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육세포 내 Glucose 농도와 AICAR에 의한 단백질 합성 저해
AICAR (5-aminoimidazole-4-carboxamide-1-β-D-ribonucleoside) Decreases Protein Synthesis in C2C12 Myotubes Cultured in High Glucose Media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54 no.5, 2012년, pp.369 - 373  

박창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재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오영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경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최창원 (대구대학교) ,  조은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정용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박성권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는 체내 에너지 수준을 감지하고 당과 지방의 대사를 조절하는 인자로 밝혀졌다. 이러한 에너지 센서로서 AMPK의 역할은 심혈관계 및 비만과 당뇨 등의 대사성 질환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영양적 관점에서 AMPK는 지방산의 합성 및 분해를 통해 간에서 지방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근육의 경우 glucose 흡수를 관장하며, 근육세포 내 glucose의 유입을 증가 시킨다. 하지만, AMPK의 활성이 대사기질의 흡수와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아직까지 불분명하다. 또한 영양적 수준 차이에 따른 AMPK의 활성이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C2C12 myotube에서 AMPK 활성물로 알려진 5-aminoimidazole-4-carbozamide-1-${\beta}$-D-ribonucleoside (AICAR)가 glucose 농도차이에 따른 AMPK 활성과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배양된 C2C12 근육세포에서 AICAR는 glucose의 함량에 관계없이 AMPK를 활성화 시켰다. 단백질 농도는 낮은 수준 (LG)에 비해 높은 수준의 glucose (HG)가 처리된 myotube에서 증가되었고, AICAR에 의해 그 효과는 더욱 증대 되었다. C2C12 myotube에서 HG 처리는 AMPK와 acetyl CoA carboxylase (ACC)의 인산화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LG의 처리로 인해 AMPK와 ACC의 인산화가 증가되었다 (p<0.05). 또한, AICAR (2mM)의 처리는 glucose의 수준과는 관계없이 AMPK와 ACC의 인산화를 증가시켰다. 총 단백질 수준은 HG 처리에 의해 증가 되었고, 이는 AICAR의 처리에 의해서 더 높게 증가되었다. Proteasome 활성은 HG 처리구에서 LG에 비해 7.5% 낮게 나타났고, AICAR 처리는 proteasome 활성을 LG와 HG 처리구에서 각각 63%와 54% 감소 시켰다. Glucose의 수준은 mTOR의 인산화 수준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AICAR는 LG 처리구에서 만 mTOR의 인산화 수준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고, HG 처리구에는 mTOR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glucose 처리는 단백질을 proteasome으로부터 보호 하거나, glucose가 AMPK의 단백질 합성 저해 기능을 방해하여 세포내 단백질 합성을 중가 시키는 것으로 사료 된다. 결론적으로, 영양적 수준에 의해 AMPK 활성 및 단백질 합성과 분해가 조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maintains energy homeostasis in skeletal muscle. Nonetheless, its functional role on protein synthesis with different nutrient availability has not been elucida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MPK activity on protein content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C2C12 myotube에서 AMPK 활성물로 알려진 5-aminoimidazole-4-carbozamide-1-β-D-ribonucleoside (AICAR)가 glucose 농도차이에 따른 AMPK 활성과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 , 2006). 이러한 결과들은 AMPK와 mTOR는 서로 상호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AMPK가 대사적 스트레스 상태에서 어떻게 에너지 센서로서 항상성을 유지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골격근 위축은 다양한 단백질 가수분해 경로에 관여하며, ATP 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 ubiquitin-proteasome 체계에 의해 조절된다(Glickman and Ciechanover, 2002).
  • 하지만, 영양적 수준 차이에 따른 AMPK의 활성은 mTOR 신호전달을 통해서인지 ubiquitin-proteasome 체계인지 아직 구명되지 않고 있다. 이번 연구는 C2C12 myotubes 배양에서 다른 수준의 glucose 처리와 AICAR에 의한 AMPK의 활성이 mTOR 인산화 및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MPK는 세포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AMPK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 센서의 역할을 하고 그 활성은 에너지 수준에 의해 조절된다. AMPK의 활성은 제공되는 세포 내 ATP, ADP와 AMP의 수준에 관계없이 5-aminoimidazole-4- carboxamide-1-β-D-ribonucleoside (AICAR)에 의해서 촉진되어질 수 있다(Merrill et al.
AMPK의 활성은 무엇에 의해 촉진되는가? AMPK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 센서의 역할을 하고 그 활성은 에너지 수준에 의해 조절된다. AMPK의 활성은 제공되는 세포 내 ATP, ADP와 AMP의 수준에 관계없이 5-aminoimidazole-4- carboxamide-1-β-D-ribonucleoside (AICAR)에 의해서 촉진되어질 수 있다(Merrill et al., 1997).
AMPK와 mTOR가 서로 상호 작용 한다는 것을 보여준 연구는? , 2006). 최근 흰쥐를 이용한 연구에서 AMPK는 mTOR의 상위조절 인자의 역할을 하고 AICAR에 의한 AMPK의 활성은 mTOR를 억제하여 단백질 합성을 저감시킨다고 알려졌다(Bolster et al., 2002 William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olster, D. R., Crozier, S. J., Kimball, S. R. and Jefferson, L. S. 2002. AMP-activated Protein Kinase Suppresses Protein Synthesis in Rat Skeletal Muscle through Down-regulated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Signaling. pp. 23977-23980. 

