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침수흔적도를 활용한 침수지역 유형화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A Study on Flood Area Typology Using the Inundation Trace Map - A Case Study of Busan Metropolitan City -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1 no.5, 2013년, pp.393 - 400  

유창주 (Dept. of Urban Engineering, Kyung Sung University) ,  홍순헌 (Dept. of Civi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최현 (Dept. of Civil Engineering, Kyung Nam University) ,  남광우 (Dept. of Urban Engineering, Kyung Su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나 홍수로 인해 침수피해, 환경파괴 등 인명피해나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도시의 난개발로 인한 불투수율 증가로 인해 침수 빈도 증가와 함께 침수지역의 확대로 인한 많은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구축된 부산지역의 침수흔적도를 이용하여 부산광역시의 해운대구, 수영구, 사하구를 대상으로 침수지역의 유형화를 통해 각 유형별 침수피해 원인 분석 및 방지 대책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침수지역을 내수범람형, 하천범람형, 해수범람형으로 분류한 후 사전예방 중심의 방지대책을 관리체계 측면, 인프라 구축 측면, 시스템 측면으로 나누어 관련성을 부여함으로써 보다 더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침수문제에 접근하였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 추후 침수흔적도의 활용에 관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expected casuality or property damage, such as flood damage, environmental destruction, etc, is increased because of the local heavy rain or flood by climatic changes. Especially, there are lots of property damages caused by increase of flood frequency and expansion of flood area because 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침수로 인해 인명피해나 재산피해가 발생한 부산광역시의 침수구역을 대상으로 침수흔적도를 활용하여 대상지의 특성에 따른 침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형화를 실시하여 각 유형별 침수방지 대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끝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침수피해 방지대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사전 침수 피해 예방·저감을 목표로 그에 따른 향후 관리방안을 도출하는 흐름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의 잦은 침수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침수흔적도를 이용하여 침수의 원인 및 특성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파악하였으며 침수지역의 유형화를 시켜 방지대책을 제시하였다. 침수흔적도 사례를 통하여 분석된 침수원인을 고려하여 기존 실시되고 있는 방지대책과 새로운 방지대책을 연계하여 침수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의 잦은 침수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침수흔적도를 이용하여 침수의 원인 및 특성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파악하였으며 침수지역의 유형화를 시켜 방지대책을 제시하였다. 침수흔적도 사례를 통하여 분석된 침수원인을 고려하여 기존 실시되고 있는 방지대책과 새로운 방지대책을 연계하여 침수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Jhin, 2003)의 연구에 따르면 주로 상습적으로 침수가 일어나는 지역은 저지대 주변부이며 지반고가 하천의 계획홍수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한 지역이나 각종 하수도 시설의 용량부족으로 인해 침수피해를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수해의 원인은 보통 강우, 하천, 바다 세 가지로 분류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원인들을 종합하여 볼 때 침수지역을 내수범람형, 하천범람형, 해수범람형(해일)으로 유형화를 시켜 살펴보고자 한다.
  • 침수관련 위험을 제거하기 위하여 지정된 지구에 배수시설과 같은 설비나 지반 성토 등의 조치를 위주로 하고 있으며 이는 사후적 조치 차원의 위험요소 제거 후 침수 지구를 해제하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의 단순한 사후조치 차원의 침수지역에 대한 대응에서 벗어나 사전 예방차원의 대응으로의 확대를 위한 침수원인에 따른 유형화를 실시하였다. 현재 제공 되어지는 침수흔적도의 속성정보의 한계로 인해 보다 다양한 유형화에는 제약이 따르지만 Table 2.
  • 와 같이 세 가지 유형에 대한 접근을 통해서도 각 유형별 침수원인에 따른 대응방안의 차별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세 가지의 유형별로 인프라, 시스템, 관리체계 요소와의 관련성을 부여하여 차후 침수문제 해결방안 수립 시 중요도를 선정한 후 그것을 토대로 관리방안 및 해결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부산시 3개의 구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침수흔적도가 다년간 쌓인 자료가 아니라 부산의 침수지역 전체적인 특성을 말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이러한 결과는 향후 상습침수 피해에 대비하고 침수방재 시설의 설치가 필요한 지역과 제공되어야 할 대책, 제도를 파악하고 향후 사전재해영향성검토나 풍수해저감종합계획수립의 재해예방 업무를 지원하는 유용한 자료로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침수피해의 원인 세 가지는 무엇인가? (Shim et al., 2008)의 연구에 따르면 도시침수피해의 원인을 크게 내수범람, 하천범람 및 제방붕괴, 해일 피해 이상 세가지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그 중 도시지역에서 가장 대표적인 침수원인은 내수에 의한 침수피해라고 제시하였고, 외수에 의한 침수피해는 하천피해와 해안지역의 해일피해로 구분하였다.
부산의 침수지구 7개는 어디인가? Tabel 1.을 보면 부산은 감전지구, 장림지구, 대연지구, 송정지구, 거제지구, 괴정지구, 감천지구 이상 7개의 지구가 침수지구로 지정이 되어있다. 부산시는 침수지구로 지정된 지구에 배수시설, 지반 성토 등의 조치를 취하여 위험요소를 제거한 후 침수지구를 해제하는 형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침수 유형 중 하천범람형에 대한 방지대책 두 가지는 무엇인가? 하천범람형에 대한 방지대책은 두 가지로 분석되었다. 첫째는 침수가 발생되는 모든 하천에 대하여 동시에 침수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름으로 인해 상습적으로 침수가 일어나는 하천들을 우선적으로 관리 하천으로 지정하고 계획을 세워 제방을 강화하거나 배수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하여야 한다. 둘째는 하천 주변부에 저류지를 조성하고 저류지마다 CCTV와 재난 예·경보 시스템을 설치하여 집중 호우 시 상황에 따라 물을 가두고 개방하면서 피해를 최소화 하는 방법이다. 실제로 이러한 방법으로 제주도에서는 2012년 볼라벤, 산바 태풍 당시 도심지 하천범람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고 이 방법으로 많은 하천에 침수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Lee, C.H., Park, S.H., Hwang, S.B., Seong, K.S., Ahn, J.H., and Kim, J.H., (2012), Flood Trace Synthesize Report, Korea Cadastral Survey Corp, Seoul, Korea, 402p. (in Korean) 

