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도시규모 기상모델을 이용한 고층건물군이 연안도시기상장에 미치는 영향 수치모델링
Numerical Modeling for the Effect of High-rise Buildings on Meteorological Fields over the Coastal Area Using Urbanized MM5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8 no.5, 2012년, pp.495 - 505  

황미경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오인보 (울산대학교 환경보건센터) ,  김유근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deling the effects of high-rise buildings on thermo-dynamic conditions and meteorological fields over a coastal urban area was conducted using the modified meso-urban meteorological model (Urbanized MM5; uMM5) with the urban canopy parameterization (UCP) and the high-resolution inputs (urban mor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uMM5를 이용하여 상세 건물군이 모두 고려된 수치실험과 고층건물군을 일반저층주거군으로 변조한 수치실험을 수행하여 고층건물군의 기상학적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는 도시화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로서 도시개발 및 환경관리 정책 결정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 고층건물군이 연안도시 기상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형 중규모모델(uMM5, urbanized MM5)의 적용과 함께 모델 입력자료로 요구되는 고해상도 지표면 자료(도시구조물, 지형 등)를 생성 및 사용하였다.
  • uMM5에서는 건물군의 특성(높이 및 용도)을 고려한 도시하부카테고리 입력정보를 요한다(표 1).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의 각 지번별 건축물 대장을 바탕으로 부산지역의 3차원 건축물 분포를 재연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도시하부카테고리 중 고층건물군에 속하는 하부카테고리 6과 7을 부산지역의 가장 일반적인 분포인 하부카테고리 2 (5층 이하의 일반저층주거군)로 변조시킴으로써 고층 건물의 효과를 제거하였으며(그림 2), 이후 본문에서 변조지역으로 지칭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산의 20층 이상의 고층건물은 서울에 비해 몇 % 수준인가? 최근 대도시내부에 대단위주거단지 개발을 위한 뉴타운(new town) 조성 사업으로 단기간 내에 도시구조가 바뀌고 있으며, 특히 건물 고층화현상이 뚜렷하다. 통계청자료(KOSIS)에 의하면 부산지역은 20층 이상의 고층건물이 서울지역의 80.3% 수준이며, 연안지역을 중심으로 고층화가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에 따라 부산 연안 뉴타운지역(해운대)의 도시열섬을 비롯한 도시고유의 기상/기후변화가 관측되었다(오인보 등, 2008).
부산 연안 뉴타운지역은 어디인가? 3% 수준이며, 연안지역을 중심으로 고층화가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에 따라 부산 연안 뉴타운지역(해운대)의 도시열섬을 비롯한 도시고유의 기상/기후변화가 관측되었다(오인보 등, 2008). 하지만 고층건물군이 도시 순환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서는 도시건물효과를 정확히 고려할 수 있는 기상수치 모델링의 적용이 요구된다.
연안 건물군이 해풍순환계 모사에 있어 정확히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내용은?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고층건물군을 저층일반주거군으로 변조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주간의 기온 상승과 야간 기온 하강이 나타났으며, 풍속은 온도경도 증가에 따라 주간을 중심으로 강화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지점별로 살펴보면, 해운대의 경우 연안에 위치하여 건물군변조가 기온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은 반면, 항력 감소 및 온도경도 증가로 해풍의 풍속 증가가 뚜렷이 나타났다. 이는 연안 건물군이 해풍순환계 모사에 있어 정확히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오인보, 김유근, 강윤희, 조영순(2008) 부산지역 최근 10년간 (1998-2007년)의 기온 및 풍속의 변화, 환경과학회 가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37-38. 

  2. Byon, J.-Y., Y.-J. Choi, and B.-G. Seo (2010) Evaluation of urban weather forecast using WRF-UCM (Urban Canopy Model) over Seoul, Atmosphere, 20, 13-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Dupont, S., T.L. Otte, and J.K.S. Ching (2004) Simulation of meteorological fields within and above urban and rural canopies with a mesoscale model (MM5), Boundary- Layer Meteorology, 113, 111-158. 

  4. Fisher, B., S. Joffre, J. Kukkonen, M. Piringer, M. Rotach, and M. Schatzmann (2005) COST-715 "Meteorology applied to urban air pollution problems", Final Report, CEC Publication EUR, Luxembourg. 

  5. Holt, T. and J. Pullen (2007) Urban canopy modeling of the New York City Metropolitan Area: A comparison and validation of single- and multilayer parameterization, Monthly Weather Review, 135, 1906-1930. 

  6. Hwang, M.-K., Y.-K. Kim. O.-B. Oh, and Y.-H. Kang (2010) High-resolution simulation of meteorological fields over the coastal area with urban build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6, 137-1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monsu, A. and V. Masson (2002) Simulation of a summer urban breeze over Paris, Boundary-Layer Meteorology, 104, 463-490. 

  8. Miao, S., F. Chen, A.L. Margaret, M. Tewari, Q. Li, and Y. Wang (2009) An observational and modeling study of characteristics of urban heat island and boundary layer structures in Beijing,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48, 484-501. 

  9. Otte, T.L., A. Lacser, S. Dupont, and J.K.S. Ching (2004) Implementation of urban canopy parameterization in a Mesoscale Meteorological Model,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43, 1648-1665. 

  10. Salamanca, F., A. Martilli, M. Tewari, and F. Chen (2011) A study of the urban boundary layer using different urban parameterization and high-resolution urban canopy parameters with WRF,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50, 1107-1128. 

  11. Taha, H. (2008) Episodic performance and sensitivity of the urbanized MM5 (uMM5) to perturbations in surface properties in Houston Texas, Boundary-Layer Meteorology, 127, 193-218. 

  12. Yeo, I.-A., J.-J. Yee, and S.-H. Yoon (2009) Analysis on the effects of building coverage ratio and floor space index on urban climate,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29, 19-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