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실을 첨가한 한방스포츠음료가 흰쥐의 혈중지질 및 운동수행력 증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al Sports Drinks Containing Prunus mume Fruit Extract on the Plasma Lipid Profile and Endurance of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0, 2012년, pp.1409 - 1416  

김영제 (경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정운주 (경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기동 (중부대학교 관광보건대학 식품생명과학과) ,  최명숙 (경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방소재인 가시오가피와 맥문동을 단일음료형태 또는 매실을 첨가한 혼합음료 형태로 음용하였을 때 이들 한방스포츠음료가 운동 시의 지구력 및 체지방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조군(C)과 가시오가피(A), 맥문동(L) 추출물 음료 급여군, 매실과 가시오가피 추출물 혼합음료(PA), 매실과 맥문동 추출물 혼합음료(PL) 급여군으로 나누어 6주간 점증부하 운동을 실시한 후, 실험 마지막 날 최대 운동수행시간을 측정하였다. 한방스포츠음료의 음용은 식이효율뿐만 아니라 체중증가량과 신주위 백색지방 무게를 낮추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부고환 지방과 견갑골 백색지방 무게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p<0.05). 특히 매실 혼합추출물인 PA와 PL군의 식이섭취량 및 체중증가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반면 비복근의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한방스포츠음료 음용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중 A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났다(p<0.05). 또한 A의 음용으로 가자미근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유리지방산과 당 농도는 한방스포츠음료 음용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음료군 중 A군이 혈장 유리지방산 농도를 대조군에 비해 증가시킨 반면, 혈장 당 농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혈장 중성지질 농도가 C군에 비해 A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군은 지방을 주에너지원으로 이용하고 탄수화물을 절약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p<0.05). 운동수행시간이 맥문동을 제외한 3종 한방스포츠음료 음용군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가시오가피와 맥문동을 매실과 혼합하여 공급한 혼합음료군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한편, 혈장 피로물질인 암모니아, 젖산, 무기인산 농도와 혈장 근육효소 활성도는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비복근조직의 LDH 효소 활성도는 PA군과 PL군이 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최대 운동수행시간과도 일치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지구력운동과 함께 급여한 4종 한방스포츠음료는 체지방과 체중 감소 및 혈장 중성지질개선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방스포츠음료섭취에 의한 식이효율 감소와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시오가피 추출물은 맥문동 추출물에 비해 근육량, 운동수행시간, 혈장 유리지방산 농도를 증가시키고 혈장 중성지질과 당 농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였으며, 매실 추출물 첨가에 의해 이러한 변화가 증가(운동수행시간)하거나 감소(근육량, 혈장 중성지질, 유리지방산 및 당 농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매실, 가시오가피, 맥문동 혼합음료의 지구력 증강 효능이 피로물질 변화, 체내에너지기질 이용도 증가 및 비복근 LDH 활성도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추후 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our herbal sports drinks containing Prunus mume, Liriope platyphylla, and Acanthopanax senticosus fruit extracts on body fat and endurance of rats trained by a progressive loaded exercise program. Forty male Sprague-Dawley rats (6 weeks old) were divided into f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방소재 추출물을 일부 첨가한 단순 가공음료를 탈피하여 운동선수들의 스테미너 증강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한방스포츠음료를 제안하고 운동수행력 증강 및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방소재인 가시오가피와 맥문동을 단일음료 형태 또는 매실을 첨가한 혼합음료 형태로 음용하였을 때 이들 한방스포츠음료가 운동 시의 지구력 및 체지방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조군(C)과 가시오가피(A), 맥문동(L) 추출물 음료 급여군, 매실과 가시오가피 추출물 혼합음료(PA), 매실과 맥문동 추출물 혼합음료(PL) 급여군으로 나누어 6주간 점증부하 운동을 실시한 후, 실험 마지막 날 최대 운동수행시간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시오가피와 맥문동을 단일음료 형태 또는 매실을 첨가한 혼합음료 형태로 음용하였을 때 이들 한방스포츠음료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대조군(C)과 가시오가피(A), 맥문동(L) 추출물 음료 급여군, 매실과 가시오가피 추출물 혼합음료(PA), 매실과 맥문동 추출물 혼합음료(PL) 급여군에서 비복근의 무게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05). 반면 비복근의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한방스포츠음료 음용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중 A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났다(p<0.05).
맥문동의 분류학적 위치는?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 초본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약용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가늘고 긴 수염뿌리 끝의 짧은 방추형 덩이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맥문동의 괴경에는 steroid계 saponin인 spicatoside A, B, ophiophogonin A, isoflavonoid, β-sitosterol, stigmasterol, steroidal glycosides, oligosaccharides 및 polysaccharides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
한방과 민간에서 덜 익은 매실 열매를 어떤 목적으로 복용하는가? 매실의 효능은 수천 년을 내려오면서 경험적으로 인정되어 한방과 민간에서 덜 익은 열매를 곽란, 각기병, 건위, 살균, 거담, 구역질, 주독, 해열, 진토, 발한, 지이, 피로회복, 살균, 구충 등의 목적으로 복용되어 왔으나 효능은 현대 의학적인 측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매실에 관한 각종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그 성분으로는 줄기에 kaempferid-7-glucocide, naringenin, leucoanthocyanidin, catechin, 꽃에 benzaldehyde, benzoic acid 등 정유, 청매에 호박산, 구연산, 사과산 등 유기산 그리고 종자에 amygudarin 등이 보고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Tomoda M, Kato S. 1996. Water-soluble carbohydrates of Ophiopogonis tuber. I.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monosaccharides and oligosaccharides. Syoyakugaku Zassi 20: 12-14. 

