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실 추출물의 전사인자 SREBP-1 활성에 의한 지질 생성 촉진
Ponciri Fructus Extract Induces Lipogenesis through Transcription Factor SREBP-1 Activation 원문보기

약학회지 = Yakhak hoeji, v.56 no.4, 2012년, pp.268 - 273  

김대성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전병국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문연자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  이강태 (코리아나화장품 기술연구소) ,  이건국 (코리아나화장품 기술연구소) ,  우원홍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ipogenic effect by ethanol extract of ponciri fructus (EPF) and possible molecular mechanisms in sebocyte. When SZ95 sebocyte cell line were treated with the EPF, lipid droplets were accumulated in the majority of cells. EPF increased expression of sterol regulatory 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7,18) 본 연구는 알레르기와 과민반응 억제 효과가 보고된 지실이 피지선에서 지질 합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확인하고 지질 합성을 촉진하는 전사인자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SREBP-1)와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PPARs) 및 fatty acis synthase(FAS)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 20,21) 그러므로 지실 추출물이 SZ95 세포에서 PPAR들의 단백질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지실 추출물을 처리하고 3일간 배양한 후 PPAR-α, -β, -γ 단백질 발현을 조사한 결과 PPAR-β와 -γ의 발현이 확인 되었으며 농도의존적인 단백질 발현 증가를 보여주었다(Fig.
  • 19,20) SREBP-1은 유전자 이식 생쥐의 간에서 squalene synthase의 전사를 증가시키고, squalene synthase mRNA는 SZ95 세포에서 발현되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지실이 SZ95 세포의 SREBP-1과 FAS의 발현에 관여하는지 조사하였다. 지실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3일간 배양한 후 단백질 발현을 조사한 결과 SREBP-1과 FAS 단백질 발현이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linoleic acid 또한 단백질 발현이 증가되었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실은 무엇인가? 지실은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인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의 익지 않은 과실을 말린 것으로 창만, 변비, 알레르기 및 염증 등의 증상을 개선시켜주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1,2) 최근 지실의 생물학적 활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항암, 항혈전,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멜라닌 합성 억제 및 자궁수축 작용과 알레르기와 과민반응 억제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지실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지실은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인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의 익지 않은 과실을 말린 것으로 창만, 변비, 알레르기 및 염증 등의 증상을 개선시켜주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1,2) 최근 지실의 생물학적 활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항암, 항혈전,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멜라닌 합성 억제 및 자궁수축 작용과 알레르기와 과민반응 억제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이 논문에서 지실 추출물이 SZ95 세포에서 PPAR들의 단백질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 이유는 무엇인가? PPARs는 피부의 일반적인 생리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인체 피지선 세포에서 지질생성을 유도하고, PPAR isotypes이 인체 피지선과 SZ95 피지선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21) 그러므로 지실 추출물이 SZ95 세포에서 PPAR들의 단백질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Lee, T. B. : Illustrated flora of Korea 5nd ed., Hyangmoonsa, Seoul, p. 502 (1993). 

  2. KAPE : Handbook of the korea pharmacopoea 9nd ed., Shinilbooks, Seoul, p. 1176 (2008). 

  3. Chung, H. S., Hwang, S. H. and Youn, K. S.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Poncirus trifoliata in relation to drying treatment. Korean J. Food Preserv. 27, 449 (2005). 

  4. Wong, A. L. and Chan, T. Y. : Interaction between warfarin and the herbal product quilinggao. Ann. Phaemacother. 37, 836 (2003). 

  5. Ko, J. S., Lee, J. C., Jang, Y. M., Mun, Y. J., Woo, W. H., Lim, K. S. and Lee, Y. C. : Inhibitory effect on melanogenesis of Ponciri fructus ethanol extract.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2, 829 (2008). 

  6. Kim, H. M., Kim, H. J. and Park, S. T. : Inhibition of immunoglobulin E production by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J. Ethnopharmacol. 66, 283 (1999). 

  7. Lee, Y. M., Kim, D. K., Kim, S. H., Shin, T. Y. and Kim, H. M. : Antianaphylactic activity of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J. Ethnopharmacol. 54, 77 (1996). 

  8. Park, M. S. and Chun, S. B. : Studies on the change of chemical composition of Poncirus trifoli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216, 749 (1969). 

  9. Kim, T. J., No, J. Y., Ko, J. S. and Lee, J. S. : The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flavonoid glycosides from Poncirus trifoliata raf. and Citrus aurantium L.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 749 (1989). 

  10. Guiotto, A., Rodighiero, P., Pastorini, G. and Celon, E. : Coumarins from unripe fruits of Poncirus trifoliata. Phytochemistry 16, 1257 (1977). 

  11. Proksch, E., Folster-Holst, R. and Jensen, J. M. : Skin barrier function, epiderma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eczema. J. Dermatol. Sci. 43, 159 (2006). 

  12. Zouboulis, C. C. and Boschnakow, A. : Chronological ageing and photoageing of the human sebaceous gland. Clin. Exp. Dermatol. 26, 600 (2001). 

  13. Eisinger, M., Li, W. H., Anthonavage, M., Pappas, A., Zhang, L., Rossetti, D., Huang, Q. and Seiberg, M. : A melanocortin receptor 1 and 5 antagonist inhibits sebaceous gland differentiation and the production of sebum-specific lipids. J. Dermatol. Sci. 63, 23 (2011). 

