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시 양북면 단층암의 광물 조성과 입도 분포 특징
Mineral Composition and Grain Size Distribution of Fault Rock from Yangbuk-myeon, Gyeongju City,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5 no.5, 2012년, pp.487 - 502  

송수정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추창오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장천중 (한국수력원자력(주) 중앙연구원 부지재해평가팀) ,  장태우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장윤득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에 발달한 단층암을 대상으로 X선 회절 분석(XRD), 광학현미경 분석, 레이저 입도 분석, 프랙탈 차원 분석을 적용하여 단층암의 광물 조성과 미구조, 잔류입자의 분포 특성을 연구하였다. 단층핵은 약 1.5 m 두께로 발달하며 이 중 각력대는 약 1.2m, 단층핵의 가장 중심부인 비지대는 평균 20cm의 얇은 두께로 노출되어 있다. 각력대에서는 석영, 장석류 등의 조암광물이 주 구성 광물로서 산출되고 비지대에서는 녹니석, 일라이트 등의 점토광물이 주 구성 광물로서 산출된다. 단층암에서 빈번하게 산출되는 맥상광물, 황철석, 변질 광물 등은 단층활동과 더불어 열수변질 작용이 수반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현미경에 의한 구획 점셈(box counting), Image J에 의한 영상분석 및 레이저 입도 분석에 기초한 프랙탈 차원값은 단층암의 입자 파쇄 특성을 잘 보여준다. 세 가지 방법으로 구한 프랙탈 차원값(D)은 각력대에서 비지대로 갈수록 그 값이 증가하고 비지대 내에서는 공통적으로 높은 차원값을 갖는다. 비지대 내에서는 D값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일정한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각력대에서는 입자들의 대량파쇄가 우세하게 발생하고, 단층운동이 계속되어 생성된 비지대에서는 입자의 마모가 보다 우세하게 발생하였음을 시사한다. 연구지역 단층암의 광물 조성과 입자 분포 특성은 다중 단층 운동과 열수변질 작용이 본 연구지역 단층대의 진화에 큰 영향을 끼쳤음을 지시한다. 단층암에서의 프랙탈 차원값이 측정 기법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므로 프랙탈 차원값의 상대적인 비교는 보다 신중히 이용되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focused on mineral compositions, microstructures and distributional characters of remained grains in the fault rocks collected from a fault developed in Yongdang-ri, Yangbuk-myeon, Gyeongju City, Korea, using X-ray diffraction (XRD), optical microscope, laser grain size analysis and f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까지 발견된 대부분의 제4기 단층은 어디에 있나? 한반도 남동부에는 한반도에서 발견된 제4기 단층이 집중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층활동은 현재 이 지역의 지괴를 형성시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ng, 2001). 최근까지 발견된 대부분의 제4기 단층은 양산단층대와 울산단층대를 따라 분포하며 일부는 울산단층대 동측의 해안지역에 위치한다(Kee et al., 2007).
본 논문에서 프랙탈 차원값(D값)을 어떤 방법으로 측정했나? 프랙탈 차원값(D값)은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S가 입자크기이고 N(S)가 입자크기별 누적개수일 때 D값은 log S대 log N(S) 그림에서 최적선의 기울기로 결정된다(Chang, 2010). 따라서 입자의 크기를 (1) 입자의 장축을 현미경 하에서 직접 측정하는 방법, (2) 현미경을 통해 촬영한 이미지를 Image J라는 이미지 프로그램으로 입자의 면적과 둘레를 통해 평균입자반지름(equivalent radii)을 계산하는 방법, (3) 레이저로 입자 체적을 통해 각 입도에 따른 입자의 개수를 계산하는 레이저 입도 분석 방법, 세 가지 방안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우선 현미경으로 입자의 크기 측정이 가능한 입도로 구성된 각력대 시료 A100, A30, 비지대 시료인 B5-5에서 입자의 장축을 측정하였다.
불국사 관입암류의 특징은? , 2005b). 불국사 관입암류는 화강암류와 각종 맥암류로 구성되는데 화강암류는 화강섬록암, 흑운모 화강암, 각섬석 화강암, 미문상 화강암 등의 암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양층군과 유천층군을 이 지역의 곳곳에서 관입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상당한 접촉 변성작용을 야기하고 있다(Fig.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illi, A. (2005) Grain size distribution and thickness of breccia and gouge zones from thin(<1m) strike-slip fault cores in limestone. J. Struct. Geol., v.27, p.1823- 1837. 

  2. Blenkinsop, T.G. (1991) Cataclasis and processes of particle size reduction. Pure Appl. Geophys., v.136, p.59-86. 

  3. Chang, T.W. (2001) Quaternary Tectonic Activity at the Eastern Block of the Ulsan Fault. J. Geol. Soc. Korea., v.37, p.431-444. 

  4. Chang, T.W. (2010) Fractals and Fragmentation of Survivor Grains within Gouge Zones along Boundary Faults in the Tertiary Waeup Basin. J. Eng. Geol., v.20, p.183-189. 

  5. Chang, T.W. and Chae, Y.J. (2004) Faulting and Hydrothermal Activity in the Gouge Zones of Quaternary Faults at the Eastern Block of the Ulsan Fault. J. Geol. Soc. Korea., v.40, p.469-479. 

