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복작물이 유기 사과과원 토양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ver Plants on Soil Microbial Community in Organic Apple Orchard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5, 2012년, pp.822 - 828  

오영주 (한반도생물다양성연구소) ,  강석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시험장) ,  송양익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최진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백원기 (대진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에 소비자들의 안전 농산물에 대한 관심과 정부의 정책적인 친환경농업에 대한 지원으로 유기 과수 재배는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본 연구는 피복 작물별 유기 사과과원의 토양 화학성 및 시기별 토양미생물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피복작물의 토양미생물상 영향을 구명하고 유기농법에 의한 과수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피복작물은 벼과 작물인 호밀, 청보리와 콩과 작물인 레드클로버와 헤어리베치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과과원에서 피복처리에 의한 토양화학성분 변화는 자연초생구에 비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피복작물 처리간에도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토양 pH는 7.8~8.1 범위로서 유기 배 과원 관행과원의 pH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효인산은 자연초생시험구와 피복작물 시험구간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다. 유기물 함량은 자연초생구와 벼과 피복작물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콩과 피복작물과 비교했을 때 자연초생구에 비해 콩과 피복작물의 유기물 함량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환성 양이온인 칼륨함량에서 호밀과 레드클로버 시험구는 자연초생구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헤어리베치의 경우 자연초생구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칼슘 함량은 자연초생구에 비해 피복작물들에서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그네슘 함량은 청보리와 헤어리베치에서 자연초생구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미생물 군집밀도 조사결과 8월 토양에서 자연초생구에 비해 호밀과 레드클로버 시험구의 세균 군집밀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방선균 군집밀도는 자연초생구와 비교해서 청보리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균 군집밀도도 8월 토양에서 자연초생구에 비해 헤어리베치 시험구의 군집밀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yrosequencing을 통해 처리구별 배양균 및 비 배양균의 군집조성을 비교한 결과 청보리로 피복한 사과과원 토양의 방선균 분포비율이 다른 토양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피복작물에 따른 토양미생물상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서 사과과원의 효과적인 유기물 분해와 양분공급을 위한 피복작물 선정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rganic fruit production has increased due to consumer's interest and government's political support for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ver plants on soil microbial community and establish the fruit cultivation method by organic farm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피복식물에 의한 토양미생물의 변화는 과원의 양분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기 사과재배에서 벼과인 청보리, 호밀, 콩과인 헤어리베치, 레드클로버를 피복작물로 이용 시 유기 사과과원의 토양 화학성분 변화, 토양미생물 군집밀도에 미치는 영향과 DGGE 분석에 의한 전체미생물상 변화, 그리고 pyrosequencing을 통한 미생물 종다양성 분석을 통해 토양미생물 관리에 유용한 초종을 선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 최근에 소비자들의 안전 농산물에 대한 관심과 정부의 정책적인 친환경농업에 대한 지원으로 유기 과수 재배는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본 연구는 피복 작물별 유기 사과과원의 토양 화학성 및 시기별 토양미생물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피복작물의 토양미생물상 영향을 구명하고 유기농법에 의한 과수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복작물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피복작물은 크게 콩과와 화본과로 분류할 수 있다. 콩과는 공중질소를 고정하는 작물로서 대표적으로 자운영 (Astragalus sinicus), 헤어리베치 (Vicia villosa), 클로버류 등이 있다 (Cardina, 1995; Kuo and Sainju, 1997).
2012년의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의 전망은 어떠한가? 2012년의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2011년 대비 13% 정도 증가한 3조 6,800억원으로 전망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안전 농산물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세계적으로도 유기농산물 시장규모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2000년 이후 매년 20% 내외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피복 작물별 유기 사과과원의 토양 화학성 및 시기별 토양미생물에 대한 비교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피복 작물별 유기 사과과원의 토양 화학성 및 시기별 토양미생물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피복작물의 토양미생물상 영향을 구명하고 유기농법에 의한 과수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피복작물은 벼과 작물인 호밀, 청보리와 콩과 작물인 레드클로버와 헤어리베치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과과원에서 피복처리에 의한 토양화학성분 변화는 자연초생구에 비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피복작물 처리간에도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토양 pH는 7.8~8.1 범위로서 유기 배 과원 관행과원의 pH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효인산은 자연초생시험구와 피복작물 시험구간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다. 유기물 함량은 자연초생구와 벼과 피복작물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콩과 피복작물과 비교했을 때 자연초생구에 비해 콩과 피복작물의 유기물 함량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환성 양이온인 칼륨함량에서 호밀과 레드클로버 시험구는 자연초생구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헤어리베치의 경우 자연초생구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칼슘 함량은 자연초생구에 비해 피복작물들에서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그네슘 함량은 청보리와 헤어리베치에서 자연초생구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미생물 군집밀도 조사결과 8월 토양에서 자연초생구에 비해 호밀과 레드클로버 시험구의 세균 군집밀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방선균 군집밀도는 자연초생구와 비교해서 청보리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균 군집밀도도 8월 토양에서 자연초생구에 비해 헤어리베치 시험구의 군집밀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yrosequencing을 통해 처리구별 배양균 및 비 배양균의 군집조성을 비교한 결과 청보리로 피복한 사과과원 토양의 방선균 분포비율이 다른 토양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피복작물에 따른 토양미생물상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서 사과과원의 효과적인 유기물 분해와 양분공급을 위한 피복작물 선정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ardina, J. 1995. Biological weed management. In: Smith, A.E. (Ed.), Handbook of Weed Management Systems. pp. 279-341. Marcel Dekker, New York, USA. 

