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과 한국의 전통 천문도
TRADITIONAL STAR CHARTS IN CHINA AND KOREA 원문보기

천문학논총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28 no.3, 2013년, pp.37 - 54  

양홍진 (한국천문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ina and Korea have a long history of star charts, dating from the prehistoric period. Historically, Korean astronomy has been deeply influenced by China over the last two thousand years, particularly on constellation system. Therefore,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star charts have many similari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대 성도는 무엇인가? 원시 성도는 문자 기록 이전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주로 고대 무덤이나 도자기 자연바위 등 고고유적에서 발견되고 있어 원시 사회부터 천문이 이어져 왔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경우 고인돌이나 암각화에서 발견된 별자리 모양의 홈이나 태양을 상징하는 동심원 문양 등이 고대로부터 이어진 대표적인 고대 성도이다. 
3원 28수 별자리 체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원시 성도에 이어 나타난 동양의 대표적인 전통별자리는 자미원, 태미원, 천시원으로 이루어진 3원(垣)과 동서남북의 네 방위에 따라 7개의 별자리를 배정한 28수(宿)로 구성되어 있다. 3원 28수 별자리 체계는 중국과 한국, 일본의 전통 성도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중국의 전통 천문학이 두 나라에 전해진 영향 때문이다.
원시 성도가 만들어진 시기는? 이후, 원시성도는 점차 밤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를 실제 모습을 표현하는 형태로 바뀌어 갔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별자리체계가 형성되고 현대식 성도로 발전하였다. 원시 성도는 문자 기록 이전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주로 고대 무덤이나 도자기 자연바위 등 고고유적에서 발견되고 있어 원시 사회부터 천문이 이어져 왔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경우 고인돌이나 암각화에서 발견된 별자리 모양의 홈이나 태양을 상징하는 동심원 문양 등이 고대로부터 이어진 대표적인 고대 성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구만옥, 2007, 천상열차분야지도 연구의 쟁점에 대한 검토와 제언, 동방학지, 140, 89 

  2. 국립민속박물관, 2004, 天文 , 시월 

  3. 김동일, 1996, 별자리가 새겨진 고인돌 무덤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3, 31 

  4. 김상혁, 양홍진, 이용복, 안영숙, 2009, 조선과 중국의 보천가 연구, 한국우주과학회지, 26, 375 

  5. 김일권, 1998, 별자리형 바위구멍에 대한 고찰, 고문화, 51, 123 

  6. 김일권, 2006, 고구려의 천문과 고분벽화-인류의 문화유산 고구려고분벽화, 연합뉴스-교도통신 

  7. 나일성, 1984, 조선시대의 천문의기 연구-천문도편, 동방학지, 42, 205 

  8. 리준걸, 1981, 28수를 다 그린 진파리 4호 무덤, 역사과학, 3, 46 

  9. 리준걸, 1982,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대한 약간의 고찰, 력사과학, 1, 45 

  10. 리준걸, 1984, 고구려 벽화무덤의 별그림에 관한 연구, 고고민속논문집, 9, 2 

  11. 리준걸, 1996, 단군조선의 천문지식은 고구려 천문학의 기초, 조선고고연구, 3, 31 

  12. 문중양, 2004, 조선후기 서양 천문도의 전래와 신.고법 천문도의 절충, 한국과학사학회지, 26, 29 

  13. 박명순, 1995, 天象列次分野之圖에 대한 고찰, 한국과학사학회지, 17, 3 

  14. 박성환, 1987, 태조의 석각천문도와 숙종의 석각천문도와의 비교, 동방학지, 54-56, 329 

  15. 박창범, 1998,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별그림 분석, 한국과학사학회지, 20, 113 

  16. 박창범, 양홍진, 2009a, 고구려의 고분벽화 별자리와 천문체계, 한국과학사학회지, 31, 1 

  17. 박창범, 양홍진, 2009b, 고구려의 고분벽화 별자리와 천문체계, 한국과학사학회지, 34, 374 

  18. 박창범, 이용복, 이융조, 2001, 청원 아득이 고인돌 유적에서 발굴된 별자리판 연구, 한국과학사학회지, 23, 3 

  19. 안상현, 2011,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나오는 고려시대 피휘와 천문도의 기원, 고궁문화, 4, 125 

