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1998 to 2008,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seawater in Kamak Bay, Korea, was monitored. The total and fecal coliforms in seawater were monitored as bacterial indicators, and the level of fecal coliform contamination was used to evaluate seawater quality. In the southern shellfish growing a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실시한 가막만해역의 분변계대장균 모니터링 결과자료를 근거로 장기간에 걸쳐 변화된 가막만 북부와 남부해역의 세균학적 수질상태 및 해역의 세균학적 수질에 대한 강우의 영향을 평가하고 북부해역 중 오염도가 심각했던 선소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실시된 수질환경 개선사업의 효과를 위생지표세균인 분변계대장균의 수준 변화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해역의 위생관리 및 세균학적 수질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가막만 북부해역 중 오염이 심각했던 선소 연안해역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06년 2월까지 선소 연안 69 ha에 대한 오염퇴적물 준설과 선소 연안으로 직접 유입되는 오·폐수를 이송 처리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의 건설이 추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막만 북부 선소 연안해역의 수질환경 개선사업이 가막만해역의 세균학적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준설 및 하수처리장 건설 전(1998년-2000년), 준설 및 하수처리장 건설 진행 중(2001년-2005년), 준설 및 하수처리장 건설 완료 이후(2006년-2008년)로 나누어 선소 연안, 북부해역 및 남부해역에서 분변계대장균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Fig.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막만해역이 패류 양식에 적합한 해역인 이유는 무엇인가? 가막만해역은 반폐쇄성 내만으로 패류 양식에 적합한 해역이기도 하지만 내만의 연안해역은 해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도심권의 배수유역으로부터 직.간접적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될 수 있다(Lee et al.
남해안의 여수반도와 돌산도에 사이에 위치한 가막만이 전남의 대표적인 굴 생산해역으로 알려져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남해안의 여수반도와 돌산도에 사이에 위치한 가막만은 영양염의 유입과 먹이생물의 번식이 원활하여 전남의 대표적인 굴 생산해역으로 알려져 있으며(Lee and Cho, 1990; Cho et al., 1996), 굴이 생산되는 만의 남부해역은 수출용 패류생산 지정해역(제4호)으로서 수산물품질관리법에 의거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되고 있다(MIFAFF, 2009b; MIFAFF, 2010).
굴이 생산되는 가막만해역의 남부해역은 어떠한 해역으로 지정되어 있는가? 남해안의 여수반도와 돌산도에 사이에 위치한 가막만은 영양염의 유입과 먹이생물의 번식이 원활하여 전남의 대표적인 굴 생산해역으로 알려져 있으며(Lee and Cho, 1990; Cho et al., 1996), 굴이 생산되는 만의 남부해역은 수출용 패류생산 지정해역(제4호)으로서 수산물품질관리법에 의거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되고 있다(MIFAFF, 2009b; MIFAFF,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ckerman D and Weisberg SB. 2003.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beach bacterial concentrations on Santa Monica bay beaches. J Water and Health 1, 85-89. 

  2. APHA. 1985. Laboratory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water and shellfish.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U.S., 28-47. 

  3. Burkhardt III W, Calci KR, Watkins WD, Rippey SR and Chirtel SJ. 2000. Inactivation of indicator microorganisms in estuarine waters. Wat Res 34, 2207-2214. 

  4. Byun HS, Song KC, Lee DS, Shim KB and Lim CW. 2010. Evaluation of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sea waters in Seocheon area. Korea J Kor Fish Soc 43, 25-32. 

  5. Canosa A and Pinilla G. 1999. Bacteriological eutrophication indicators in four Colombian water bodies (South America). Lakes & Reservoirs : Research and management 4, 23-27 

  6. Chang DS, Jeong ET, Yu HS, Lee EW and Lim SM. 1998. Bacteriological quality of sea water in Deukryang Bay Korea. J Kor Fish Soc 31, 77-81. 

  7. Chigbu P, Gordon S and Strange T. 2004. Influence of interannual variations in climatic factor on fecal coliform levels in Mississippi Sound. Water Res 38, 4341-4352. 

  8. Cho EI, Park CK and Lee SM. 1996.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in Kamak Bay (II):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of oyster culture ground. J Kor Fish Soc 29, 709-715. 

  9. Coleman HM, Kanat G and Turkdogan-Aydinol FI. 2009. Restoration of the Golden Horn Estuary (Halic). Water Res 43, 4989-5003. 

  10. Garrido-Pe'rez MC, Anfuso E, Acevedo A and Perales-Vargas- Machuca JA. 2008. Microbial indicators of faecal contamination in waters and sediments of beach bathing zones. Int J Hyg Environ Health 211, 510-517. 

  11. Ha KS, Shim KB, Yoo HD, Kim JH and Lee TS. 2009. Evaluation of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sea Hansan.Geojeman, Korea. J Kor Fish Soc 42, 449-455. 

  12. Hong HC, Qiu JW and Liang Y. 2010.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distribution of total and fecal coliform bacteria in six water storage reservoirs in the Pearl River Delta Region, China. J Envrion Sci 22, 663-668. 

  13. DS, Kim YS, Jeong SY, Kang CK and Lee WJ. 2008. Envrionment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s of marine bactera in the surdiments of Kamak Bay in winter and summer. J Envrion Sci 17, 755-765. 

  14. Kim YS, Yoon HS, Park IW, Lee WB, Joo SY and Choi SD. 2008. Annu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and Bivalvia Communities in Gamak Bay. Korean J Environ Biol 26, 279-291. 

  15. Kown JY, Park KBW, Song KC, Lee HJ, Park JH, Kim JD and Son KT. 2008.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Shellfish-growing Area in Kamak Bay, Korea. J Fish Sci Technol 11, 7-14. 

  16. Lee KH and Cho KD. 1990. Distribution of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in Kamak Bay. Bull Kor Fish Soc 23, 25-39. 

  17. MIFAFF. 2009a. Sanitary criteria of producing, processing facilities and seawater area for fisheries product. The Notification of Ministry of Food, Aqua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rticle 2009-295. 

  18. MIFAFF. 2009b. Designation of the shellfish growing area for export. The Notification of Ministry of Food, Aqua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rticle 2009-298. 

  19. MIFAFF. 2010. Fishery Products Quality Inspection Act. The Notification of Ministry of Food, Aqua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 Oh HT, Lee SM, Lee WC, Jung RH, Hong SJ, Kim NK and Tilburg C. 2008. Sustainability Evaluation for Shellfish Production in Gamak Bay Based on the Systems Ecology. 2, Environmental Accounting for the Improvement of the Na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Emergy Evaluation. J Environ Sci 17, 857-869. 

  21. Shim KB, Ha KS, Yoo HD, Kim JH and Lee TS. 2009. Evaluation of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sea Jaranman.Saryangdo area, Korea. J Kor Fish Soc 42, 442-448. 

  22. Song KC, Lee DS, Shim KB, Lim CW, Mog JS, Byun HS, Park YJ and Cho KC. 2008. Evaluation of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waters in Taean area, Korea. J Kor Fish Soc 41, 155-162. 

  23. U.S. FDA. 2009. Guide for the control of molluscan shellfish,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