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대 이후 한국 육류 소비량과 소비문화의 변화 - 쇠고기·돼지고기를 중심으로-
Transition of Korean Meat Consumption and Consumption Trends after Modern Times - Focused on Beef and Pork -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7 no.5, 2012년, pp.422 - 433  

이규진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미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Korean meat consumption as well as meat consumption trend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supply of meat was considerably insufficient. However, meat consumption mainly in large cities has gradually increased. Especially, 'Pyeongy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까지 진행된 우리나라의 육류 수급과 소비에 관한 연구의 한계점은? 지금까지 진행된 우리나라의 육류 수급과 소비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1980년대 이후로 한정되어 있다. Lee 등(1999)은 1980~1990년대 우리나라의 육류 소비구조의 특징으로 육류 소비증가추세의 지속과 특히 쇠고기에 대한 선호경향을 지적하였다.
고려 말기 육식이 늘고, 도살 법과 고기 요리법이 발전하게 된 계기는? 그리고 불교가 도입되면서 법흥왕 16년(529년) 살생금지령이 내려졌고 육식은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이 1984b). 그러나 고려 말기 유목계 민족인 몽고지배 하에서 목장 개발로 고려에 소가 많이 증식되었고 더불어 도살법, 고기 요리법이 발전되었다. 소의 도살도 크게 늘어나서 농경에 지장을 주게 되자 공민왕 11년(1362)에는 농우보호를 위해 금살도감을 두기도 하였다(이 1984a).
일제 강점기의 식육소비량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통계자료는 무엇인가? 일제 강점기의 식육소비량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통계자료는 『조선총독부 통계연보』이다. 1907년에 1906년을 대상으로 하는『제1차 통감부통계연보』가 간행된 이래,『통감부통계연보』로 제3차 1908년분까지 간행되었고, 이른바 ‘한국병합’ 이후에 나온 1909년분 이래 『조선총독부통계연보』라는 이름으로 1944년 3월에 나온 1942년분까지 지속적 으로 간행되었다(박 & 서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철호. 2008. 한국민중구술열전 김순현 1925년2월15일생. 눈빛출판사. 서울. p 75 

  2. 신권식. 2007. 평택일기로 본 농촌생활사. 경기문화재단. 수원. p 74 

  3. 박명규, 서호철. 2003. 식민권력와 통계-조선총독부의 통계체계와 센서스-.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p 56 

  4. 이성우. 1984a. 한국식품문화사. 교문사. 서울. pp 25-35 

  5. 이성우. 1984b. 한국식품사회사. 교문사. 서울. pp 17-28 

  6. 朝鮮總督府. 1909-1942. 朝鮮總督府 統計年報. 朝鮮總督府. 京城 

  7. 朝鮮總督府. 1933. 朝鮮の 産業. 朝鮮總督府. 京城 

  8. 平安南道. 1933. 平壤小誌. 平安南道 

  9. Lee KI, Choi JH, Lee CH, An BI. 1999. Consumer Demand for Meats in Korea.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0. Song JH, Shin SY, Kim CM. 2004. A Study on Beef Consumption Changes in Korea after the outbreak of BSE in the U.S.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1. Woo BJ, Chun SG, Kim HJ, Chae SH. 2009. The Construction of Meat Industr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2. Yoon GS, Woo JW. 1999. The Perception and the Consumption Behavior for the Meats in Koreans.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8(1):246-2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