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동태평양 한국 KODOS 연구지역 중 KR1 지역 망간단괴의 지역적인 특성 변화
Regional Variability of Manganese Nodule Facies in the KR1 Area in KODOS Area,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5 no.5, 2012년, pp.477 - 486  

이현복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해양시료도서관) ,  김원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자원연구부) ,  고영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자원연구부) ,  김종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자원연구부) ,  지상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자원연구부) ,  박정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종합연구선건조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북동태평양 대한민국 망간단괴 광구중 하나인 KR1 지역에서 망간단괴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밀수심 측량과 망간단괴의 특성(외형, 조직, 크기, 금속함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작고(<2 cm), 매끄럽고(s-형), 불규칙하고(I-형), Fe의 함량이 높은 망간단괴가 KR1의 북동부(KR1-2) 지역에 우세하게 분포하는 것에 비하여, KR1의 남서부(KR1-1)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Mn, Cu, Ni의 함량이 높고, 크고(2~4 cm), 거칠고(t-형, d-형), 원반형(D-형)의 망간단괴가 우세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밀수심 자료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KR1-1 지역은 수심이 깊고(3,838~4,799 m; 평균 4,599 m), KR1-2 지역은 3,940~4,664 m (평균: 4,451 m)의 수심을 보이며 소규모의 해저산이 발달해 있다. KR1 지역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수심과 망간단괴에 포함된 Mn, Cu, Ni의 함량과의 상관성은 태평양 전역에 걸쳐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성과도 일치한다. 또한 망간단괴의 크기와 형태와 관련하여, KR1-2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소규모 해저산에서부터 망간단괴의 핵으로 사용되는 암편의 공급이 원활하기 때문에 작고 매끄럽고 불규칙한 초기 형태의 망간단괴가 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망간단괴의 분포특성에 있어서, 수심과 더불어 해저지형의 특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resolution bathymetr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anganese nodules were explor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gical features and nodule occurrences in the KR1, one of the Korean contract nodule fields located in the NE Pacific. The high-resolution seabed mapping show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망간단괴의 기원과 성장은 주로 저층해류나 표층퇴적물에 포함된 금속성분과 같은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이러한 광역적인 요인 이외에도 해저면의 지형과 기복, 퇴적률, 저층해류의 속도, 단괴 핵의 수와 특성, 단괴의 연령, 심해구릉과 해저산 사면의 사태, 저서생물 활동과 같은 지역적인 변화에 따라서도 달라진다(Skornyakova and Murdmaa, 1992). 이번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광구지역 중의 하나인 KR1 지역에서 정밀수심 측량 지형조사와 망간단괴의 특성을 분석하여 지역적인 환경요인이 망간단괴의 성장과 분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망간단괴은 어디서 산출되는가? 망간단괴는 호수나 해양의 대륙붕, 대륙사면, 해저산맥 등에서도 소량 발견되지만 대부분은 심해분지에서 산출된다. 그 중에서도 태평양의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CCFZ)는 전 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망간단괴 분포지역으로, 1970년대 이후에 미국을 비롯한 여러 선진국들에게 미래 해양자원으로 관심을 받으면서 CCFZ의 해양환경과 망간단괴의 기원, 분포, 부존률, 금속품위, 경제적 중요성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Craig, 1979; Halbach et al.
CCFZ이 미래 해양자원으로 관심 받으면서 어떤 연구가 진행됐나? 망간단괴는 호수나 해양의 대륙붕, 대륙사면, 해저산맥 등에서도 소량 발견되지만 대부분은 심해분지에서 산출된다. 그 중에서도 태평양의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CCFZ)는 전 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망간단괴 분포지역으로, 1970년대 이후에 미국을 비롯한 여러 선진국들에게 미래 해양자원으로 관심을 받으면서 CCFZ의 해양환경과 망간단괴의 기원, 분포, 부존률, 금속품위, 경제적 중요성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Craig, 1979; Halbach et al., 1988).
망간단괴에 대한 우리나라의 관심은 1982년부터 시작하였지만 본격적으로 연구가 시작된 것은? 망간단괴에 대한 우리나라의 관심은 1982년에 외국의 연구동향 분석으로 시작하였으며, 1983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망간단괴 탐사를 수행하였다(MOST, 1982, 1984). 그러나 본격적인 망간단괴 관련 연구활동은 1990년대에 와서 시작하였으며, 그 결과 1994년에 유엔으로부터 한국의 선행투자가 등록과 CCFZ 내에 할당광구 150,000 km2을 승인받았다. 또한, 그 후 8년간의 광구선정 작업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2002년에 75,000 km2의 우리나라 단독개발광구를 확정하였다 (MOMAF,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oudreau, B.P. (1988) Mass-transport constraints on the growth of discoidal ferromanganese nodules. Am. J. Sci., v.288, p.777-797. 

  2. Craig, J.D. (1979) The relationship between bathymetry and ferromanganese deposits in the north equatorial Pacific. Mar. Geol., v.29, p.165-186. 

