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혈청 요산 및 소변 내 산도와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Serum Uric Acid, and Urine pH i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5 no.4, 2013년, pp.237 - 246  

이진화 (가천대학교 학생건강증진연구센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박현주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 few Korean studies have reported that low urine acidity and hyperuricemia are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Therefore,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urine pH, serum Uric Acid (UA),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student heal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관리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관련 있는 다양한 요인들에 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즉, 20대 성인 남녀만을 대상으로 하여 소변 내 산도 및 혈중 요산 농도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젊은 성인들의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소변 내 산도 및 혈청 요산 농도 사이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단면적 조사연구로 일 대학 학생 건강검진 결과를 이차 분석 하였다.
  • 본 연구는 젊은 성인 남녀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소변 내 산도 및 혈중 요산 농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일 대학 재학생의 건강검진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인구(young adult)를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소변 내 산도 및 혈청 요산 농도와의 관련성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2012년도에 실시된 일 대학 학생 건강검진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소변 내 산도와는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으나, 일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혈청 내 요산 농도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소변 내 산도(urine pH) 및 혈청 내 요산(serum uric acid) 농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청 요산은 무엇인가? 또한 혈청 내 요산 농도 역시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Feig, Kaing, & Johnson, 2008; Liu, Chang, & Chen, 2010). 통풍(gout)을 일으키는 것으로 잘 알려진 혈청 요산은 퓨린의 최종 대사산물이다(Alverez-Lario & Macarron-Vincente, 2010). 요산은 간에서 생성되고, 대부분 콩팥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혈중 요산의 농도는 간과 콩팥에서의 대사에 따라 결정된다.
대사증후군이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인슐린 저항(insulin resistance), 고혈압, 지질대사이상, 혈당이상의 위험요인 5가지 중 3가지 이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질환군으로 정의된다(Eckel, Grundy, & Zimmet, 2005). 이러한 대사증후군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미국의 경우 20세 이상 성인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1988년 23.
인슐린이 요산 신결석을 형성하게하는데 어떤 영향을 주는가? 대사증후군과 신결석과의 관련성은 아직 그 기전이 확실히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대사증후군의 발생기전으로 유력한 복부비만과 인슐린 저항이(Stewart, 2008) 신결석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Maalouf, Cameron, Moe, Adams-Huet, & Sakhaee, 2007). 즉, 인슐린은 콩팥에서 L-glutamine으로부터 암모늄(NH3)을 생성하도록 하는데, 암모늄은 소변의 산·염기 조절 완충제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슐린 저항이 증가하면 소변 내 암모늄이 감소하며, 세뇨관에서 나트륨 이온(Na+)과 수소 이온(H+)의 교환에 장애가 발생하여 소변이 산성화되고, 산성화된 소변으로 인해 소변 내 요산의 불용성이 증가하여 요산결석을 형성한다는 것이다(Abate, Chandalia, Cabo-Chan, Moe, & Sakhee, 2004). 따라서 인슐린 저항과 소변 내 산도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면서(Maalouf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bate, N., Chandalia, M., Cabo-Chan, A. V. Jr., Moe, O. W., & Sakhaee, K. (2004). The metabolic syndrome and uric acid nephrolithiasis: novel features of renal manifestation of insulin resistance. Kidney International, 65, 386-392. http://dx.doi.org/10.1111/j.1523-1755.2004.00386.x 

  2. Alverez-Lario, B., & Macarron-Vicente, J. (2010). Uric acid and evolution. Rheumatology, 49, 2010-2015. http://dx.doi.org/10.1093/rheumatology/keq204 

  3. Burtis, C. A., & Ashwood, E. R. Tietz Textbook of Clinical Chemistry 2nd ed. Philadelphia: W. B. Saunders. 

  4. Chang, I. H., Lee, Y. T., Lee, D. M., Kim, T. H., Myung, S. C, Kim, Y. D., et al. (2011). Metabolic syndrome, urine pH, and time-dependent risk of nephrolithiasis in Korean men without hypertension and diabetes. Endourology and Stones, 78, 753-758. http://dx.doi.org/10.1016/j.urology.2011.03,007 

  5. Cho, S. T., Jung, S. I., Myung, S. C., & Kim, T. H. (2013). Correlation of metabolic syndrome with urinary stone compos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Urology, 20, 208-213. http://dx.doi.org/doi: 10.1111/j.1442-2042.2012.03131.x 

  6. de Oliveira, E. P., & Burini, R. C., (2012). High plasma uric acid concentration: causes and consequences. Diabetology & Metabolic syndrome, 4, 4-12. http://dx.doi.org/10.1186/1758-5996-4-12 

  7. Eckel, R. H., Grundy, S. M., & Zimmet, P. Z. (2005). The metabolic syndrome. Lancet, 365, 1415-28.http://dx.doi.org/10.1016/S0140-6736(09)61794-3 

  8. Ervin, R. B. (2009).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ing adults 20 years of age and over, by sex, age, race, and ethnicity, and body mass index: United States, 2003-3006. National Health Statistics Reports, 13, 1-8. 

