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기유연전자소자를 이용한 바이오메디컬 디바이스 원문보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Information display, v.14 no.4, 2013년, pp.45 - 52  

김대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  최창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유연디바이스들은 신체 내부 장기와 피부에 적용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였고 실제 환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유연전자소자의 바이오메디컬 소자로서의 응용 가능성 및 향후 예상되는 동향에 대해 논의해 볼 것이다.
  • 이 글을 통하여 의학적, 연구적 응용을 포함한 단결정 무기물질을 활용한 고성능 유연전자소자를 적용한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몇 가지 연구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기존의 딱딱한 웨이퍼 기반 전자소자에서는 할 수 없었던, 부드럽고 곡면 형태의 조직에 적합하며, 인체에 삽입할 수 있거나 비침습적인 유연전자소자를 이용하여 신체에서 다양한 생체 신호 계측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를 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소자를 몸 안에 이식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은 무엇인가? 전자소자를 몸 안에 이식하는 것은 여러 가지로 어려 움이 따른다. 유연하고 부드러운 신체 장기에 붙여지기 위한 기계적 특성을 고려해야 할 뿐 아니라 전기적인 누설 전류는 심장과 뇌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핵심기술은 두 가지로 요약된 다.
단결정 무기물질을 이용한 고성능 전자소자의 특징은 무엇인가? 실제로 실생활에 응용되는 대부분의 전자기기는 실리콘이라는 단결정 무기물질을 기반으로 제작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오늘날 많이 사용되는 단결정 무기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갈륨비소)을 이용한 고성능 전자소자는 기본적으로 딱딱하며, 평면 형태인데 반하여[1-6] 신체는 부드럽 고, 곡면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보다 인간 친화적인 전자 기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계적 성질의 차이점을 해결해야 한다.
전자 소자와 신체의 기계적 특성의 차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떤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유연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전자소자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었고 대표적으로 유기전자재료의 사용이 고려되어 왔으며, 디스플레이[10-12], 태양전지[13-15], 전자회로 등 다른 종류의 전자소자[16-18]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단분자 혹은 고분자 유기물질을 반도체 물질로 사용하는 많은 유기전 자소자는 비록 휘어질 수 있고 곡면에 적용될 수 있다고 할지라도 유기물의 낮은 전자이동도 및 산소, 물 등에 취약한 특성으로 인하여 신체 내의 뇌나 심장 등의 장기 위에서 고성능으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전자소자를 만들기 힘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1)

  1. G. Moore. Electronics 38, 114 (1965). 

  2. RG. Arns. Eng. Sci. Educ. J. 7, 233 (1998). 

  3. EM. Vogel. Nat. Nanotechnol. 2, 25 (2007). 

  4. International Technology Roadmap for Semiconductors. 2011. http://www.itrs.netLinks/2011ITRS/Home2011.htm 

  5. Streetman BG, Banerjee S. 2005. Solid State Electronic Device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6th ed. 

