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routing protocol that can be particularly applied to SDDC (Sangmyung Direct Digital Controller) BAS. We have used NS (Network Simulator)-2 to simulate the real building for SDDC BAS. The static, session, DV (Distance Vector), and LS (Link State) algorithms 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유선 메시 기반 아키텍처에서 경량 RTOS 및 웹서비스(web service)를 지원하는 기계장비와 전기장비, 조명장비를 통합 운영하는 BAS이며, 임베디드 컨트롤러에 이더넷 포트를 4개 장착하여 RS-485의 멀티드롭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웹서비스 기술 및 무선기술을 채택함으로써 BAS 시스템의 운영상 편의성을 높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SDDC BAS에 적합한 라우팅 알고리즘을 찾아내기 위하여, NS-2 시뮬레이터 기반으로 실제 환경과 유사한 실험 환경을 구축하고 각 라우팅 알고리즘을 적용시켜 성능 비교 및 평가를 진행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유선 메시 기반 아키텍처에서 경량 RTOS 및 웹서비스(web service)를 지원하는 기계장비와 전기장비, 조명장비를 통합 운영하는 BAS이며, 임베디드 컨트롤러에 이더넷 포트를 4개 장착하여 RS-485의 멀티드롭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웹서비스 기술 및 무선기술을 채택함으로써 BAS 시스템의 운영상 편의성을 높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기반의 구조를 갖는 새로운 BAS인 SDDC (Sangmyung Direct Digital Controller)를 제안한다. NS-2 (Network Simulator version 2)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BAS 시스템에 기존의 IP 라우팅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구성하고, 다양한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 비교 및 평가를 통해 구현기술의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또한 각 현장 제어장치는 유선 연결 구조를 가진다. 각 센서 및 현장 제어장치의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한 서버 노드는 지하 1층에 한 개 있다고 가정하고 토폴로지를 구성하였다. 각 관제점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는 서버 노드로 전송된다.
  • 본 논문에서 사용한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그림 3과 같이 상명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5층 건물을 기반으로 설계하였고, 각 현장 제어장치는 건물 내 방 하나에 한 개가 있다고 가정하였다. 한 개의 현장 제어장치는 총 4가지의 센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설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빌딩 자동화 시스템 BAS의 도입 목적은? 최근 신축되고 있는 많은 대형 건물들은 쾌적한 사무 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업무 능률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으로 건물의 운용을 도모할 목적으로 빌딩 자동화 시스템 BAS (Building Automation Systems)를 도입하고 있다.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고도의 기술이 집적된 제어기술과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분산화 및 모듈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빌딩 자동화 시스템이 분산화 및 모듈화를 이루고 있는 이유는? 최근 신축되고 있는 많은 대형 건물들은 쾌적한 사무 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업무 능률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으로 건물의 운용을 도모할 목적으로 빌딩 자동화 시스템 BAS (Building Automation Systems)를 도입하고 있다.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고도의 기술이 집적된 제어기술과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분산화 및 모듈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고도의 안전성과 실시간성을 요구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의 실시간성은 전체 제어시스템의 성능과 직결되며,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성능분석은 빌딩 내 네트워크 설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현재 다양한 제조업체들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상호 연계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때 이점은? 초기의 BAS는 DDC (Direct Digital Controller) 기술을 도입하여 건물 내의 다양한 장비를 한 회사가 제어하였으나 현재는 다양한 제조업체들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상호 연계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BAS의 확장과 기술발전 및 개선을 가로막는 중요한 장벽이 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고자 개발된 통신 프로토콜이 BACnet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이다. BACnet은 Ethernet, ARCNet, MS/TP (Master Slave/Token Passing), PTP (Point to Point), LonTalk 등의 LAN 표준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제공업체 및 사용자 모두에게 이점을 준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S. K. Park and K. H. Kim, "Technology trends of building automation system," Magazine of the SAREK (in Korean), vol. 33, no. 12, pp. 43-49, 2004. 

  2. http://www.pikeresearch.com/research/building-energymanagement-systems 

  3. S. H. Hong and S. H. Kim, "Technology trends of building automation communication network: BACnet," Magazine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Systems (in Korean), vol. 5, no. 3, pp. 43-49, 2011. 

  4. J. U. Kim and U. J. Kang, "Implementation of standard communication network for building automation in honeywell," SAREK Workshop for Automatic Control Society (in Korean), pp. 247-254, 1999. 

  5. W. P. Hong and S. H. Lee, "Implementation of open & distributed intelligent control network for BAS," KIEE Summer Conference 2000 (in Korean), vol. D, pp.2446-2451, 2000. 

  6. The VINT Project, The NS Manual,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