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굴 가수분해물이 SD-Rat의 혈청과 간 균질물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Oyster Hydrolysate on the Serum and Hepatic Homogenate in SD-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2, 2013년, pp.1940 - 1948  

허성익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박시향 (선마린바이오테크) ,  이수선 (선마린바이오테크) ,  정세영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  최영준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rague Dawley계 rat을 이용하여 굴 효소 가수분해물 함유식이가 혈청과 간 균질액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식이 그룹은 대조군과 실험군으로써 TGPN 굴 효소 가수분해물 1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TGPN-100FG), TGPN 2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TGPN-200FG), PN 가수분해물 시료 1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PN-100 FG), 2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PN-200FG) 5 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식이를 제공하여 실험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은 TGPN-200FG 식이군이 혈청과 간 균질액에서 각각 28.9%, 26.1%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간 균질물의 중성지질은 TGPN-100FG 식이군에서 6.3%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수퍼옥사이드 라디칼은 TGPN-200FG에서 유의적으로 34.7% 감소하였다. 굴 가수분해물 TGPN-200FG는 수퍼옥사이드 및 히드록실 라디칼을 소거함으로써 라디칼 소거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수준을 감소시키며, 단백질 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oyster hydrolysates in the serum and liver of SD-rats through the determination of lipid content, production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Two different hydrolysates, Protamex-treated and Neutrase-treated hydr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굴 효소 가수분해물을 첨가한 고지방 식이로 사육한 SD-rat의 혈청 및 간 균질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및 자유라디칼의 함량과 항산화효소의 변화를 측정하여 굴 효소 가수분해물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감소 및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백질 가수분해 펩티드의 기능성은 무엇이 있는가? 수산 식품 단백질에서 유래한 펩티드는 영양학적 품질과 물성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으며, 생체 내에서 광범위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낸다. 단백질 가수분해 펩티드의 기능성은 생체 내에서 진통, 마취, 장관 등의 평활근 수축, 식욕조절 등에 관여하는 opioid 펩티드, 면역 증강에 관여하는 phagocytosis 펩티드, 혈압강하에 관여하는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저해 펩티드(1-4), 항콜레스테롤 효과(5), 항미생물 작용(6), 혈소판 응집을 저해하는 antithrombotic 펩티드(7)가 알려져 있다.
수산 식품 단백질에서 유래한 펩티드는 어떤 효과가 있는가? 수산 식품 단백질에서 유래한 펩티드는 영양학적 품질과 물성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으며, 생체 내에서 광범위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낸다. 단백질 가수분해 펩티드의 기능성은 생체 내에서 진통, 마취, 장관 등의 평활근 수축, 식욕조절 등에 관여하는 opioid 펩티드, 면역 증강에 관여하는 phagocytosis 펩티드, 혈압강하에 관여하는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저해 펩티드(1-4), 항콜레스테롤 효과(5), 항미생물 작용(6), 혈소판 응집을 저해하는 antithrombotic 펩티드(7)가 알려져 있다.
다른 식이군에서는 catalase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PN-200FG 식이군은 혈청과 간 균질물에서 catalase 활성이 각각 146%와 113.6%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으로 추정되는가? 6% 증가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혈청과 균질물에서 히드록실 라디칼의 증가(Table 5, 6) 때문에 일어나는 이들 라디칼의 소거를 위한 효소 활성의 증가로 추정된다. 항산화 효소는 활성 산소를 안정된 물질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여 활성 산소를 제거하나 라디칼의 수준이 낮을수록 효소 활성의 발현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Herregods G, Camp JV, Ghesquiere B, Gevaert K, Vercruysse L, Dierckx S, Quanten E, Smagghe G. 2011.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gelatin hydrolysates and identification of bioactive peptides. J Agric Food Chem 59: 552-558. 

  2. Lee JK, Jeon JK, Byun HG. 2011. Effect of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 purified from skate skin hydrolysate. Food Chem 125: 495-499. 

  3. Balti R, Nedjar Arroume NN, Adje EY, Guillochon D, Nasri M. 2010. Analysis of novel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cuttlefish (Sepia officinalis) muscle proteins. J Agric Food Chem 58: 3840-3846. 

  4. Dai ZY, Zhang YP, Zhang H, Lu YB. 2010.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ussel (Mytilus edulis) protein hydrolysates with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by enzymatic hydrolysis. J Food Biochem 36: 66-74. 

  5. Park JH, Lee JE, Kim SM, Kwak HS. 2009. Cholesterol lowering effect of enzymatic hydrolysates of squid in rats. Food Sci Biotechnol 18: 1541-1544. 

  6. Liu Z, Dong S, Xu J, Zeng M, Song H, Zhao Y. 2008. Production of cysteine-rich antimicrobial peptide by digestion of oyster (Crassostrea gigas) with alcalase and bromelin. Food Control 19: 231-235. 

  7. Kim SK, Ngo DH, Vo TS, Ngo DN. 2013. Pharmacological effects of marine-drived bioactive peptides. In Marine Pharmacognosy: Trends and Applications. Kim SK,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107-117. 

  8. Harman D. 1984.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the free radical diseases. AGE 7: 111-131. 

  9. Aniya Y, Naito A. 1993. Oxidative stress-induced activation of microsomal glutathione S-transferase in isolated rat liver. Biochem Pharm 45: 37-42. 

  10. KO JY, Lee JH, Samarakoon K, Kim JS, Jeon YJ. 2013. Pur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two novel antioxidant peptides from flounder fish (Paralichthys olivaceus) using digestive proteases. Food Chem Toxicol 52: 113-120. 

