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궤도위성과 지상국 간 접속 검증 시험
The Interface Test between LEO Satellite and Ground Station 원문보기

항공우주기술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v.11 no.2, 2012년, pp.49 - 56  

권동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목적실용위성3호체계팀) ,  정옥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저궤도위성관제팀) ,  김희섭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목적실용위성3호체계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궤도위성은 궤도에 진입한 이후에는 탑재 소프트웨어에 의해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탑재 소프트웨어에 의한 위성의 임무 수행은 많은 부분이 내부 논리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발사 후 초기 운용이나 정상 운용의 임무 명령 생성, 궤도 조정, 건강 상태 확인 및 조치 등의 경우는 위성 운용 인원 및 위성 개발자의 판단 및 제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위성의 텔레메트리를 수신 및 원격 명령을 위성에 전송하여 탑재 소프트웨어를 상황에 맞게 제어할 수 있도록 위성과 지상국 간의 무선 통신 접속이 필요하다. 위성과 지상국 간의 접속 검증 시험을 종단 시험(End-to-End test)이라고 하며, 이 논문에서는 저궤도위성 개발의 전체 기간 중 수행한 2 차례의 종단 시험에 대하여 시험 형상 및 시험 설계에 대해 서술하고 이에 따른 시험 결과에 대해 정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O Satellite performs the operations and missions by FSW(Flight Software) after separation from a launch vehicle. Many of the operations by FSW are automatically conducted by the algorithms of FSW. In the case of the IAC(Initial Activation and Checkout) operations, a mission scheduling, an orbit 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Ethernet Link Interface Check : 통신 관련 지상 장비와 임무 운용 장치 간의 이더넷 접속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Ping 시험과 간단한 명령을 전송하여 텔레메트리 중 명령 카운터의 증가 여부를 확인한다.
  • 12) GRA/STA/RWA/TAM/MTA Test : 위성 자세 제어용 구동기 및 센서와 관련된 명령 및 텔레메트리를 점검하는 것이 목적이다.
  • ETB 위성과 임무 운용 장치 간 접속 시험으로 주요한 접속 오류를 확인 및 수정하여 FM 위성의 안전을 확보한 후, FM 위성과 임무 운용 장치를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접속 확인을 수행하는 것이 이 시험의 목적이다. 선정한 시험 항목은 표 2와 같다.
  • 13번은 영상 촬영 임무, 영상 수신 임무 및 실시간 임무를 수행하면서 위성 자세도 해당 임무에 맞게 변경하는 시나리오 절차 시험을 준비하였다. ETB 위성의 경우 우주 역학 시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시험에서는 임무 수행 시의 자세 제어 절차의 검증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림 3은 Normal Mission 시험의 전체 시나리오이며, 실시간 임무 3회, 영상 촬영 임무 3회, 영상 수신 임무 6회를 연속으로 수행한다.
  • 본 논문에서는 저궤도위성과 지상국의 임무 운용 장치 간의 접속을 검증하는 종단 시험에 대하여 시험 설계 및 수행 결과에 대해 정리를 하였다. 시험 설계 시 시험 목적의 설정부터 목적에 부합한 시험 형상 설계 및 시험 항목 선정에 대해 자세히 서술하였으며, 설계한 시험을 모두 수행하여 접속 검증을 완료를 하였다.
  • 시험 항목 1번부터 12번까지는 ETB 종단 시험에서 검증한 항목으로 모든 형식의 명령 및 텔레메트리, 덤프 파일들을 FM 위성으로 재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ETB 시험 항목 중 포함되지 않은 Normal Mission Operation과 Mission Change Operation 대신, FM 시험 항목 15번에 새로운 시나리오로 작성하였으며, Orbit Change Operation과 Abnormal Situation 항목은 FM 위성의 안전과 관계가 있기 때문에 수행하지 않았다.
  • 15) Check Ground Procedure at Abnormal Situation : 정상 운용 중 위성이 이상 상태를 확인하면 스스로 안전 모드로 전환하며, 지상에서 위성 개발자와 운용 인원이 이상 원인을 분석 후복구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 절차를 임무 운용 장치를 통해 수행하는 것이 시험의 목적이다.
  • 종단 시험의 시험 목적은 임무 운용 장치와 위성 간의 접속 검증이며, 더 나아가 임무 운용 장치를 통해 위성을 정상 운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영상 수신 처리 장치와의 접속 검증의 경우, 다른 지상 시험을 통해 생성된 영상 미가공 정보를 직접 영상 수신 처리 장치에 입력하여 자체 검증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단 시험의 시험 목적은 무엇인가? 종단 시험의 시험 목적은 임무 운용 장치와 위성 간의 접속 검증이며, 더 나아가 임무 운용 장치를 통해 위성을 정상 운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영상 수신 처리 장치와의 접속 검증의 경우, 다른 지상 시험을 통해 생성된 영상 미가공 정보를 직접 영상 수신 처리 장치에 입력하여 자체 검증을 하였다.
텔레메트리의 타입 5가지는 무엇인가? 1) 정보 호환성 검증: 텔레메트리와 정보 업로드 등을 포함한 원격 명령의 형식 및 내용이 위성과 임무 운용 장치 간에 서로 호환되어야 한다. 원격 명령의 경우, 실시간 명령, 절대 시간 명령, 상대 시간 명령 시퀀스, 코드 업로드 형식 등등, 다양한 형식이 있으며, 텔레메트리의 경우는 실시간 VCDU (Virtual Channel Data Unit), 덤프 VCDU, 저장 VCDU, POD(Precision Orbit Determination) 및 PAD(Precision Attitude Determination)와 같이 5가지 타입이 있다. 또한 덤프 VCDU로 내려 받을 수 있는 세부 타입도 다양하다.
PAD, GPF Compatibility Check에서 위성의 자세 변화를 모사하기 위하여 무엇을 사용하는가? 10) PAD, GPF Compatibility Check : 위성의 자세 프로파일인 GPF의 업로드 및 정상 실행 여부를 확인하며, GPF에 의해 위성의 자세가 변하는 과정을 텔레메트리 형식 중 하나인 PAD로 저장하여 수신하는 시험이다. 이 시험에서는 위성의 자세 변화를 모사하기 위하여 우주 역학 시뮬레이터를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

  1. 전문진, 권동영, 이나영, 김대영, "지구 저궤도 위성의 초기 운용 설계 및 시험 결과", 2010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001-1004 

  2. Larson, W. J. and Wertz, J. R.: Space Mission Analysis and Design 3rd Edition, Space Technology Library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