  9. Feig, D. I., & Johnson, R. J. (2003). Hyperuricemia in childhood primary hypertension. Hypertension, 4, 247-252. http://dx.doi.org/10.1161/01.HYP.0000085858. 66548.59 

  10. Feig, D. I., Kang, D. H., & Johnson, R. J. (2008). Uric acid and cardiovascular risk.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9, 1811-1121. http://dx.doi.org/10.1056/NEJMra0800885 

  11. Fernandez, A., Fuller, A., Al-Bareeq, R., Nott, L., & Razvi, H. (2013). A comparison of the metabolic profiles of diabetic and non-diabetic uric acid stone formers. Canadian Urological Association, 7(3-4), E190-192. http://dx.doi.org/10.5489/cuaj.11133 

  12. Ford, E. S., Giles, W. H., & Mokdad, A. H. (2004). Increasing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Diabetes Care, 27, 2444-2449. 

  13. Hara, S., Tsuji, H., Ohmoto, Y., Amakawa, K., Hsieh, S. D., Arase, Y., et al. (2012). High serum uric acid level and low urine pH as predictors of metabolic syndrome: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 a Japanese urban population. Metabolism, 61(2), 281-288. http://dx.doi.org/10.1016/j.metabol.2011.06.026 

  14. Hong, S. P., Lee, Y. S., Bae, K. R., Chung, J. W., Kim, S. Y, Lee, J. B., et al. (2008). Relationship between serum uric acid level and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gender. Korean Circulation Journal, 38, 152-160. 

  15. Ishiro, M., Takaya, R., Mori, Y., Takitani, K., Kono, Y., Okasora, K., et al. (2013). Association of uric acid with obesity and endothelial dysfunction in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Annals of Nutrition & Metabolism, 62, 169-176. http://dx.doi.org/10.1159/000346227 

  16. Johnson, R. J., Kang, D. H., Feig, D., Kivlighn, S., Kanellis, J., Watanabe, S., et al. (2003). Is there a pathogenetic role for uric acid in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and renal disease? Hypertension, 41, 1183-1190. http://dx.doi.org/10.1161/01.HYP.0000069700.62727.C5 

  17. Jung, T. S., Yang, W. J., & Song, Y. S. (2009). The correl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urinary pH in adult Korean men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Korean Journal of Urology, 7, 694-698. http://dx.doi.org/10.4111/kju.2009. 50.7.694 

  18. Lee, B. Y. (2008). The change of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isk factors.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Hosipital Manag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9. Lee, H. M., Park, J. H., Kim, S. H., & Kim, J. Y. (2009). Association of the level of serum uric acid and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3, 182-194. 

  20. Liu, P. W., Chang, T. Y., & Chen, J. D. (2010). Serum uric acid and metabolic syndrome in Taiwanese adults. Metabolism, 59, 802-807. http://dx.doi.org/10.1016/j.metabol.2009.09.027 

  21. Maalouf, N. M. (2011). Metabolic syndrome and the genesis of uric acid stones. Journal of Renal Nutrition, 21(1), 128-131. http://dx.doi.org/10.1053/j.jrn.2010.10.015 

  22. Maalouf, N. M., Cameron, M. A., Moe, O. W., Adams-Huet, B., & Sakhaee, K. (2007). Low urine pH: a novel featur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2, 883-888.http://dx.doi.org/10.2215/CJN.00670207 

  23. Otsuki, M., Kitamura, T., Goya, K., Saito, H., Mukai, M., Kasayama, S., et al. (2011). Association of urine acidification with visceral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Endocrine Journal, 58(5), 363-367. http://dx.doi.org/10.1507/endocrj.K10E-319. 

  24. Park, H. S., Oh, S. W., Kang, J. H., Park, Y. W., Choi, J. M., Kim, Y. S., et al. (2003).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with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2(1), 1-14. 

  25. Richette, P., & Bardin, T. (2010). Gout. Lancet, 375, 318-328. http://dx.doi.org/10.1016/S0140-6736(09)60883-7 

  26. Richette, P., & Perez-Ruiz, F. (2013). Serum uric acid and metabolic risk. Current Medical Research & Opinion, 29(3), 9-15. http://dx.doi.org/10.1185/03007995.2013.790801 

  27. Sakhaee, K., & Maalouf, N. M. (2008). Metabolic syndrome and uric acid nephrolithiasis. Seminars in Nephrology, 28(2), 174-180. http://dx.doi.org/10.1016/j.semnephrol 

  28. Singh, A. S., Mulder, C., Twisk, J. W. R., Van Mechelen, W., & Chinapaw, M. J. M. (2008) Tracking of childhood overweight into adulthood: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besity Review, 9, 474-488. http://dx.doi.org/10.1111/j.1467-789x.2008.00475.x 

  29. Stamatelou, K. K., Francis, M. E., Jones, C. A., Nyberg, L., M., & Curhan, G. C. (2003). Time trends in reported prevalence of kidney stone in the United States: 1976-1994. Kidney International, 63, 1817-1823. http://dx.doi.org/10.1046/j. 1523-1755.2003.00917.x 

  30. Stewart, P. M. (2008). The adrenal cortex, corticosteroid hormone action. In Kronenberg, H. M., Melmed, S., Polonsky, K. S., Karsen, P. R. (Ed.),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11th ed(pp. 453-464). Philadelphia, PA: Elsevier Health Sciences. 

  31. Yoo, T. W., Sung, K. C., Kim, Y. C., Hwang, S. T., Oh, S. Y., Shin, H. S., et al. (2004). The relationship of the hypertension, insulin resistance, and metabolic syndrome in the serum uric acid level. Korean Circulation Journal, 34, 874-8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