  6. I. Hayashi. Jpn. J. Appl. Phys. 32, 266 (1993). 

  7. W. Interwoven. Arch. Neerl. Sc. Ex. Nat. 6, 625 (1901). 

  8. J Dewire and H Calkins. Nat. Rev. Cardiol. 7, 129 (2010). 

  9. LR Hochberg, MD Serruya, GM Friehs, JA Mukand and M Saleh. Nature 442, 164 (2006). 

  10. SR. Forrest. Nature 428, 911 (2004). 

  11. JA Rogers, Z Bao, K Baldwin, A Dodabalapur and B Crone. Proc. Natl. Acad. Sci. USA 9, 4835 (2001). 

  12. GH Gelinck, HEA Huitema, EV Veenendaal, E Cantatore and L Schrijnemakers. Nat. Mater. 3, 106 (2004). 

  13. G Yu, J Gao, JC Hummelen, F Wudi and AJ Heeger. Science 270, 1789 (1995). 

  14. JY Kim, K Lee, NE Coates, D Moses and TQ Nguyen. Science 317, 222 (2007). 

  15. SE Shaheen, DS Ginley and GE Jabbour. MRS Bull. 30, 10 (2005). 

  16. J Ouyang, CW Chu, CR Szmanda, L Ma and Y Yang. Nat. Mater. 3, 918 (2004). 

  17. PF Baude, DA Ender, MA Haase, TW Kelley and DV Muyres. Appl. Phys. Lett. 82, 3964 (2003). 

  18. E Cantatore, TCT Geuns, GH Gelinck, E Veenendaal and AFA Gruijthuijsen. 56-MHz RFID system based on organic transponders 42, 84 (2007). 

