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실의 환경설계기술 현황 및 설계용 기상 자료 비교 원문보기

전원과 자원 = Rural resource, v.55 no.4, 2013년, pp.28 - 36  

남상운 (충남대학교 지역환경토목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위에 언급한 국내와 미국, 일본의 온실 환경설계기술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환경설계용 기상자료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새로운 온실 환경설계기술 정립과 자료 구축에 활용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의 기준(농어촌연구원, 1997)은 광환경, 환기, 난방, 냉방, 관수및관비, 탄산가스시비, 제어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냉난방과 환기설계 시 부하산정방법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실의 최대난방부하는 무엇인가? 온실의 최대난방부하는 작물재배 기간의 최저설계외 기온 하에서 온실로부터 손실되는 열량으로서 난방설비 용량을 결정하는 지표가 된다. 최대난방부하(Qg) 산정에 관한 미국의 기준은 다음과같다.
기간난방부하는 왜 필요한가? 기간난방부하는 재배기간 전체 또는 특정 기간에 대한 난방소비열량으로서 연료소비량 예측, 경영계획 수립, 경제성 평가 등을 위해 필요하다. 기간난방부하를 산정하는 방법은 다음 3가지로 대별된다.
일본의 온실 환경설계기술의 기준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미국의 기준(ASABE Standards, 2008)은 난방, 환기 및 냉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부수적으로 공기순환, 이산화탄소시비, 차광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일본의 기준 (시설원예 핸드북, 2007)은 광환경, 온도(보온, 난방, 냉 방), 습도, 이산화탄소, 환기·기류, 토양수분, 복합환경 제어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기준(농어촌연구원, 1997)은광환경, 환기, 난방, 냉방, 관수및관비, 탄산가스시비, 제어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lbright, L.D., 1990, Environment control for animals and plants, ASAE. 

  2. ASABE, 2008, Standard: Heating, Ventilating and Cooling Greenhouses, ANSI/ASAE EP406.4. 

  3. ASHRAE, 2013, ASHRAE Handbook Fundamentals SI Edition, ASHRAE. 

  4. Hayashi, M. and T. Kozai, 1982, Comparison of actual and calculated heating degree hour and a proposition of heating degree hour diagram, Journal of Agricultural Meteorology 38(1): 29-36. 

  5. Lindley, J.A. and J.H. Whitaker, 1996, Agricultural buildings and structures, ASAE. 

  6. Mihara, Y., 1978, Computation formula for greenhouse heating degree hour with consideration for sunshine, Journal of Agricultural Meteorology 34(2): 83-85. 

  7. 김두천, 1996, 건물의 공조부하계산용 표준 전산프로그램 개발 및 기상자료의 표준화 연구, 통상산업부. 

  8. 김문기, 1997, 원예시설의 환경설계기준 작성연구,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9. 김환용, 이정재, 2007, 냉난방 부하계산을 위한 전국 17개 도시의 표준기상데이터 및 TAC 맵 작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9): 197-204. 

  10. 남상운, 2000, 온실의 냉난방 설계용 기상자료의 비교분석,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학술발표논문집 9(2): 94-97. 

  11. 대한설비공학회, 2011, 설비공학편람-공기조화, 대성사. 

  12. 우영회, 김태영, 조일환, 2001, 지중 전열량을 고려한 온실의 기간난방부하 결정, J. Kor. Soc. Hort. Sci. 42(5): 523-526. 

  13. 유호천, 2011, 불확실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건물성능평가 표준기상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보고서. 

  14. 윤종호, 2003, 건물에너지 성능평가를 위한 표준기상자료의 국내외 현황, 대한설비공학회 설비저널 32(8): 7-14. 

  15. 이석건, 1998, 고효율 환경조절 및 에너지 절약형 온실구조의 최적설계, 농림부. 

  16. 이성복, 인인복, 홍세운, 서일환, J.P. Bitog, 2012, BES 프로그램을 이용한 국내 대표적 대형온실의 에너지 부하 예측,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4(3): 113-124. 

  17. 조성환, 김성수, 최창용, 2010, 국내 15개 주요지역의 난방도일 재산정에 관한 연구, 설비공학논문집 22(7): 436-441. 

  18. 農林水産技術會議事務局, 1980, 高能率園藝施設計劃.設計基準に關する硏究成果. 

  19. 日本施設園藝協會, 2007, 五訂施設園藝ハンドブック.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