  6. Chang, T.W., Chae, Y.J. and Choo, C.O. (2005a) Formation of Alteration Minerals in Gouges of Quaternary Faults at the Eastern Blocks of the Ulsan Fault, Southeastern Korea. J. Miner. Soc. Korea., v.18, p.205-214. 

  7. Chang, T.W., Chae, Y.J. and Choo, C.O. (2005b) Estimation of Volume Change and Fluid-Rock Ratio of Gouges in Quaternary Faults, the Eastern Blocks of the Ulsan Fault, Korea. J. Eng. Geol., v.15, p.349-363. 

  8. Chang, T.W. and Choo, C.O. (1998) Formation Processes of Fault Gouges and their K-Ar Ages along the Dongnae Fault. J. Eng. Geol., v.8, p.175-188. 

  9. Chang, T.W. and Choo, C.O. (1999) Faulting Process and K-Ar Ages of Fault Gouges in the Yangsan Fault Zone. J. Korean Earth Sci. Soc., v.20, p.25-37. 

  10. Chang, T.W. and Jang, Y.D. (2008) The Widening of Fault Gouge Zone: An Example from Yangbuk-myeon, Gyeongju city, Korea. J. Eng. Geol., v.18, p.135-143. 

  11. Choi, P.Y. (2005) Geometri Analysis of the Quaternary Eupchon Fault: an Interpretation of Trench Sections. J. Geol. Soc. Korea., v.41, p.129-140. 

  12. Goddard, J.V. and Evans, J.P. (1995) Chemical changes and fluid-rock interaction in faults of crystalline thrust sheets, northwestern Wyoming, U.S.A. J. Struct. Geol., v.17, p.533-547. 

  13. Janssen, C., Laube, N., Bau, M. and Gray, D.R. (1998) Fluid regime in faulting deformation of the Waratah Fault Zone, Australia, as inferred from major and minor element analyses and stable isotopic signatures. Tectonophysics., v.294, p.109-130. 

  14. Kee, W.S., Kim, B.C., Hwang, J.H., Song, K.Y. and Kihm, Y.H. (2007)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Quaternary reverse faulting on the Eupcheon Fault, SE Korea. J. Geol. Soc. Korea., v.43, p.311-333 

  15. Keulen, N., Heilbronner, R., Stunitz, H., Boullier, A.-M. and Ito, H. (2007) Grain size distributions of fault rocks: A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ally and naturally deformed granitoids. J. Struct. Geol., v.29, p.1282-1300. 

  16. Kim, G.Y., Koh, Y.K., Choi, B.Y., Shin, S.H. and Kim, D.H. (2008)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ju LILW Repository. Rock and Mineral. J. Korean Radioactive Waste Soc., v.6, p.307-324. 

  17. Kim, H.J. and Chang, T.W. (2009) Fracture Characteristics and Segmentation of Yangsan Fault around Mt. Namsan, Gyeingju City, Korea. J. Eng. Geol., v.19, p.51-61. 

  18. Kim, Y.S. and Jin, K.M. (2006) Estimated earthquake magnitude from the Yugye Fault displacement on a trench section in Pohang, SE Korea. J. Geol. Soc. Korea., v.42, p.79-94. 

  19. Kyung, J.B. (2010) Paleoseismological Study and Evaluation of Maximum Earthquake Magnitude along the Yangsan and Ulsan Fault Zone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Jigu-Mulli-Wa-Mulli-Tamsa., v.13, p.187- 197 

  20. Rawling, G. and Goodwin, L.B. (2003) Cataclasis and particulate flow in faulted, poorly lithified sediments. J. Struct. Geol., v.25, p.317-331. 

  21. Ryoo, C.R. (2009) A report for the Quaternary Gaegok 6 Fault Developed in the Mid-eastern Part of Ulsan Fault Zone, Korea. Econ. Environ. Geol., v.42, p.635- 643. 

  22. Ryoo, C.R., Lee, B.J., Son, M., Lee, Y.H., Choi, S.J. and Chwae, U.C. (2002) Quaternary faults in Gaegok-ri, Oedong-eup, Gyeongju, Korea. J. Geol. Soc. Korea., v.38, p.309-323. 

  23. Shon, S.W., Chang, T.W. and Kim, Y.K. (2002)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Quaternary Fault Gouges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J. Miner. Soc. Korea., v.15, p.85-94. 

  24. Sibson, R.H. (1987) Earthquake rupturing as a mineralizing agent in hydrothermal system. Geology., v.15, p.701-704. 

  25. Sibson, R.H., Moore, J.M. and Rankin, A.H. (1975) Seismic pumping a hydrothermal fluid transport mechanism. J. Geol. Soc. Am., v.131, p.653-659. 

  26. Storti, F., Billi, A. and Salvini, F. (2003) Particle size distributions in natural carbonate fault rocks : insights for non-self-similar cataclasis. Earth Planet. Sci. Lett., v.206, p.173-186. 

  27. Wibberley, C. (1999) Are feldspar-to-mica reactions necessarily reaction-softening processes in fault zones?. J. Struct. Geol., v.21, p.1219-12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