  2. Park, W.C., (2008), Methodology for the Management and Application of Floood plain Maps using Cadastral Information,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88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Yoo, Y.J, (2002),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Disaster Management Capability in Urban Area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09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J.Y., (2001), Now is Time to Worry about Urban Flood Dam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 No. 2, pp. 29-34. (in Korean) 

  5. Jang, H.I., (2009), A Study on Factor and Type of the Internal Flooding in Arable Land of the Chungnam area, Master's thesis, Kongju University, Chungcheongnamdo, Korea, 54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Shin, C.H., (2006), Mapping the Flood Hazard by the Application of GIS, Master's thesis, Kangwon University, Kangwondo, Korea, 33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Bae, J.K,. (2009), Flood Mapping for the Inland Areas using DEM,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47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oi, S.H., (2011), The Status of Disaster Map and Integrated Utilization Pla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1, No. 5, pp. 149-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Yang, D.M., (2009), Disaster Information Analysis Center Operation System Setup(1), Research/Trend Report,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Seoul, Korea. 

  10. Shim, W.B., Kim, J.W., Lee, B.H., and Lee, B.K., (2008), A Study on Efficient Execution Method for Unban Flood Damage Prevention, Separate volume Repor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ejong City, Korea, 335p. (in Korean) 

  11. Jhin, Y.G., (2003), A Study on Cause Analysis of Flooded Area and Reduction Measure by Urbanizatio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78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