  2. Back NI, Cho SJ, Bang MH, Lee LZ, Park CG, Kim MS, Kim KS, Sung JD. 1998. Cytotoxicity of steroid-saponins from the tuger of Liriope platyhylla W.T. Agric Chem Biotechnol 41: 390-384. 

  3. Rhee IJ. 1997. Effect of Liriopis tuber extract on the decrease of blood glucose. Hoysung Bull Pharm Sci 2: 49-56. 

  4. Tomoda M, Gonda R, Shimizu A, Kanari M. 1990. Areticuloendothelial system activating glycan from the barks of Eucommis ulmosdes. Phytochemistry 29: 3091-3094. 

  5. Shibata M, Noguchi R, Suzuki M, Iwase H, Soeda K, Niwayama K, Kataoka E, Kusuda K, Hamano M. 1971. Parmacological studies on medicinal plant components on the extracts of Ophiopogon and some folk medicines. Proc J oshi Pharm 13: 66-76. 

  6. Brekhman II, Dardymov IV. 1969.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 of glycosides from ginseng and Eleutherococcus. Lloydia 32: 46-51. 

  7. Martinez B, Staba EJ. 1984.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Aralia, Panax and Eleutherococcus on exercised rats. Jpn J Phamacol 35: 79-85. 

  8. Kang HS, Kim YH, Lee CS, Lee JJ, Choi I, Pyun KH. 1996. Suppression of interleukin-1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by acanthoic acid, (-)-pimara-9(11), 15-dien- 19-oic acid and its antifibrotic effects in vivo. Cell Immunol 170: 212-221. 

  9. Jeong HW, Rho YH, Lee GS, Kim GJ, Jeon BG. 2005. Experimental effects of Acanthopanacis Cortex extract on the immunity, anti-cancer and obesity in mice.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9: 389-397. 

  10. Baranov AI. 1982. Medicinal use of ginseng and related plants in the Soviet Union: recent trends in the Soviet literature. J Ethnopharmacol 6: 339-353. 

  11. Nishibe S, Kinoshita H, Takeda H, Okano G. 1990. Phenolic compounds from stem bark of Acanthopanax senticosus and their pharmacological effect in chronic swimming stressed rats. Chem Pharm Bull 38: 1763-1765. 

