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안 미고결 지층의 퇴적이력 및 퇴적환경
Stratigraphic Sequence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Unconsolidated Deposits in the West Seacoast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8 no.10, 2012년, pp.55 - 68  

이영목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최은경 ((주)지아이) ,  김성욱 ((주)지아이) ,  이규환 (건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윤여진 (건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임희대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조간대의 약 83%는 서해안에 분포하고 있으며, 경기도와 인천지역에 약 35.1%가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기만 일원에 분포하는 조간대 퇴적층의 형성 환경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광물학적, 지구화학적, 물리적 특성에 대한 관찰과 기술을 통해 각각의 세부적인 퇴적단위를 구분하였다. 우리나라 서해 연안 조간대에서 채취된 퇴적물의 층서적 위치, 퇴적상 및 침식 부정합면을 근거로 조간대는 기반암 상위로부터 Unit 4${\rightarrow}$Unit 3${\rightarrow}$Unit 2${\rightarrow}$Unit 1의 순서로 4개의 퇴적단위로 구분되며, 경기만에서 측정된 퇴적층을 서해안 조간대 퇴적층과 대비하면 북부지역에 해당되는 청라지구에서는 Unit 4, Unit 3, Unit 2, Unit 1의 모든 지층이 나타나며, 영종도지역에서는 Unit 2, Unit 1의 지층이 관찰되며, Unit 4, Unit 3은 결층이다. 경기만의 중부와 남부지역에 해당되는 인천대교와 송도지역은 Unit 4, Unit 3, Unit 1의 지층이 관찰되며, Unit 2는 결층에 해당한다. 가로림만에 해당되는 대산 지역은 Unit 4-Unit 3-Unit 1이 관찰된다. 상부 지층에 해당하는 Unit 1과 Unit 2 지층은 경기만 북부의 청라지구와 영종도 지역에서 넓게 분포하며, 남부 지역은 하부 지층의 Unit 3과 Unit 4 지층이 잘 나타난다. 경기만에서 측정된 평균 점토광물 함량비는 청라지구에서 8.2%, 영종도에서 2.9%, 인천대교에서 18.4%, 송도지역에서 24.6%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est seacoast has approximately 83% of tidal flat in Korea. Gyeonggi-do and Inchon has 35.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properties of tidal deposits that distributed in the Gyeonggi bay. On the basis of observation and description on mineralogical, g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해안 조간대 중 우리나라 조간대의 36%를 점하고 있는 경기만 일원에서 점성토를 포함하는 연약지반의 형성 환경에 따른 퇴적단위를 구분하고, 각 단위 지층의 광물조성과 물리화학적 특성을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서해안 조간대 중 우리나라 조간대의 36%를 점하고 있는 경기만 일원에서 점성토를 포함하는 연약지반의 형성 환경에 따른 퇴적단위를 구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퇴적층 중 어떤 것이 연약지반으로 분류되는가? 최근 몇 년간 항만시설의 개발과 확장이 가속화되고 있어, 해안과 인접한 지역은 홍적세와 충적세 동안 형성된 미고결 퇴적층이 분포하고 있다. 퇴적층 중 세립의 점토 함량이 높은 퇴적층은 연약지반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대체로 미고결 점토, 느슨한 사질토, 유기질토와 같이 연약한 흙으로 구성되며, 평야부의 습지, 호소지역, 해안지역 및 산간의 협곡부에 퇴적한 충적층과 같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지반이 이에 해당하며, 일부 성토 및 매립지역과 같은 인공적인 지반에서도 연약지반이 형성될 수 있다(Ahn, et al., 1994).
연약지반 시공 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는가? 연약지반 시공 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으로는 지반 파괴(구조물 기초지반의 파괴, 성토지반의 활동파괴), 부등침하, 부마찰력, 액상화 현상, 측방유동 등을 들 수 있다. 토질의 특성은 퇴적물을 구성하는 광물, 입도, 공극수 등 여러 요인이 관계되며, 이 중 점토질 퇴적물은 미립의 점토광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점토광물의 조성과 특성은 토질특성을 구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점토광물의 조성과 특성과 같은 심도 있는 이해가 토질 공학적 특성을 근본적으로 이해하는 수단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점토광물은 광물학적 특성이 매우 다양하며, 퇴적환경은 점토광물조성과 함량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점토광물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는 토질 공학적 특성을 근본적으로 이해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im, S. W., Chung, S. G., and Kim, I. S. (2002), "Discussion-The Properties of Pusan Clay : Electrical Resistivity and Magnetic Susceptibility", ISSMGE ATC-7 Symposium, pp.53-58. 

  2. Park, Y. A. and Kong, W. S. (2001), "Environment of the Late Quaternary,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564. 

  3. Lee, J. H., Yi, J. S., Kim, B. S., Lee, C. B., and K, C. H. (1998), "Characteristics of Metal Distribution in the Sediment in Kyeonggi Bay,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ceanography Vol.3, No.3, pp.103-111. 

  4. Lee, C. B., Yoo, H. R., and Park, K. S. (1992),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K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27, No.4, pp.277-289. 

  5. Chang, S. K. and Lee, K. S. (1983), "Recent Benthic Foraminifera and its Implications in the Intertidal Flat of Gyunggi Bay, Korea", Journal of the S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19, No.3, pp.169- 189. 

  6. Choi, J. Y. and Kim, S. Y. (1998), "Distribution of Clay Minerals in the Korean Seas",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19, No.5, pp.524-532. 

  7. Ahn, S. H., Um, Y. S., Lee, Y. S., and Kim, J. R. (1994), "The Evaluation of Engineering Characteristics for Domestic Marine Clay",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94-GE-112-2, pp.149. 

  8. Chung, S. G. (2002), "Engineering geology and index properties of Pusan clay", ISSMGE ATC-7 Symposium, p.5-29. 

  9. Coleman, J. M. and Wright, L. D. (1975), Modern river deltas; variability of processes and sand bodies; in M.L. Broussard, ed., Deltas, models for exploration; Houston Geological Society, p.99- 149. 

  10. Galloway, W. E. (1975), Process framework for describing the morphologic and stratigraphic evolution of deltaic depositional systems; in M.L. Broussard, ed., Deltas, models for exploration; Houston Geological Society, p.87-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