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4 no.5, 2012년, pp.605 - 612
최경철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태규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남정수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박병근 (삼성물산(주) 건설부문) , 김규용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콘크리트의 폭렬 발생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수증기압력에 의한 파괴, 내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표면 압축력에 의한 파괴, 앞선 두 가지 요인의 복합작용에 의한 파괴가 있다. 이러한 폭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콘크리트 자체의 재료적 특성과 관계된 내부 요인과 환경에 의한 외부 요인으로 나눌 수 있으며 폭렬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요인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외부 환경의 요소로써 가열 속도가 다른 경우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응집 및 수증기압력의 거동이 달라질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30, 50, 70, 90, 110 MPa의 다양한 강도 영역의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ISO-834 표준가열곡선과
Spalling of concrete occurs due to vapor pressure ignited explosion, temperature difference across a section, and combination of these factors. Factors affecting spalling can be classifi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material proper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 respectively, have to...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콘크리트의 폭렬 발생 메커니즘은 어떻게 설명되는가? | 이러한 콘크리트의 폭렬 발생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가열 중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수증기화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수증기압력의 인장력에 의한 파괴와 콘크리트의 내·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표면 압축력에 의한 파괴 그리고 앞선 두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2축 응력에 의한 파괴의 세 가지 이론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2-9) | |
수증기압력설에 따르면 언제 폭렬 현상이 발생하는가? | 수증기압력설에 따르면 콘크리트 내부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수분은 외부로부터 고온을 받게 되면 내부의 특정 위치에 응집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수분 수증기응집층에서 수증기압력이 최대가 되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초과하는 경우 폭렬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Fig. 1과 같이 수분응집층의 예상지점에 관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수증기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 |
콘크리트의 표면이 박리비산하는 폭렬 현상이 콘크리트 구조부재에 끼치는 영향은? | 화재 등의 고온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는 상온상태와 비교해 여러가지 취약점을 갖는다. 그 중 콘크리트의 표면이 박리비산하는 폭렬 현상은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단면을 감소시켜 내력저하를 초래하고 이는 구조물 전체에 걸쳐 안정성을 위협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Fu, Y. and Li, L., "Study on Mechanism of Thermal Spalling in Concrete Exposed to Elevated Temperatures," Materials and Structures Original Article, Vol. 44, Issue 1, 2011, pp. 361-376.
Bangi, M. R. and Horiguchi, T., "Pore Pressure Development in Hybrid Fibre-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at Elevated Temperatur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41, Issue 11 2011, pp. 1150-1156.
Mideguia, J. C., Pimienta, P., Noumowe, A., and Kanema, M., "Temperature, Pore Pressure and Mass Variation of Concrete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Experimental and Numerical Discussion on Spalling Risk,"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40, Issue 3, 2010, pp. 477-478.
RILEM TC 129-MHT, "Part 3-Compressive Strength for Service and Accident Conditions," Material and Structures, Vol. 28, 1995, pp. 410-414.
Phan, L. T., "Pore Pressure and Explosive Spalling in Concrete," Materials and Structures Original Article, Vol. 41, Issue 10, 2008, pp. 1623-1632.
Ko, J. W., Noguchi, T., and Ryu, D. W., "The Spalling Mechnism of High-Strength Concrete under Fire,"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Vol. 63, Issue 5, 2011, pp. 357- 370.
Conzolazio, G. R., Mcvay, M. C., and Rish III, J. W.,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Pore Pressures in Saturated Cement Mortar Subjected to Radiant Heating," ACI Materials Journal, Vol. 95, No. 5, 1998, pp. 525-536.
Kalifa, P., Menneteau, F. D., and Quenard, D., "Spalling and Pore Pressure in HPC at High Temperatur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0, Issue 12, 2000, pp. 1915-1927.
Kontani, O. and Shah, S. P., "Pore Pressure in Sealed Concrete at Sustained High Temperature,"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nce on Concrete Under Severe Conditions, CONSEC'95, Sapporo (Japan), Vol. 2, 1995, pp. 1151-1162.
Bangi, M. R. and Horiguchi, T., "Effect of Fibre Type and Geometry on Maximum Pore Pressures in Fibre-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at Elevated Temperatur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42, Issue 2, 2012, pp. 459-466.
Kalifa, P., Chene, G., and Galle, C., "High-Temperature Behaviour of HPC with Polypropylene Fibres from Spalling to Microstructur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1, Issue 10, 2001, pp. 1487-1499.
Ko, J. W., Ryu, D. W., Lee, M. H., and Lee, S. H., "Study on the Behavior of Microstructure and Spalling Mechanism by Heat and Moisture Movement in Concrete under Fire Environment,"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Vol. 23, No. 12, 2007, pp. 107-116.
Hertz, K. D., "Limits of Spalling of Fire-Exposed Concrete," Fire Safety Journal, Vol. 38, No. 2, 2003, pp. 103- 116.
Anderberg, Y., "Fire Safety Design-Spalling Phenomena of HPC and OC," International Workshop on Fire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NIST, Gaithersburg, 1997, pp. 69-73.
Han, M. C., Heo, Y. S., and Han, C. G., "Investigation of Spalling Mechanism in High Strength Concrete,"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9, No. 1, 2007, pp. 94-10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