  2. Fulco, M., Cen, Y., Zhao, P., Hoffman, E. P., McBurney, M. W., Sauve, A. A. and Sartorelli, V. 2008. Glucose restriction inhibits skeletal myoblast differentiation by activating SIRT1 through AMPK-mediated regulation of Nampt. Dev. Cell 14, 661-673. 

  3. Garlick, P. J., Fern, M. and Preedy, V. R. 1983. The effect of insulin infusion and food intake on muslce protein synthesis in postabsorptive rats. Biochem. J 210, 669-676. 

  4. Glickman, M. H. and Ciechanover, A. 2002. The Ubiquitin-Proteasome Proteolytic Pathway: Destruction for the Sake of Construction. pp. 373-428. 

  5. Hahn-Windgassen, A., Nogueira, V., Chen, C. -C., Skeen, J. E., Sonenberg, N. and Hay, N. 2005. Akt activates mTOR by regulating cellular ATP and AMPK activity. p. M502876200. 

  6. Hardie, D. G. 2007. AMP-activated/SNF1 protein kinases: conserved guardians of cellular energy. Nat. Rev. Mol. Cell Biol. 8, 774-785. 

  7. Hardie, D. G., Carling, D. and Carlson, M. 1998. THE AMPACTIVATED/ SNF1 PROTEIN KINASE SUBFAMILY: Metabolic Sensors of the Eukaryotic Cell? Annu. Rev. Biochem. 67, 821-855. 

  8. McKinnell, I. W. and Rudnicki, M. A. 2004. Molecular Mechanisms of Muscle Atrophy. Cell 119, 907-910. 

  9. Merrill, G. F., Kurth, E. J., Hardie, D. G. and Winder, W. W. 1997. AICA riboside increases AMP-activated protein kinase, fatty acid oxidation, and glucose uptake in rat muscle.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73, E1107-1112. 

  10. Nakashima., K. and Yakabe., Y. 2007. AMPK activation stimulates myofibrillar protein degradation and expression of atrophy-related ubiquitin ligases by increasing FOXO transcription factors in C2C12 myotubes. Biosci. Biotechnol. Biochem. 71, 1650-1656. 

  11. Sarbassov, D. D., Ali, S. M. and Sabatini, D. M. 2005. Growing roles for the mTOR pathway. Curr. Opin. Cell Biol. 17, 596-603. 

  12. Sidossis, L. S., Stuart, C. A., Shulman, G. I., Lopaschuk, G. D. and Wolfe, R. R. 1996. Glucose plus insulin regulate fat oxidation by controlling the rate of fatty acid entry into the mitochondria.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98, 2244-2250. 

  13. Williamson, D. L., Bolster, D. R., Kimball, S. R. and Jefferson, L. S. 2006. Time course changes in signaling pathways and protein synthesis in C2C12 myotubes following AMPK activation by AICAR. pp. E80-89. 

  14. Wullschleger, S., Loewith, R. and Hall, M. N. 2006. TOR Signaling in Growth and Metabolism. Cell 124, 471-484. 

  15. Yeshao, W., Gu, J., Peng, X., Nairn, A. C. and Nadler, J. L. 2005. Elevated glucose activates protein synthesis in cultured cardiac myocytes. Metabolism 54, 1453-14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