  14. Hong, I., Lee, M. H., Na, T. Y., Zouboulis, C. C. and Lee, M. O. : LXR- ${\alpha}$ enhances lipid synthesis in SZ95 sebocytes. J. Invest. Dermatol. 128, 1266 (2008). 

  15. Komine, M. : Analysis of the mechanism for the development of allergic skin inflammation and the application for its treatment: keratinocytes in atopic dermatitis - their pathogenic involvement. J. Pharmacol. Sci. 110, 260 (2009). 

  16. Makrantonaki, E., Ganceviciene, R. and Zouboulis, C. : An update on the role of the sebaceous gland in the pathogenesis of acne. Dermatoendocrinol. 3, 41 (2011). 

  17. Rosen, E. D., Walkey, C. J., Puigserver, P. and Spiegelman, B. M. :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adipogenesis. Genes Dev. 14, 1293 (2000). 

  18. Horton, J. D. :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s: transcriptional activators of lipid synthesis. Biochem. Soc. Trans. 30, 1091 (2002). 

  19. Seo, J. B., Moon, H. M., Kim, W. S., Lee, Y. S., Jeong, H. W., Yoo, E. J., Ham, J., Kang, H., Park, M. G., Steffensen, K. R., Stulnig, T. M., Gustafsson, J. A., Park, S. D. and Kim, J. B. : Activated liver X receptors stimulate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induc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expression. Mol. Cell. Biol. 24, 3430 (2004). 

  20. Chen, W., Yang, C. C., Sheu, H. M., Seltmann, H. and Zouboulis, C. C. :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transcription factors in cultured human sebocytes. J. Invest. Dermatol. 121, 441 (2003). 

  21. Alestas, T., Ganceviciene, R., Fimmel, S., Mller-Decker, K. and Zouboulis, C. C. : Enzymes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leukotriene B4 and prostaglandin E2 are active in sebaceous glands. J. Mol. Med. 84, 75 (2006). 

  22. Zouboulis, C. C., Baron, J. M., Bohm, M., Kippenberger, S., Kurzen, H., Reichrath, J. and Thielitz, A. : Frontiers in sebaceous gland biology and pathology. Exp. Dermatol. 17, 542, (2008). 

  23. Oudshoorn, M. H., Rissmann, R., van der Coelen, D., Hennink, W. E., Ponec, M. and Bouwstra, J. A. : Development of a murine model to evaluate the effect of vernix caseosa on skin barrier recovery. Exp. Dermatol. 18, 178 (2009). 

  24. Nakatsuji, T., Kao, M. C., Zhang, L., Zouboulis, C. C., Gallo, R. L. and Huang, C. M. : Sebum free fatty acids enhance the innate immune defense of human sebocytes by upregulating bdefensin- 2 expression. J. Invest. Dermatol. 130, 985 (2010). 

  25. Zouboulis, C. C. : Acne and sebaceous gland function. Clin. Dermatol. 22, 260 (2004). 

  26. Zouboulis, C. C., Schagen, S. and Alestas, T. : The sebocyte culture - a model to study the pathophysiology of the sebaceous glasd in sebostasis, seborrhoea and acne. Arch. Dematol. Res. 300, 397 (2008). 

  27. Wille, J. J. and Kydonieus A. : Palmitoleic acid isomer (C16: 1delta6) in human skin in sebum is effective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16, 176 (2003). 

  28. Makrantonaki, E. and Zouboulis, C. C. : Testosterone metabolism to 5alpha-dihydrotestosterone and synthesis of sebaceous lipids is regulated by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ligand linoleic acid in human sebocytes. Br. J. Dermatol. 156, 428 (2007). 

  29. Downing, D. T., Stewart M. E., Wertz, P. W., Colton, S. W., Abraham, W. and Strauss, J. S. : Skin lipids: an update. J. Invest. Dermatol. 88, 2s (1987). 

  30. Kim, J. B. and Spiegelman, B. M. : ADD1/SREBP1 promotes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linked to fatty acid metabolism. Genes Dev. 10, 1096 (1996). 

  31. Shimano, H., Horton, J. D., Hammer, R. E., Shimomura, I., Brown, M. S. and Goldstein, J. L. : Overproduction of cholesterol and fatty acids causes massive liver enlargement in transgenic mice expressing truncated SREBP-1a. J. Clin. Invest. 98, 1575 (1996). 

  32. Alestas, T., Ganceviciene, R., Fimmel, S., Muller-Decker, K. and Zouboulis, C. C. : Enzymes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leukotriene $B_{4}$ and prostaglandin E2 are active in sebaceous glands. J. Mol. Med. 84, 75 (2006). 

  33. Di-Poi, N., Michalik, L., Desvergne, B. and Wahli, W. : Function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 in skin homeostasis. Lipids 39, 1093 (2004). 

  34. Trivedi, N., Cong, Z., Nelson, A., Albert, A., Rosamilia, L., Sivarajah, S., Gilliland, K., Liu, W., Mauger, D., Gabbay, R. and Thiboutot, D.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increase human sebum production. J. Invest. Dermatol. 126, 2002 (2006). 

  35. Zhang, Q., Seltmann, H., Zouboulis, C. C. and Konger, R. L. : Involvement of PPARgamma in oxidative stress-mediated prostaglandin E(2) production in SZ95 human sebaceous gland cells. J. Invest. Dermatol. 126, 42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