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놀레산 대사체들의 글루쿠론산 결합화합물 합성
Synthesis of Glucuronic Acid Conjugates of Linoleic Acid Metabolites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7 no.6, 2013년, pp.738 - 743  

강동욱 (대구가톨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리놀레산과 그 대사체는 여러 가지 다양한 약리 효과를 나타내고, 카복실산 작용기를 갖는 물질이다. 일반적인 카복실산 화합물들은 간에서 UGT Glucuronosyl transferase 효소에 의해서 글로쿠론산이 결합된 대사체의 형태로 발견된다. 결과적으로 리놀레산 대사체들의 잠재적인 대사체로 이 화합물들의 글루쿠론산 결합화합물들이 될 수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리놀레산의 대사체로 알려진 두 종류의 에폭사이드 대사체와 두 종류의 다이올 대사체에 글루쿠론산의 결합 반응을 통하여 네 종류의 잠재적인 리놀레산 대사체들을 합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noleic acid and its metabolites have various medicinal effects with carboxylic acid functional group. General carboxylic acid compounds are discovered as glucuronide metabolites by UGT glucuronosyl transferase at liver. Consequently, glucuronides of linoleic acid metabolites are expected as pot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9 그렇기 때문에, 리놀레산의 에폭사이드 대사체인11-(3-pentyl-oxiranyl)-undec-9-enoic acid (6), 8-(3-oct-2-enyloxiranyl)-octanoic acid (7)와 다이올 대사체인 12,13-dihydroxyoctadec-9-enoic acid (11), 6-(12,13-dihydroxy-octadec-9-enoyloxy)-3,4,5-trihydroxy-tetrahydro-pyran-2-carboxylic acid (13)들도 잠재적으로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과의 결합 반응이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리놀레산의 두 종류의 에폭사이드 대사체(6, 7)와 두 종류의 다이올 대사체(11, 13)들을 합성하고, 이 화합물들과 글루쿠론산과의 결합 반응을 통하여 잠재적인 대사체로 예상되는 네 가지의 글루쿠론산 결합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놀레산은 무엇인가? 리놀레산(linoleic acid)은 천연에 존재하는 오메가-6 필수지방산이며, 식물의 씨와 견과류의 기름에 존재하는 물질이다. 그리고 신체는 음식의 구성 성분으로부터 리놀레산을 스스로 합성하지 못한다.
리놀레산의 대사체를 글루쿠로닉산 결합화합물로 만드는 과정에서 최종적인 결합 반응 수율이 낮게 나온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각 리놀레산의 대사체들에 화합물 16과 HATU, NMM (N-methylmorpholine)을 사용하여 결합 반응을 한 후, Pd(PPh3)4와 morpholine으로 처리하여 리놀레산 대사체들의 acyl glucuronide 화합물들을 얻었다. 결과적으로, 최종적인 결합 반응 수율은 26−45% 정도로 낮게 나왔는데, 그 이유는 추출의 과정을 통해 반응 부생성물과 반응 시약들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글루쿠론산 결합반응물들은 극성이 높기 때문에 순상의 실리카겔을 사용한 관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분리하기 어렵다.
11-(3-pentyl-oxiranyl)-undec-9-enoic acid가 잠재적으로 글루쿠론산과의 결합 반응이 예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작용기로 알코올 또는 카복실산을 가지는 물질들은 간에서 UGT(uridine 5’-diphospho-glucuronosyltransferase) 효소에 의하여 글루쿠로닉산이 결합된 형태의 화합물로 발견된다.89 그렇기 때문에, 리놀레산의 에폭사이드 대사체인11-(3-pentyl-oxiranyl)-undec-9-enoic acid (6), 8-(3-oct-2-enyloxiranyl)-octanoic acid (7)와 다이올 대사체인 12,13-dihydroxyoctadec-9-enoic acid (11), 6-(12,13-dihydroxy-octadec-9-enoyloxy)-3,4,5-trihydroxy-tetrahydro-pyran-2-carbolic acid (13)들도 잠재적으로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과의 결합 반응이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oons, C. M.; Blunt, K.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30, 86, 1. 

  2. Cunnane, S. C.; Anderson, M. J. Journal of Lipid Research 1997, 38, 805. 

  3. Ruthig, D. J.; Meckling-Gill, K. A. Journal of Nutrition 1999, 129, 1791. 

  4. Ruparel, S.; Green, D.; Chen, P.; Hargreaves, K. M. Molecular Pain 2012, 8, 73. 

  5. Yasuda, M.; Nishizawa, T.; Ohigashi, H.; Tanaka, T.; Hou, D.-X.; Colburn, N. H.; Murakami, A. Carcinogenesis 2009, 30, 1209. 

  6. Cho, Y. H.; Jung, S. H.; Kong, S. H. Korean Kongkae Taeho Kongbo 2002; KR 2002091399. 

  7. Ulaganathan, M.; Rakhshinda, R.; Tanveer, A.; Sarvesh, K.; Suchita, S.; Geeta D. L.; Jyotirmoi, A.; Manish, K.; Kritika, K.; Vijay P. S. Scientific Reports 2013, 3, 1349. 

  8. Cho, J.-Y.; Kang, D. W.; Ma, X.; Ahn, S.-H.; Krausz, K. W.; Luecke, H.; Idle, J. R.; Gonzalez, F. J. Journal of Lipid Research 2009, 50, 924. 

  9. Cho, J.-Y.; Matsubara, T.; Kang, D. W.; Ahn, S.-H.; Krausz, K. W.; Idle, J. R.; Luecke, H.; Gonzalez, F. J.; Journal of Lipid Research 2010, 51, 1063. 

  10. Kato, T.; Yamaguchi, Y.; Namai, T.; Hirukawa, T.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1993, 57, 283. 

  11. Perrie, J. A.; Harding, J. R.; Holt, D. W.; Johnston, Atholl; Meath, Paul; Stachulski, Andrew, V. Organic Letters, 2005, 7, 25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