  20. 양홍진, 최고은, 안영숙, 민병희, 2010, 태조본 천상열차분야지도 정밀 측정 분석, 천문학회보, 35, p.85 

  21. 양홍진, 박창범, 박명구, 2010, 홈이 새겨진 고인돌과 홈의 특징, 한국암각화연구, 14, 1 

  22. 양홍진, 2013, 중국 고고천문 유적의 지역적 분포와 특성에 대하여, 동아시아고대학, 인쇄중 

  23. 우장문, 2006, 경기지역의 고인돌 연구, 학연문화사 

  24. 유경로, 박창범, 1995, 한국의 천문도, 천문우주기획 

  25. 이융조, 1978, 청원 아득이 유적의 선사무덤문화, 탐구당 

  26. 이은성, 1986,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분석, 세종학연구, 1, 63 

  27. 전상운 등, 1984, 韓國의 科學文化財 調査報告, 한국과학사학회지, 6, 58 

  28. 伊世同, 1975, 最古的石刻星圖-抗州吳越墓石刻星圖評介, 考古, 3, 153 

  29. 伊世同, 1996, 萬歲星象 第二會中國少數民族科技史國際學術討論會論文集, 社會科學文獻出版社 

  30. 馬世長, 1988a, 敦煌星圖的年代, 中國古代天文文物論集, 21, 195 

  31. 馬世長, 1988b, 敦煌寫本紫微垣星圖, 中國古代天文文物論集, 21, 199 

  32. 潘?, 1988a, 敦煌卷子中的天文材料, 中國古代天文文物論集, 21, 223 

  33. 潘?, 1988b, 新儀象法要中的星圖, 中國古代天文文物論集, 21, 259 

  34. 潘?, 1988c, 蘇州南宋天文圖碑考釋, 中國古代天文文物論集, 21, 313 

  35. 潘?, 2009, 中國古天文圖錄, 上海科技敎育出版社 

  36. 潘?, 崔石竹, 1998, 中國天文, 上海三所書店 

  37. 北京天文館 編, 1987, 中國古代天文學成就, 北京科學技術出版社 

  38. 石云里, 1998, 朝鮮傳本步天歌考, 中國科技史料, 19, 69 

  39. 席澤宗, 1958, 蘇州石刻天文圖, 文物參考資料, 7 

  40. 席澤宗, 1974, 馬王堆漢墓帛書中的五星占, 文物, 11, 28 

  41. 席澤宗, 1978, 馬王堆漢墓帛書中的彗星圖, 文物, 2, 5 

  42. 陸思賢, 李迪, 2005, 天文考古通論, 紫禁城出版社 

  43. 陳美東, 1996, 中國古星圖, 遼寧敎育出版社 

  44. 陳遵?, 1984, 中國天文學史, 明文書局 

  45. 盧央, 邵望平, 1988, 考古遺存中所反映的史前天文知識, 中國古代天文文物論集, 21, 1 

  46. 馮時, 1990, 河南?陽西水坡45號墓的天文學硏究, 文物, 3, 52 

  47. 馮時, 1996, 星漢流年, 中國天文考古錄, 四川敎育出版社 

  48. 馮時, 2007, 中國天文考古學, 中國社會科學出版社 

  49. 夏?, 1964, 洛陽西漢壁畵墓中的星象圖, 考古學報, 2, pp.112-114 

  50. 夏?, 1980, 別一件敦煌星圖寫本(敦煌星圖乙本), 中國古代天文文物圖集, 121 

  51. Belmonte, J. A., 1998, Archeoastronomy Supplement, 29, s7 

  52. Browne, G. F., 1921, On Some Antiquities in the Neighbourhood of Dunecht House Aberdeenshire (London: Cambridge Press) 

  53. Hoskin, M., 1997, Orientation of Sardinan Dolmens, Archeoastronomy Supplement, 28, s1 

  54. Hoskin, M., 1998, Studies in Iberian Archaeoastronomy, Archeoastronomy Supplement, 29, s29 

  55. Needham, J. & Wang, L., 1979,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III) - Mathematics and the Sciences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London: Cambridge Press) 

  56. Rufus, W. C., 1913, The Celestial Planisphere of King Yi Tai Jo,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4, 21 

  57. Rufus, W. C., 1915, Korea's Cherished Astronomical Chart, Popular Astronomy, 23, 192 

  58. Rufus, W. C., 1944, A Korean Star Map, Isis, 35, 316 

  59. Rufus, W. C. & 田興其, 1947, The Soochow Astronomical Chart, 天文台(英文版), 67 

  60. Sun, Xiaochun & Jacob, Kistemaker, 1997, The Chinese Sky During the Han (Leiden: Brill) 

  61. Yang, H. -J., 2004, Analysis of Korean Astronomical Records, Ch. 4,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62. Yang, H. -J. & Choi, G. E., 2012, A Study of Stone Star Charts in Korea and China, Proc. of 2012 International Symposium on Historical Astronomy, 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