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 범물동의 동제(洞祭)공간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bout Use of Ritual Space of Beommul-dong in Daegu-city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4 no.6, 2013년, pp.51 - 59  

강혜경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안옥희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itual for community is a group ritual performed by the regional community of a village for the safety of the residents and abundant harvests. However, many ritual places have been destroyed by the anti-superstition movement, New Community Movement (Saemaul Movement), industrialization and urb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통문화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마을 제의인 동제를 조사해서 기록으로 남기는 직접적인 목적과 함께 동제의 유지시스템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날로 약화되어 가는 지역공동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가진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인 대구광역시 범물동 동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 이 후 1936년에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우리나라 전역의 동제가 조사되었고, 그 결과물이 1937년 무라야마(村山智順)에 의해 <부락제(部落祭)>5)라는 이름으로 편찬되었다. 이 책에서는 동제의 개념ㆍ제신(祭神)ㆍ제사(祭祀)ㆍ제기(祭期)ㆍ제비(祭費)ㆍ동회(洞會) 등의 실태를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파악한 결과를 싣고 있다. 그러나 이 조사는 현재의 북한을 포함한 우리나라 전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하면서도 1년이 채 못 되는 짧은 기간에 실시된 것으로서 정밀하지 못한 조사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 인터뷰 조사는 동제가 있을 때와 없을 때의 두 번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는데 동제에 참가한 주민, 문화원 관계자, 동제 행사를 총괄하는 마을유지, 동제를 준비하는 일반 주민, 마을 노인을 대상으로 동제를 바라보는 시각과 동제의 미래에 관한 질문을 실시했다. 이것은 동제를 주민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러한 인식이 동제의 미래에 어떻게 작용하게 될 것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로 인해 사라졌던 마을 공동체에 의한 제의(祭儀)가 주민과 지자체에 의해 다시 부활하여 주민의 커뮤니티로 작용하고 있는 대구광역시 범물동의 동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마을 제의인 동제를 조사하여 기록으로 남기는 직접적인 목적과 함께 동제의 유지시스템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지역공동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자는 동제에 관한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민속학 또는 인류학의 성과로서 제사 그 자체의 의미 또는 그 기능 등을 살피는데 머무르고 있다는 점에 착목하여, 공간에 관한 고찰을 포함한 제당공간의 이용에 관한 주거학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8). 본 연구도 이러한 시점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제란? 동제(洞祭)는 전통적으로 지연(地緣)을 바탕으로 마을의 풍요와 평안, 주민의 건강 등을 마을의 수호신에게 기원하는 마을공동체 제의이다. 마을 주민 모두가 행사 주체가 되는 이러한 동제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매년 음력 정월 보름에 마을의 ‘제당’이나 신 목인 ‘당수나무’에서 제수를 마련하여 제사를 지내고 음식을 함께 나누어 먹으면서 마을 주민간의 화합을 다지는 행사이다.
동제의 역할은? 이렇게 마을 주민 모두가 새로운 한 해의 시작을 마을 수호신에게 알리고 주민들의 교류를 돈독히 해주는 기능을 가진 동제는 전통적으로 계승 발전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또한 동제는 단순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종교적인 차원을 넘어 마을의 정체성을 찾고, 마을 구성원들이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알게 됨으로써 마을주민으로서 자긍심과 함께 마을주민들로 하여금 힘을 결집하여 새로운 일을 모색할 수 있는 역동성을 갖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1). 그러나 근세기의 산업화와 도시화에 의해 주민들의 구성이 바뀌고 생활모습이 바뀌면서 주민들의 결속을 다져 주었던 ‘동제’는 그 존재 자체가 위태로운 상황이다.
현시점에서 동제의 현실을 기록하고 보전해야하는 이유는? 이러한 가운데 현시점에서 동제의 현실을 파악하여 기록으로 남기고2), 이것을 보전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다. 즉 오늘날처럼 공동체를 묶어줄 수 있는 아무런 장치도 없는 현대 도시 공간 속의 우리 삶터에서 동제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 가운데 현대 사회에 적용 가능한 것을 도출해 내고 그것을 활성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혜경.한삼건 (2000). 울주군의 제당. 울산: 디자인워크. 

  2. 국립민속박물관(2004). 한국의 마을제당 제8권 경상북도 편(상)(하). 서울: 삼한정보기획. 

  3. 대구광역시.택민국학 연구원(2009). 대구지명유래총람-자연부락을 중심으로-. 대구: 한영종합인쇄. 

  4. 대구 직할시 교육위원회(1988). 우리고장대구(지명유래). 대구:영문사. 

  5. 대구 직할시(1982). 대구의 향기-전통과 문화. 대구: 대구직할시. 

  6. 울주군지편찬위원회(2002). 울주군지(下). 울산: 대일인쇄주식회사. 

  7. 秋葉 隆 (1933). 朝鮮の村祭り. 朝鮮書館第3券3 . 京城: 朝鮮?書館硏究會. 

  8. 朝鮮總督府 (1937). 朝鮮の鄕土神祀 1: 部落祭. 京城: 朝鮮總督府. 

  9. 西村一朗 (2005) 編. 地域居住とまちづくり. 大阪: せせらぎ出版. 

  10. 日本建築學會 (2007) 編. まちづくりの方法. 東京: 丸善株式會社. 

  11. Kang, H., & An, O. (2011).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bout use of ritual space at villages in Ulsan (p. 246-247),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IAPS (2011), International Network Symposium 2011, Daegu, Korea. 

  12. Kang, J. (2002). The Change of Tongje Subject. The Journal of Korean Folklore, 36, 1-25. 

  13. Kim, Y. (2006). Study on Village Rituals for Social Capital. The Journal of Provincial Folk Studies, 13, 173-197. 

  14. Lee, C. (2006). Research on Transmission of Folk Religion in City: Focusing on Community Ritual in Yongcheun Village in Jincheon-dong, Daegu. Research on Folk Studies, 18, 33-57. 

  15. Lee, K. (2006). The Change of foundations and ritual of Dongie. The Journal of Korean Folklore, 43, 285-315. 

  16. Lee, S. (2012). Studies on Village Ceremony Spirit and Social Capital of Village Community. The Journal of Korean, 43, 429-4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