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세 주택의 개구부 형식에 관한 연구 - 통일신라 및 고려시대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 of Window and Door of the Medieval Times House - Focused on the House of Unified Silla and Goryo Period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4 no.6, 2013년, pp.133 - 140  

이정미 (중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orm of window and door of medieval times house which are no longer in existence, by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literature materials and architectural remains of united Silla and Goryo period. Particularly the window and door form change process of was analyzed, in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축용어 가운데 특히 개구부에 주목하여, 통일신라 및 고려시대 주택의 개구부 형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개구부의 형식 및 배치는 건축의 입면디자인을 결정하는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실내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중세주택의 복원 및 실내공간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과 창의 특징은? 문과 창은 건물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개구부의 형식으로 문은 출입을 위한 시설이며, 창은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시설이다. 그러나 옛 문헌을 보면 출입시설로는 문 이외에도 戶가 있었는데, 說文解字1)에는 門은 대문과 같은 영역을 위한 출입문으로, 戶는 건축물의 출입시설로 기록되어 있으며, 집의 정상부분에 열려있는 것은 窓으로, 담장에 있는 것은 牖로 해석되어 있다.
窓이란? 문과 창은 건물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개구부의 형식으로 문은 출입을 위한 시설이며, 창은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시설이다. 그러나 옛 문헌을 보면 출입시설로는 문 이외에도 戶가 있었는데, 說文解字1)에는 門은 대문과 같은 영역을 위한 출입문으로, 戶는 건축물의 출입시설로 기록되어 있으며, 집의 정상부분에 열려있는 것은 窓으로, 담장에 있는 것은 牖로 해석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개구부는 기능뿐만 아니라 구성형식 및 위치에 따라 각각의 명칭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개구부는 기능뿐만 아니라 구성형식 및 위치에 따라 각각의 명칭이 있었음을 알 수 있는 이유는? 문과 창은 건물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개구부의 형식으로 문은 출입을 위한 시설이며, 창은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시설이다. 그러나 옛 문헌을 보면 출입시설로는 문 이외에도 戶가 있었는데, 說文解字1)에는 門은 대문과 같은 영역을 위한 출입문으로, 戶는 건축물의 출입시설로 기록되어 있으며, 집의 정상부분에 열려있는 것은 窓으로, 담장에 있는 것은 牖로 해석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개구부는 기능뿐만 아니라 구성형식 및 위치에 따라 각각의 명칭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Cheon, D., & Shin. S. (2006). A Study on the Door Discovered at the Shinchang-dong Wetland Sit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5(5), 7-15. 

  2.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5). BongHwang Dong, Gimhae Cha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s. Changwon 

  3. Ju, N. (2001). Korean Gate, Door and Window. Seoul: Deawonsa. 

  4. Lee, J. (2010). A Syudy on the Urban Housing in Unified Silla Dynasty. Joua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5), 241-248. 

  5. Lee, J. (2011). A Study on the Sil in「Oksa」 Chapter of Samguksagi. Joua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4), 139-146.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