  11. Wang B, Li L, Chi CF, Ma JH, Luo HY, Xu YF. 2013. Purif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a novel antioxidant peptide derived from blue mussel (Mytilus edulis) protein hydrolysate. Food Chem 138: 1713-1719. 

  12. Zhong S, Ma C, Lin YC, Luo Y. 2011. Antioxidant properties of peptide fractions from silver carp (Hypophthalmichthys molitrix) processing by-product protein hydrolysastes evaluated by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metry. Food Chem 126: 1636-1642. 

  13. Nalinanon S, Benjakul S, Kishimura H, Shahidi F. 2011. Functionalitie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protein hydrolysates from the muscle of ornate thredfin bream treated with pepsin from skipjack tuna. Food Chem 124: 1354-1362. 

  14. Theodore AE, Raghavan S, Kristinsson HG. 2008. Antioxidation activity of protein hydrolysates prepared from alkaline-aided channel catfish protein isolates. J Agric Food Chem 56: 7459-7466. 

  15. Wang Q, Li W, He Y, Ren D, Kow F, Song L, Yu X. Novel antioxidative peptides from the protein hydrolysate of oyster (Crassostrea talienwhanensis). Food Chem doi: http://dx.doi.org/10.1016/j.foodchem.2013.08.099. 

  16.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ton, VA, USA. 900.02A, 955.04, 950.46, 968.08. 

  17. Floch J, Lee M, Solane-Stanley C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26: 497-509. 

  18. MFDS. 2011.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song, Korea. p 1-1-61. 

  19. Lee SS, Park SH, Park JD, Konno K, Choi YJ. 2012. Functionalities of squid liver hydrolysa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77-1685. 

  20. Jang YB. 2007. Application in foodstuff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oyster hydrolysates. PhD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1. Lowry OH, Roseborough NJ, Farr LA,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22. Rudel LL, Morris MD. 1973.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using o-phthaldehyde. J Lipid Res 14: 364-366. 

  23. Friedewald WT, Levy RL,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ithout the use of the preparation ultracentrifuge. Clinic Chem 18: 499-502. 

  24. Haglund O, Luostarinen R, Wallin R, Wibell L, Saldeen T. 1991. The effects of fish oil on triglycerides, cholesterol, fibrinogen and malondialdehyde in humans supplemented with vitamin E. J Nutr 121: 165-169. 

  25. Levine RL, Garland CN, Oliver AA, Climent AG, Lenz BA. 1990. Determination of carbonyl content in oxidatively modified proteins. Methods Enzymol 186: 464-478. 

  26. McCord JM, Fridovch I. 1969.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ic function for erythrocuprein (hemocuprein). J Biol Chem 244: 6049-6055. 

  27. Chan PC, Bielski BHJ. 1974. Enzyme catalyzed free radical reactions with nicotinamide adenine nucleotide. J Biol Chem 249: 1317-1319. 

  28.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81. Formation of a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 from deoxyribose in the presence of iron salts. FEBS Letter 128: 347-350. 

  29. Choi JH, Yu BP. 1990. Unsuitability of TBA test as a lipid peroxidation marker due to prostaglandin synthesis in the aging kidney. AGE 13: 61-64. 

  30. Oyanagui Y. 1984. Reevaluation of assay methods and establishment of kit for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al Biochem 42: 290-296. 

  31. Rigo A, Rotilio G. 1977.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in biological materials by polarography. Anal Biochem 81: 157-166. 

  32. Chen ZY, Jiao R, Ma KY. 2008. Cholesterol lowing nutraceuticals and functional foods. J Agric Food Chem 56: 8761-8773. 

  33. Cho SJ, Juillerat MA, Lee CH. 2007. Cholesterol lowering mechanism of soybean protein hydrolysate. J Agric Food Chem 55: 1599-1604. 

  34. Cho SJ, Juillerat MA, Lee CH. 2008. Identification of LDLreceptor transcription stimulating peptides from soybean hydrolysate in human hepatocytes. J Agric Food Chem 56: 4372-4376. 

  35. Zhong F, Liu J, Ma J, Shoemaker CF. 2007. Preparation of hypocholesterol peptides from soy protein and their hypocholesterolemic effect in mice. Food Res Internal 40: 661-667. 

  36. Saito M, Kiyose C, Higuchi T, Uchida N, Suzuki H. 2009. Effect of collagen hydrolysates from salmon and trout skins on the lipid profile in rats. J Agric Food Chem 57: 10477-10482. 

  37. Estevez M. 2011. Protein carbonyls in meat systems: A review. Meat Sci 89: 259-279. 

  38. Breusing N, Grune T. 2010. Biomarkers of protein oxidation from a chemical, biological and medical point of view. Exp Gerontol 45: 733-737. 

  39. Hernandez-Ledesma B, Amigo L, Recio I, Bartolome B. 2007. ACE-inhibitory and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eptides derived from ${\beta}$ -lactoglobumin f(19-25). Interactions with ascorbic acid. J Agric Food Chem 55: 3392-3397. 

  40. Tang X, He Z, Dai Y, Xiong YL, Xie M, Chen J. 2010. Peptide fractionation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zein hydrolysate. J Agric Food Chem 58: 587-593. 

  41. Qian ZJ, Jung WK, Byun HG, Lim SK. 2008. Protective effect of an antioxidative peptides purified from gastrointestinal digests of oyster, Crassostrea gigas, against free radical induced DNA damage. Bioresource Technol 99: 3365-3371. 

  42. Rajapakse N, Mendis E, Jung WK, Je JY, Kim SK. 2005. Purification of radical scavenging peptide from fermented mussel sauce and its antioxidant properties. Food Res Internal 38: 175-1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