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해상풍력발전 후보지인 영광해상에 설치한 해상 기상타워 해모수 1호(HeMOSU-1)의 2011년 연간 풍속 관측 자료와 기상타워 해모수 1호 설치 지점에 인접한 부안, 고창, 영광 3개 지점의 육상 풍속자료를 이용하여 해상 임의고도에서의 풍속 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육상 풍속자료와 해상 풍속자료의 선형회귀분석으로 유도된 관계식을 이용하여 해상 기준고도(평균해수면 98.69 m)의 해상풍속자료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추정된 해상풍속 자료는 관측자료를 통해 산출된 고도분포지수 값(${\simeq}0.115$)과 멱법칙 풍속프로파일을 이용하여 87.65 m 높이로 고도보정하여 관측치와 비교하였다. 연구 수행결과, 공간보정오차는 1.6~2.2 m/s 정도이며, 고도보정오차는 0.1 m/s 정도로 공간보정오차의 약 5%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육상자료를 환산하여 해상임의지점의 풍속을 추정하는 경우, 큰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해상자료를 확보하거나 정확도가 높은 모델링 자료를 이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error analyses on the calculation of offshore wind speed have been conducted using HeMOSU-1 data to develop offshore wind energy in Yeonggwang sea of Korea and onshore observed wind data in Buan, Gochang and Yeonggwang for 2011. Offshore wind speed data at 98.69 m height above M.S.L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2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조위 변동이 고도분포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한편, 공학적인 관점에서는 접근성이 용이하며 사용이 간편한 멱법칙을 주로 사용한다. 멱법칙은 풍속 분포가 지수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있으며, 표면조도와 관련된 고도분포지수를 포함하고 있다. Kim and Choi (2002)는 풍황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포항지역의 고도분포지수를 산출하였으며, Hsu(1982)는 열대 해안지역의 고도분포지수 산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 경계층 내의 풍속의 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대기 경계층 내의 풍속은 높이에 따라 변동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변동성은 표면응력, 수직 열 흐름,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의 특성을 검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Hsu, 1988). 실제 대기 경계층에서는 표면 거칠기에 의해 전단력이 발생하며 전단력의 영향으로 측정 높이에 따라 풍속의 연직 구배가 발생하게 된다.
풍속 분포를 추정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풍속 분포를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멱법칙(Power law)과 대수법칙(Logarithmic method)을 이용한 방법, 돌풍인자법(Gust method), 표준편차법(Standard Deviation Measurements), 측정환경 주위의 지형 및 지물을 이용한 계산법(Terrain Method)등이 있다(Barthelmie et al., 1993; Sozzi and Favaron, 1997; 정 등, 2009).
본 연구에서 해상 임의 높이에서의 풍속 산정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오차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1) 공간보정오차는 1.59~2.16 m/s이며, 고도보정오차는0.096 m/s로 공간보정오차의 약 5%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육상자료를 활용하여 해상자료를 추정할 경우, 큰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해상관측자료를 확보하거나, 장기간의 해상풍 모델링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장기 해상풍 관측자료 부족, 고관측 비용 소요 등으로, 공간 오차가 가장 적은 지점의 육상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여야 한다. (2) 육상 풍속과의 관계식 (1)~(3)을 이용하여 해상 풍속을 산출하였다. 식 (1)을 사용하여 해모수 1호 자료와 부안, 고창, 영광 자료의 선형식을 산정한 결과, 선형식의 RMS 오차는 각각 2.16, 1.63, 1.59로 나타났다. 부안, 고창, 영광의 기상 관측소는 해모수 1호 지점에서 각각 약 60 km, 45 km, 37 km 이격되어 있으며, 영광 자료가 상대적으로 작은 오차를 보이는 반면, 부안 자료의 오차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대상지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부안의 지리적 위치 때문에 선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3) 해모수 1호의 연간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멱법칙의 고도분포지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출한 고도분포지수값은 0.115로 나타났으며, IEC 61400-3에서 제시한 0.14 (≅ 1/7), ASCE 7-93에서 제시한 0.1 값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식 (1)~(3)과 Table 1의 추정 된 매개변수 값을 이용하여 MSL(+) 98.69 m 지점의 해상 풍속을 추정하였다. 또한, 분석한 고도분포지수, α 0.115를 이용하여 풍속프로파일을 작성하였으며 MSL(+) 98.69, 97.65, 87.65, 77.65, 67.65, 57.65, 47.65, 27.65 m(총 8개) 고도의 풍속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값의 정확도를 판단하기 위해 관측치와의 평균제곱근 오 차(RMSE)를 분석하였다. 해모수 1호에 가장 인접한 고창과 영광의 RMS 오차는 평균 0.71과 평균 0.89인 반면, 부안의 경우는 평균 1.25의 RMS 오차를 보였다. 따라서 육상 자료를 이용하여 해상 풍력자료를 추정할 경우, 고창 또는 영광 자료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5) 식 (5)에서 제안한 고도분포지수 α와 조도길이 Z0와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본 지점의 조도길이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준고도로 설정한 98.65 m와 추정된 고도분포지수0.115를 이용하여 Z0를 추정한 경우, 조도길이는 0.016 m로 나타났다. (6) 본 지점의 조석 형태수는 0.22로서 전형적인 서해안의 조석형태를 띄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조위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시간별 계측기 높이를 재산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Fig. 6과 같이 조위의 변동성이 풍속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기상청(2011). http://www.kma.go.kr 