  2. Celette, F., A. Findeling, and C. Gary. 2009. Competetion for nitrogen in an unfertilized intercropping system: The case of an association of grapevine and grass cover in a Mediterranean climate. Eur. J. Agron. 30: 41-51. 

  3. Choi, H.S., L. Xiong, W.S. Kim, Y. Lee, and H.J. Jee. 2011. Comparison of soil physic-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in soil of 'Niitaka' pear orchards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cultivations. Korean J. Organic, Agric. 19(2): 229-243. 

  4. Choi, K.H., D.H. Lee, Y.Y. Song, J.C. Nam, and S.W. Lee. 2010. Current status on the occurrence and management of disease, insect and mite pests in the non-chemical or organic cultured apple orchards in Korea. Kor. J. Organic Agric. 18: 221-232. 

  5. Duxbury, J.M., M.S. Smith, and J.W. Doran. 1989. Soil organic matter as source and a sink of plant nutrients, In: Colenman, D. C. et al. (eds.). Dynamics of soil organic matter in tropical ecosystems, pp. 33-68. Univ. Hawaii Press, Honolulu, USA. 

  6. Embley, T.M. and E. Stackebrandt. 1994. The molecular phylogeny and systemativs of actinomycetes. Annu. Rev. Microbiol. 48: 257-289 

  7. Evans, J.R. and I. Terashima. 1987. Effects of nitrogen nutrition on electron transport components and photosynthesis in spinach, Aust. J. Plant Physiol. 14: 281-292. 

  8. Fisk, J.W. and O.B. Hesterman. 2001. Weed suppression by annual legume cover crops in no-tillage corn. Agron. J. 93: 263-298. 

  9. Granatstein, D. 2002. North American trends for organic tree fruit production. Compact Fruit Tree. 35: 83-87. 

  10. Heuer, H., M. Krsek, P. Baker, K. Smalla, and E.M.H. Wellington. 1997a. Analysis of actinomycete communities by specific amplification of genes encoding 16S rRNA and gel-electrophoretic separation in denaturing gradients. Appl. Environ. Microbiol. 63: 3233-3241 

  11. Kennedy, A.C. 1999. Bacterial diversity in agroecosystems. Agric. Ecosyst. Environ. 74: 65-76h 

  12. Kuo, S. and U.M. Sainju. 1997. Winter cover crop effects on soil organic carbon and carbohydrate in soil. Soil Sci. 61: 145-152. 

  13. McGill, W.B., K.R. Cannon, J.A. Roberson, and F.D. Cook. 1986. Dynamics of soil microbial biomass and water-soluble organic carbon in Breton L after 50 years of cropping to two rotations. Can. J. Soil. Sci. 66: 1-19 

  14. NIAST. 201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15. Peck, G.M., P.K. Andrews, C. Rhichter, and J.P. Reganold. 2005. Internationalization of the organic fruit market: The case of Washington State's organic apple exports to the European Union. Rennewable Agr. Food Sys. 20: 101-112 

  16. Petersen, J. and A. Rover. 2005. Comparison of sugar beet cropping systems with dead and living mulch using a glyphosate-resistant hybrid. J. Agron. Crop Sci. 191: 55-63. 

  17. Ramos, M.E., E. Benitez, P.A. Garcia, and A.B. Robles. 2010. Cover crops under different managements vs. frequent tillage in almond orchards in semiarid conditions: Effects on soil quality. Appl. Soil Ecol. 44: 6-14. 

  18. Sakamoto, K. and Y. Oba. 1993. Relationship between available N and soil biomass in upland field soils. Jpn. J. Soil Sci. Plant Nutr. 64: 42-48. 

  19. Suh, J.S., J.S. Kwon, and H.J. Noh. 2010. Effect of the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s on microbial diversity in upland soils. Korean J. Soil. Fert. 43: 987-994. 

  20. Wyland L.J., L.E. Jackson, W.E. Chaney, K. Klonsky, S.T. Koike, and B. Kimple. 1996. Winter cover crops in a vegetable cropping system: Impacts on nitrate leaching, soil water, crop yield, pests and management costs. Agric. Ecosyst. Environ. 59: 1-17 

  21. Young, G. 2002. A fieldman's perspective on frowing and packing organic fruit. Compact Fruit Tree 35: 90-91. 

  22. Van Diepeningen, A.D., O.J. de Vos, G.W. Korthals, and A.H.C. van Bruggen. 2006. Effects of organic versus conventional management on chemical and biological parameters in agricultural soils. Appl. Soil Ecol. 31: 120-1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