  3. Chi, S.B., Kim, K.H., Moon, J.W., Lee, K.Y., Son, S.K. and Oh, J.K. (2000) A study on geotechnical properties of deep-sea sediments, NE equatorial Pacific of KODOS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5, p.320-334. 

  4. Chi, S.B., Oh, J.K., Lee, H.B. and Kim, K.H. (2003) A study on geotechnical properties of deep-sea sediments in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of NE Pacific. Ocean and Polar Research, v.25, p.133-145. 

  5. Francheteau, J., Harrison, C.G.A., Sclater, J.G. and Richards, M.L. (1979) Magnetization of Pacific seamounts: A preliminary polar cure for the northeastern Pacific. J. Geophys. Res., v.75, p.2035-2062. 

  6. Halbach, P., Friedrich, G. and von Stackelberg, U. (1988) The manganese nodule belt of the Pacific ocean. Ferdinand Enke Verlag Stuttgart, 254p. 

  7. Heye, D. and Marchig, V. (1977)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rate of manganese nodules from the central Pacific and their chemical constitution. Mar. Geol., v.23, p.M19-M25. 

  8. Horn, D.R., Horn, B.M. and Delach, M.N. (1973) Copper and Nikel content of ocean ferromanganese deposits and their relation to properties of the substrate. In Morgenstein, M. (ed) The origin and distribution of manganese nodules in the Pacific and prospects for exploration. Hawaii Inst, Geophysics, Honolulu, p.77- 83. 

  9. Jung, H.S. (1994) Geochemistry of sediments, pore waters, and manganese nodules in KODOS area, western part of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in the North Pacific. Seoul Nat. Univ. Ph.D. thesis, 282p. 

  10. Jung, M.S., Kim, H.S. and Park, C.K. (2007) Topographic analysis of bathymetry data acquired from the KR1 area of northeastern Pacific: application of waveletbased filter. Ocean and Polar Research, v.29, p.303- 310. 

  11. Kennett, J.P. (1982) Marine geology.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J., 813p. 

  12. Lee, C.H., Lee, S.R., Chang, S.W. (1996) Internal texture, geochemistry and mineralogy of manganese nodules from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s, Pacific. Jour. Geol. Soc. Korea, v.32(3), p.187-198. 

  13. Lee, H.B., Chi, S.B., Hyeong K., Park, C.K., Kim, K.H. and Oh, J.K. (2006) Physical properties of surface sediments from the KR(Korea Reserved) 5 area,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Ocean and Polar Research, v.28, p475-484. 

  14. Lee, H.B., Chi, S.B., Park, C.K., Kim, K.H., Ju, S.J. and Oh, J.K. (2008) Physical properties of surface sediments of the KR(Korea Reserved) 1, 2, and 5 areas,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3, p.168-177. 

  15. Mckelvey, V.E., Wright, N.A., Bowen, R.W. (1983) Analysis of the world distribution of metal-rich subsea manganese nodules. geological survey circular 886. 55p. 

  16. MOMAF (2003) A report on 2002 deep seabed mineral resources exploration. CRPM137-00-1503-5, Seoul, 683p. 

  17. MOMAF (2004) A report on 2003 deep seabed mineral resources exploration. CRPM197-00-1582-5, Seoul, 770p. 

  18. MOMAF (2007) Selection of First-generation mine-site (40,000 $km^{2}$ ). CRPM38200-1838-5, Seoul, 161p. 

  19. MOST (1982) A feasibility study on deep seabed mining appendix. 148p. 

  20. MOST (1984) A study on the seabed mining cruise report. 252p. 

  21. Ruhlemann, C., Barckhausen, U., Ladage, S., Reinhardt, L. and Wiedicke, M. (2009) Exploration for polymetallic nodules in the German license area. Proc. of the eighth ISOPE Ocean Mining Symposium, Chennai, India, p.8-14. 

  22. Sclater, J.G., Anderson, R.N. and Bell, M.L. (1971) Elevation of ridges and evolution of the central Pacific. J. Geophys. Res., v.76, p.7888-7915. 

  23. Skornyakova, N.S. and Murdmaa, I.O. (1992) Local variations in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ferromanganese nodules in the Clarion-Clipperton nodule province. Mar. Geol., v.103, p.381-405. 

  24. Takematsu, N., Sato, Y. and Okabe, S. (1989) Factors controll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arine manganese nodules and crusts: A review and synthesis. Mar. Chem., v.26, p.41-56. 

  25. Theyer, F. (1977) Micropaleontological dating of DOMES project box cores from test areas A and B, tropical Pacific. In Piper, D.Z. (ed) Deep ocean environmental study: Geology and Geochemistry of DOMES site A, B, and C, equatorial Pacific. USGS open-file report 77-778, Menlo Park, 267p. 

  26. van Andel, T.H., Heath, G.R. and Moore, Jr. T.C. (1975) Cenozoic history and paleoceanography of the central equatorial Pacific ocean. Geol. Soc. Am. Mem., v.143, p.1-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