  2. 박우선, 이광수, 정신택, 강금석, 안희도 (2011). 해상풍력발전 기술매뉴얼. 한국해양연구원. 

  3. 정태윤, 김현구 (2010). 언덕지형과 지표상태에 따른 대기경계 층 풍속분포 관측.분석. 한국풍공학회 학술대회발표집, 한국풍공학회, 216. 

  4. 정태윤, 임희창, 김현구, 장문석 (2009). 월령 연안지역 대기경계층의 유동특성과 대기 안정성에 대한 고찰. 한국환경과학회지, 18(8), 857-865. 

  5. Barthelmie, J.P. and Palutikof, J.P. (1996). Coastal wind speed modelling for wind energy applications. Journal of Wind Engineering and Industrial Aerodynamics, 62, 213-215. 

  6. Barthelmie, J.P., Palutikof, J.P. and Davies, T.D. (1993). Estimation of sector roughness lengths and the effect on prediction of the vertical wind speed profile. Boundary-Layer Meteorology, 66, 21-34. 

  7. Hsu, S.A. (1988). Coastal Meteorology. Academic Press, Inc. 

  8. Hsu, S.A. (1982). Determination of the power-law wind profile exponent on a tropical coast.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21, 1187-1190. 

  9. Hsu, S.A., Meindl E.A. and Gilhousen D.B. (1994). Determining the power-law wind-profile exponent under near-neutral stability conditions at sea.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3, 757. 

  10.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2009), IEC61400-3, IEC, 22. 

  11. Kim, H. G. and Choi, J. O. (2002). Calculation of wind profile exponent in Pohang area. 한국풍공학회지, 6(1), 47-52. 

  12. Mwanyika HH. and Kainkwa RM. (2006). Determination of the power law exponent for southern highlands of tanzania. Tanzania Journal of Science, 32, 104. 

  13. Simiu. E. (2011). Design of Buildings for Wind, 2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21-123. 

  14. Simiu. E. and Scanlan. R.H. (1966). Wind Effects on Structures,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39-46. 

  15. Sozzi, R. and Favaron, M. (1997). Method for estimation of surface roughness and similarity function of wind speed vertical profile.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7, 461-465. 

  16. Wieringa, J., Davenport, A.G., Grimmond, C.S.B. and Oke, T.R. (2001). New revision of Davenport roughness classification. 3rd European & African Conf. Netherlands, 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