  19. B Tian, T Cohen-Karni, Q Qing, X Duan and P Xie. Science 329, 831 (2010). 

  20. EW Keefer, BR Botterman, MI Romero, AF Rossi and GW Gross. Nat. Nanotechnol. 3, 434 (2008). 

  21. DH Kim, JH Ahn, WM Choi, HS Kim and TH Kim. Science 320, 507 (2008). 

  22. DH Kim, J Song, WM Choi, HS Kim and RH Kim. Proc. Natl. Acad. Sci. USA 105, 18675 (2008). 

  23. DH Kim, N Lu, R Ghaffari, YS Kim and SP Lee. Nat. Mater. 10, 316 (2011). 

  24. DH Kim, J Viventi, JJ Amsden, J Xiao and L Vigeland. Nat. Mater. 9, 511 (2010). 

  25. DH K im, N Lu, R Ma, Y S Kim a nd RH Kim. Science 333, 838 (2011). 

  26. J Viventi, DH Kim, JD Moss, YS Kim and JA Blanco. Sci. Transl. Med. 2, 24ra22 (2010). 

  27. MA Meitl, ZT Zhu, V Kumar, KJ Lee and X Feng. Nat. Mater. 5, 33 (2006). 

  28. J Viventi, DH Kim, L Vigeland, ES Frechette and JA Blanco. Nat. Neurosci. 14, 1599 (2011). 

  29. HC Ko, MP Stoykovich, J Song, V Malyarchuk and WM Choi. Nature 454, 748 (2008). 

  30. I Jung, J Xiao, V Malyarchuk, C Lu and M Li. Proc. Natl. Acad. Sci. USA 108, 1788 (2011). 

  31. DH Kim, Z Liu, YS Kim, J Wu and J Song. Small 5, 2841 (2009). 

  32. RH Kim, DH Kim, J Xiao, BH Kim and SI Park. Nat. Mater. 9, 929 (2010). 

  33. SI Ryu and KV Shenoy. Neurosurg. Focus 27, E5 (2009). 

  34. MAL Nicolelis, D Dimitrov, JM Carmena, R Crist and G Lehew. Proc. Natl. Acad. Sci. USA 100, 11041 (2003). 

  35. G Schalk, KJ Miller, NR Anderson, JA Wilson and MD Smyth. J. Neural Eng. 5, 75 (2008). 

  36. GA Worrell, AB Gardner, SM Stead, S Hu and S Goerss. Brain 131, 928 (2008). 

  37. E Asano, C Juhasz, A Shah, S Sood and HT Chugani. Brain 132, 1038 (2009). 

  38. M Stead, M Bower, BH Brinkmann, K Lee and WR Marsh. Brain 133, 2789 (2010). 

  39. JS Perlmutter and JW Mink. Annu. Rev. Neurosci. 29, 229 (2006). 

  40. WC Stacey and B Litt. Nat. Clin. Pract. Neurol. 4, 190 (2008). 

  41. CH Halpern, U Samadani, B Litt, JL Jaggi and GH Baltuch. Neurotherapeutics 5, 59 (2008). 

  42. PK Campbell, KE Jones, RJ Huber, KW Horch and RA Normann. IEEE Trans. Biomed. Eng. 38, 758 (1991). 

  43. WR Patterson, YK Song, CW Bull, I Ozden and AP Deangellis. IEEE Trans. Biomed. Eng. 51, 1854 (2004). 

  44. S Kim, R Bhandari, M Klein, S Negi and L Rieth. Biomed. Microdevices 11, 453 (2009). 

  45. KL Drake, KD Wise, J Farraye, DJ Anderson and SL BeMent. IEEE Trans. Biomed. Eng. 35, 719 (1988). 

  46. RW Griffith and DR Humphrey. Neurosci. Lett. 206, 81 (2006). 

  47. T Tokuda, YL Pan, A Uehara, K Kagawa and M Nunoshita. Sens. Actuators A 122, 88 (2005). 

  48. X Huang, W Xu, J Liang, K Takagaki and X Gao. Neuron 9, 978 (2010). 

  49. H Calkins, J Brugada, DL Packer, R Cappato and SA Chen. Europace 9, 335 (2007). 

  50. M Haissaguerre, P Jais, DC Shah, A Takahashi and M Hocini. N. Engl. J. Med. 339, 659 (1998). 

  51. M Haissaguerre, M Shoda, P Jais, A Nogami and DC Shah. Circulation 106, 962 (2002). 

  52. WG Stevenson and K Soejima. Circulation 115, 2750 (2007). 

  53. AJ. Greenspon. IEEE Trans. Microw. Theory Tech. 48, 2670 (2000). 

  54. L Di Biase, A Natale, C Barrett, C Tan and CS Elayi. J. Cardiovasc. Electrophysiol. 20, 436 (2009). 

  55. S Satake, K Tanaka, S Saito, S Tanaka and H Sohara. J. Cardiovasc. Electrophysiol. 14, 609 (2003). 

  56. B Schmidt, M Antz, S Ernst, F Ouyang and P Falk. Heart Rhythm 4, 575 (2007). 

  57. VY Reddy, P Neuzil, A d'Avila, M Laragy and ZJ Malchano. Heart Rhythm 5, 353 (2008). 

  58. M Mansour, GB Forleo, A Pappalardo, EK Heist and A Avella. Heart Rhythm 5, 1510 (2008). 

  59. VY Reddy, P Neuzil, S Themistoclakis, SB Danik and A Bonso. Circulation 120, 12 (2009). 

  60. KR Chun and B Schmidt. J. Cardiovasc. Electrophysiol. 30, 699 (2009). 

  61. CD Hardyck, LF Petrinovich and DW Ellsworth. Science 154, 1467 (1966). 

  62. A Searle and L Kirkup. Physiol. Meas. 21, 271 (2000). 

  63. P Griss, HK Tolvanen-Laakso, P Merilainen and G Stemme. IEEE Trans. Biomed. Eng. 49, 597 (2002). 

  64. JP Carmo, NS Dias, HR Silva, PM Mendes and C Couto. IEEE Sens. J. 7, 1524 (2007). 

  65. B. Gerdle, S. Karlsson, S. Day, M. Djupsjobacka, Acquistion,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surface electromyogram. In Modern Techniques in Neuroscience Research, ed. U. Windhorst, H Johansson, pp. 705-55. Berlin: Springer-Verlag. 

  66. WC Ng, HL Seet, KS Lee, N Ning and WX Tai. J. Mater. Process. Technol. 209, 4434 (2009). 

  67. G Ruffini, S Dunne, L Fuentemilla, C Grau and E Farres. Sens. Actuators A 144, 275 (2008). 

  68. JY Baek, JH An, JM Choi, KS Park and SH Lee. Sens. Actuators A 143, 423 (2008). 

  69. YM Chi, TP Jung and G Cauwenberghs. IEEE Rev. Biomed. Eng. 3, 106 (2010). 

  70. M Matteucci, R Carabalona, M Casella, E Di Fabrizio and F Gramatica. Microelectron. Eng. 84, 1737 (2007). 

  71. JR. Stroop. J. Exp. Psychol. 18, 643 (1935).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