Pocheon sheet scale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66p. 

  5. Kee, W.S., Lim, S.B., Kim, H., Kim, B.C., Hwang, S.K., Song, K.Y. and Kim, Y.H. (2008) Geological report of the Yeoncheon sheet scale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83p. 

  6. Kim, O.J. (1973) The stratigraphy and Geologic Structure of the Metamorphic Complex in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yonggi Massif.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6, p.201-215. 

  7. Kim, H.K., Kim, O.J., Min, K.D. and Lee, Y.S. (1984) Structural, Plaeomagnetic and Petrological Studies of the Chugaryeong Rift Valley.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17, p.215-230. 

  8. Kinosaki, Y. (木野崎 吉郞) (1937) On Quaternary Volcanics of Chosun. Jour. Chosun Museum, v.22. 

  9. Kofuji, M. (小藤文次郞) (1903) An Orographic Sketch of Korea. Jour. Coll. Sci. Imp. Univ. Tokyo, v.19, Art 1. 

  10. Koh, H.J. and Song, K-Y. (2005) Geological report of the Uijeongbu sheet scale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37p. 

  11. Lee, D.S., Ryu, K.j. and Kim, G.H. (1983) Geotectonic Interpretation of Choogaryong Rift Valley, Korea. Jour. Geol. Soc. Korea, v.19, p.19-38. 

  12. Lee, H.-K. (2011) Chapter 3. Age dating in Active fault map and Seismic Harzard map. NHMRG, NEMA-자연-2009-24, p.318-362 

  13. Lee, K. and Lee, J. (1991) Segmentation of the Chugaryeong Fault Set: Geophysical Studies on Major Faults in the Kyeonggi Massif. Jour. Geol. Sco. v.31, p.116-124. 

  14. Lee, M.-B., Lee, G.-R., Yoon, S.-O. and Han, J.-Y. (2001a) Geomorphic Evidences of Tectonic Activity of Daegwangri Fault Zone in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Jour. Geol. Soc. Korea, v.37, p.258-168. 

  15. Lee, Y.S., Min, K.D. and Hwang, J.H. (2001b) The Geodynamic Evolution of the Chugaryeong Fault Vaeely in a View Point of Paleomagntism. Econ. Environ. Geo., v.34, p.555-571 

  16. Ryu, S., Oka, M., Yagi, K. and Sakuyama, T. (2011) K-Ar ages of the Quaternary basalts in the Jeongok area, the central part of Korea Peninsula. Geosciences Jour, v.15, p.1-8. 

  17. Song, Y., Choi, S.-J., Kang, I.-M., Jung, D. and Park, C.-Y. (2012) Timing of fault events in the Yeoncheon fault zone, based on the illite age analysis of fault rocks. 2012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 & Technology of Korea,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the Korean Society of Petroleum Geology, p.233. 

  18. Tateiwa, I. (立岩巖) (1976) Report on the Tectonics of Chosun-Japan Island. Tokyo University Publish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