  12. Park SG. 1990. Effect of maesil extracts on the blood components of women badminton players. J Korean Sports Med 8: 40-43. 

  13. Murray R. 1988. Fluid replacement,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exercise. Athletic Training 23: 215-219. 

  14. Song YJ, Han DS, Oh SW, Paik IY, Park TS. 2002.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taurine and carnitine on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in rats. Korean J Nutr 35: 825-833. 

  15. Pilkis SJ, El-Maghrabi MR, Claus TH. 1988. Hormonal regulation of hepatic gluconeogenesis and glycolysis. Annu Rev Biochem 57: 755-783. 

  16. Astrand PO. 1986. Disposal of lactate during and after strenuous exercise in humans. J Appl Physiol 61: 338-343. 

  17. Paik IY. 2006. Exercise and energy metabolism. Deahan media, Seoul, Korea p 143-162. 

  18. Berning JR. 1996. The role of medium-change triglycerides in exercise. Int J Sports Nutr 6: 121-133. 

  19. Holloszy JO, Kohrt WM. 1996 Regulation of carbohydrate and fat metabolism during and after exercise. Annu Rev Nutr 16: 121-138. 

  20. Sahlin K. 1978. Intracelluar pH and energy metabolism in skeletal muscle of man, with special reference to exercise. Acta Physiol Scnd Suppl 455: 1-56. 

  21. Schwane JA, Johnson CB, Vandenakker RB. 1983. Delayedonset muscular soreness and plasma CPK and LDH activities after downhill running. Med Sci Sports Exer 15: 15-56. 

  22. Barmes RH, Labadan BA, Siyamohlu B, Bradfield RB. 1964. Effects of exercise and administration of aspartic acid on blood ammonia in the rat. Am J Physiol 207: 1242-1246. 

  23. Mutch BJ, Banister EW. 1983. Ammonia metabolism in exercise and fatigue: a review. Med Sci Sports Exerc 15: 41-50. 

  24. Koyuncuoglu H, Keyer M, Simsek S, Sagduyu H. 1978. Ammonia intoxication: change of brain levels of putative neurotransmitter and related compounds and its relevance of gepatic coma, Pharmacol Res Commun 10: 787-807. 

  25. Millar NC, Homsher E. 1990. The effect of phosphate and calcium on force generation in glycerinated rabbit skeletal muscle fibers. A steady-state and transient kinetic study. J Biol Chem 265: 20234-20240. 

  26. Jenkins RR. 1988. Free radical chemistry: relationship to exercise. Sports Med 5: 156-170. 

  27. Karamizrak SO, Ergen E, Tore IR, Akqun N. 1994. Changes in serum creatine kinase, lactate dehydrogenase and aldolase activities following supramaximal exercise in athletes. J Sports Med Phys Fitness 34: 141-146. 

  28. Noakes TD. 1998. Fluid and electrolyte dusturbances in heat illenss. Int J Sports med 19: 146-149. 

  29. Altland PD, Hioghman B. 1961. Effects of exercise on serum enzyme values and tissues of rats. Am J Physiol 201: 393-395. 

  30. Choi DW, Jung SH. 2000. The effect of 12 weeks training method on serum LDH and CPK activity in rats. Korean J Phys 39: 542-555. 

  31. King SW, Statland BE, Savory J. 1976. The effect of a short burst of exercise on activity values of enzymes in sera of healthy young man. Clinical Chim Acta 72: 211-218. 

  32. Sund H. 1968. The pyridine nucloetide coenzymes. In Biological oxidations. Singer TP, ed. Interscience Publication, New York, NY, USA. p 603-632. 

  33. Ohkuwa H, Ohishi N, Yagi K.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 of animal tissue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n Biochem 95: 351-358. 

  34. Roti S, Iori E, Guiducci U, Emanuele R, Robuschi G, Bandini P, Gnudi A, Roti E. 1981. Serum concentrations of myoglobin, creatine phosphokinase and lactic dehydrogenase after exercise in trained and untrained athletics. J Sports Med Phys Fitness 21: 113-1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